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사의 습식공기청정장치를 대상으로 1995년 6월에서 12월에 걸쳐 부유미생물 제거 효율을 파악하고자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유미생물의 적정 채취시간을 알기 위해 8분, 16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2019473
1996
Korean
513.986
학술저널
19-26(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A사의 습식공기청정장치를 대상으로 1995년 6월에서 12월에 걸쳐 부유미생물 제거 효율을 파악하고자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유미생물의 적정 채취시간을 알기 위해 8분, 16분...
A사의 습식공기청정장치를 대상으로 1995년 6월에서 12월에 걸쳐 부유미생물 제거 효율을 파악하고자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유미생물의 적정 채취시간을 알기 위해 8분, 16분으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16분간 채취했을 경우(입구의 평균 집락수 : 25.00cfu/㎡)보다 8분간 채취시(입구의 평균 집락수 : 33.54cfu/㎡)효율을 평가할 만한 적절한 집락을 형성하였다.
2. 습식공기청정장치의 기수분리기에서는 일반미 생물인 경우 0%~16%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진균류의 경우 0%~62%의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3. 습식공기청정장치를 가동시킨 경우 일반 미생물은 0%~65%의 제거효율을 나타냈으며, 진균류는 0%~80%의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4. 중성능 필터를 사용했을 경우 일반 미생물의 제거효율 0%~67%(평균 제거효율 15%~24%)로 나타났으며, 진균류의 제거효율 0%~38%(평균제거효율 : 10%~28%)로 나타나 평균 20% 전・후의 효율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미생물과 진균의 제거효과는 배지종류, 풍량, 채취시간 등에 따라 약간씩 다르게 나타났으나, 본 실험 대상 습식공기청정장치의 부유 미생물 제거효율은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는 제한된 실험 절차 내에서의 결과이므로 실제로 습식공기청정장지를 다양한 실내환경에서 사용할 시에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도 있어 이에 대한 계속적이고 구체적인 실험조사 연구가 기대된다.
대기오염의 건강영향에 관한 연구 대기오염지역과 비대기오염지역 아동의 폐기능 검사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소음으로 인한 청력손실 근로자들의 사후관리 실행과 관련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