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산물 직거래 활성화를 위한 e-비즈니스 교육 방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370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농산물 직거래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면서 중간유통비용을 절감하고 이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만족을 줄 수 있는 대안적인 유통경로이다. 이러한 역할때문에 최근 온...

      농산물 직거래는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면서 중간유통비용을 절감하고 이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만족을 줄 수 있는 대안적인 유통경로이다. 이러한 역할때문에 최근 온라인 농산물 직 거래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농산물 직거래는 중간유통단계를 생략하는 것이기 때 문에 생산자가 그 역할을 대신하여야 하기에 다양한 장애요인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거래를 추진하고 있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직거래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직거래 활성화를 위하여 농촌진흥청에 서 수행하고 있는 e-비즈니스 교육을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가야 할지에 대하여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 프로그램 보완, 개인역량 강화, 협업화, 농업인들이 희망하는 교육 확대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rect sale of agricultural products is an alternative distributional channel which can provide satisfactions to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by reducing marketing cost through a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m. Due to this role, there has been ris...

      The direct sale of agricultural products is an alternative distributional channel which can provide satisfactions to both producers and consumers by reducing marketing cost through a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m. Due to this role, there has been rising interest in farmers' direct selling of agricultural products. However, the direct selling by farmers expose many problems and obstacles, because farmers should take a role as a middleman when they directly sell their products.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obstacles from farmers who started the direct sales, and suggested a direction of e-business education programs being in place by RDA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farmers' direct sales. Suggestions of e-business education is needed to enhance education programs such as improving personal capability, cooperative work between farmers, expending programs what farms wa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1 농산물 직거래의 개념과 유형
      • 2 조사방법
      • 결과 및 고찰
      • 서론
      • 재료 및 방법
      • 1 농산물 직거래의 개념과 유형
      • 2 조사방법
      • 결과 및 고찰
      • 1 직거래의 소득 효과
      • 2 직거래의 장애요인
      • 3 e-비즈니스 교육 현황
      • 4 e-비즈니스 교육방향
      • 감사의 글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희, "농산물 전자상거래 연구 분석 -문헌연구와 현황 비교-" 한국식품유통학회 31 (31): 25-49, 2014

      2 Lee HS, "The direction for the Devlopement of e-commrece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an Agricultural distribution" Chung-ang University 2013

      3 RDA, "The Report of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in 2014" 492-495, 2015

      4 Lee CH, "The Development Strategy of E-commerce in Agriculture" 18 (18): 27-50, 2001

      5 Kim CH,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Farmers' Electronic Commerce and Its Improvement Plan" 31 (31): 105-130, 2008

      6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Regulations on Promotion etc of Local-food in Direct Sales in Agriculture"

      7 Jeong CG, "Positing the Direct Marketing of Agricultural Products" 16 (16): 215-229, 1999

      8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Going to continue to produce good direct"

      9 RDA, "Enforcement Guidelines of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2015"

      10 RDA, "Development of the Business Model based on the Type of the Direct Dealing of Agriculture Products" 1-2, 2014

      1 박성희, "농산물 전자상거래 연구 분석 -문헌연구와 현황 비교-" 한국식품유통학회 31 (31): 25-49, 2014

      2 Lee HS, "The direction for the Devlopement of e-commrece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an Agricultural distribution" Chung-ang University 2013

      3 RDA, "The Report of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in 2014" 492-495, 2015

      4 Lee CH, "The Development Strategy of E-commerce in Agriculture" 18 (18): 27-50, 2001

      5 Kim CH,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Farmers' Electronic Commerce and Its Improvement Plan" 31 (31): 105-130, 2008

      6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Regulations on Promotion etc of Local-food in Direct Sales in Agriculture"

      7 Jeong CG, "Positing the Direct Marketing of Agricultural Products" 16 (16): 215-229, 1999

      8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Going to continue to produce good direct"

      9 RDA, "Enforcement Guidelines of Agricultural Extension System 2015"

      10 RDA, "Development of the Business Model based on the Type of the Direct Dealing of Agriculture Products" 1-2, 2014

      11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Business Report 2015 of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12 Hong DS, "Analysis of Social Survey" Dasan Publishing Company 44-155, 2012

      13 Hwang US, "A Study on the Status and Revitaliz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Direct Market" Korea Rural Economic Insititute 3-14, 2012

      14 RDA, "A Study on the Operational Strategies and On-Line Marketing Revitalization Plans for Farm Produce Shopping Malls" 40-46, 2009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A Study on e-Business Strategy for Agricultural Products"

      16 Kim DH, "A Study on Management of Shopping Mall for Electronic Commerce of Agricultural Products in Jella Namdo Provinc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3

      17 RDA, "'Fruit buying direct transaction' Producers and consumers both beneth"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6-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CI등재
      2012-04-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58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