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인구의 급증으로 인한 여러 문제들 중 노인 주거문제는 매우 중요한 과제로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노인들의 욕구는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러나 지방정부 차원에서 노인복지주택이 수요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55142
2013
-
350
KCI등재
학술저널
269-299(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노인인구의 급증으로 인한 여러 문제들 중 노인 주거문제는 매우 중요한 과제로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노인들의 욕구는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러나 지방정부 차원에서 노인복지주택이 수요자...
노인인구의 급증으로 인한 여러 문제들 중 노인 주거문제는 매우 중요한 과제로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노인들의 욕구는 점점 커지고 있다. 그러나 지방정부 차원에서 노인복지주택이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노인복지주택 수요자들의 선호요인을 정확히 반영하여 지방정부 차원에서 노인수요자에게 만족을 주는 서비스와 시설을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거주 입주예정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270부 배포하여 23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노인복지주택 6개소와 양로시설(유료) 7개소에서 입주민은 160부를 배포하여 131부, 시설종사자는 85부를 배포하여 7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김제시의 부영노인복지주택 등은 직접 시설을 방문하여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주거선호 특성 파악을 위한 빈도분석, 입주 선호요인 파악을 위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및 분산분석, 선호요인이 입주의사에 미치는 영향력 파악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분산분석에서 비용성 등 5개 모든 요인에서, 17개 세부항목에서는 공원녹지 등 주변의 쾌적성, 직원의 용모단정과 친절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들이 입주(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입주예정자는 입지성, 비용성, 유형성, 입주민은 유형성, 비용성, 입지성, 시설종사자는 비용성, 유형성, 입지성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복지주택 활성화를 위한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향후 개선해야할 사항을 살펴보면, 지방정부 차원에서 지방 도시근교의 폐농가주택을 매입하여 저렴하게 공급하는 방안과 더불어 민간공급방식의 노인복지주택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임대형 노인복지주택, 토지임대부주택, 장기전세주택 시프트의 도입 등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복지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노인복지주택의 시설 및 서비스 기준을 제대로 준수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부차원의 관리ㆍ감독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olving the problem of elderly housing to cope with rapid progress of aging in Korean society is considered an important welfare issue for the aged. In order to come up with a solution to this problem, local governments must try to supply and suppor...
Resolving the problem of elderly housing to cope with rapid progress of aging in Korean society is considered an important welfare issue for the aged. In order to come up with a solution to this problem, local governments must try to supply and support the welfare hosing for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factor analysis to identify the preference factor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preference factors on the intention to move i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preference factors consisted of five sub factors; publicness, location, cost, familiarity and tangibility. The ANOVA test showed that all these factors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esidents, prospective residents, and facility employees. It was found that the three factors- cost, location, and tangi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to move for all above three groups. In conclusion, local government should actively make efforts to supply the welfare hosing and necessary services for the elderly and financial benefits to prepare for the aging socie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