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효모 ASP3 유전자의 염색체구조에 관한 연구 = Genomic Structure of the Yeast ASP3 Ge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579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효모의 질소대사의 조절 기작 중에시 Nitorgen Catabolite Repression(NCR)에 의해 그 발현이 조절되는 asparaginase Ⅱ의 구조 유전자인 ASP3 유전자을 대상으로 엽색체 서열을 비교한 결과, ASP3 유전자의 3' 인접염기서열이 rDNA 인접염기 서열과 동일하므로 염색체 DNA상에서도 ASP3 유전자가 rDNA에 인접하여 존재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ASP3 유전자가 실제 염색체강에서 rRNA gene cluster에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plasmid YKW3를 다양한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얻어진 여러 종류의 probe를 사용하여 Southern blot analysis를 한 결과 실제 효모 염색체상에 ASP3 유전자와 rRNA 유전자가 인접하여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SP3 유전자는 염색체 DNA에서 rDNA cluster중에 삽입되어 존재할 가능성이 높고, 또한 ASP3 유전자의 발현도 rDNA 유전자들의 발현과 관련성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번역하기

      효모의 질소대사의 조절 기작 중에시 Nitorgen Catabolite Repression(NCR)에 의해 그 발현이 조절되는 asparaginase Ⅱ의 구조 유전자인 ASP3 유전자을 대상으로 엽색체 서열을 비교한 결과, ASP3 유전자의 3...

      효모의 질소대사의 조절 기작 중에시 Nitorgen Catabolite Repression(NCR)에 의해 그 발현이 조절되는 asparaginase Ⅱ의 구조 유전자인 ASP3 유전자을 대상으로 엽색체 서열을 비교한 결과, ASP3 유전자의 3' 인접염기서열이 rDNA 인접염기 서열과 동일하므로 염색체 DNA상에서도 ASP3 유전자가 rDNA에 인접하여 존재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ASP3 유전자가 실제 염색체강에서 rRNA gene cluster에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plasmid YKW3를 다양한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얻어진 여러 종류의 probe를 사용하여 Southern blot analysis를 한 결과 실제 효모 염색체상에 ASP3 유전자와 rRNA 유전자가 인접하여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SP3 유전자는 염색체 DNA에서 rDNA cluster중에 삽입되어 존재할 가능성이 높고, 또한 ASP3 유전자의 발현도 rDNA 유전자들의 발현과 관련성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it was found that the 3' flanking sequences of the yeast ASP3 gene were the same as the flanking sequences of 5S rRNA gene. In this study, Southern blot analyse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plasmid YKW3 which contains the entire ASP3 gene to determine the localization of the ASP3 gene on the yeast chromosome.
      With various ASP3 gene probes, the identical bands were detected in both the chromosomal DNA and the YKW3 plasmid, For instance, when BglⅡ digested genomic DNA was hybridized with the 2.8kb BglⅡ fragment containing the region of homology with the 5S rRNA gene, the same 2.8kb band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same 1.8kb band were detected when PstⅠ digested genomic DNA was hybridized with the 2.8kb BglⅡfragment and 540bp EcoRⅠ- PstⅠ fragment,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SP3 gene might lie adjacent or be inserted into the rRNA gene clusters on the chromosome.
      번역하기

      Recently it was found that the 3' flanking sequences of the yeast ASP3 gene were the same as the flanking sequences of 5S rRNA gene. In this study, Southern blot analyse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plasmid YKW3 which contains the entire ASP3 gene ...

      Recently it was found that the 3' flanking sequences of the yeast ASP3 gene were the same as the flanking sequences of 5S rRNA gene. In this study, Southern blot analyse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plasmid YKW3 which contains the entire ASP3 gene to determine the localization of the ASP3 gene on the yeast chromosome.
      With various ASP3 gene probes, the identical bands were detected in both the chromosomal DNA and the YKW3 plasmid, For instance, when BglⅡ digested genomic DNA was hybridized with the 2.8kb BglⅡ fragment containing the region of homology with the 5S rRNA gene, the same 2.8kb band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same 1.8kb band were detected when PstⅠ digested genomic DNA was hybridized with the 2.8kb BglⅡfragment and 540bp EcoRⅠ- PstⅠ fragment,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SP3 gene might lie adjacent or be inserted into the rRNA gene clusters on the chromosom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