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모의 질소대사의 조절 기작 중에시 Nitorgen Catabolite Repression(NCR)에 의해 그 발현이 조절되는 asparaginase Ⅱ의 구조 유전자인 ASP3 유전자을 대상으로 엽색체 서열을 비교한 결과, ASP3 유전자의 3...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30057995
1993
Korean
472.000
학술저널
34-39(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효모의 질소대사의 조절 기작 중에시 Nitorgen Catabolite Repression(NCR)에 의해 그 발현이 조절되는 asparaginase Ⅱ의 구조 유전자인 ASP3 유전자을 대상으로 엽색체 서열을 비교한 결과, ASP3 유전자의 3...
효모의 질소대사의 조절 기작 중에시 Nitorgen Catabolite Repression(NCR)에 의해 그 발현이 조절되는 asparaginase Ⅱ의 구조 유전자인 ASP3 유전자을 대상으로 엽색체 서열을 비교한 결과, ASP3 유전자의 3' 인접염기서열이 rDNA 인접염기 서열과 동일하므로 염색체 DNA상에서도 ASP3 유전자가 rDNA에 인접하여 존재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ASP3 유전자가 실제 염색체강에서 rRNA gene cluster에 삽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plasmid YKW3를 다양한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얻어진 여러 종류의 probe를 사용하여 Southern blot analysis를 한 결과 실제 효모 염색체상에 ASP3 유전자와 rRNA 유전자가 인접하여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ASP3 유전자는 염색체 DNA에서 rDNA cluster중에 삽입되어 존재할 가능성이 높고, 또한 ASP3 유전자의 발현도 rDNA 유전자들의 발현과 관련성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it was found that the 3' flanking sequences of the yeast ASP3 gene were the same as the flanking sequences of 5S rRNA gene. In this study, Southern blot analyse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plasmid YKW3 which contains the entire ASP3 gene ...
Recently it was found that the 3' flanking sequences of the yeast ASP3 gene were the same as the flanking sequences of 5S rRNA gene. In this study, Southern blot analyses were carried out by using the plasmid YKW3 which contains the entire ASP3 gene to determine the localization of the ASP3 gene on the yeast chromosome.
With various ASP3 gene probes, the identical bands were detected in both the chromosomal DNA and the YKW3 plasmid, For instance, when BglⅡ digested genomic DNA was hybridized with the 2.8kb BglⅡ fragment containing the region of homology with the 5S rRNA gene, the same 2.8kb band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same 1.8kb band were detected when PstⅠ digested genomic DNA was hybridized with the 2.8kb BglⅡfragment and 540bp EcoRⅠ- PstⅠ fragment,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SP3 gene might lie adjacent or be inserted into the rRNA gene clusters on the chromosome.
유기용매계에서의 리파제 촉매반응에 의한 에스테르 교환 반응
Drosophila melanogaster와 D, simulans의 유전적 유연관계
Strepbacillus sp.에 의한 Chitinase의 생산
Molecular Identification of Drosophila Flightless Mu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