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NCS 기반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요구 분석 = A need analysis to improve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for the NCS-based educational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8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 for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suitable for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based curriculum at the high school level, and to draw policy support measures. In order to do so, the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of the NCS-based curriculum — which is to be applied to all specialized high schools from 2018 — were analyzed, and the requirements and priority for each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 suitable for the NCS-based curriculum were drawn from questionnaire results. Results demonstrated that for the NCS-based curriculum, simulation, project method, and modular instruction were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observation,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were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s. Based upon these findings,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these issues: 1) To operate a training program for NCS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capacity building, 2) to disseminate the NCS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management manual and well-practiced exemplary cases, 3) to reinforce on-job NCS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consulting, 4) to vitalize studies on NCS-based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5) to develop and distribute online education contents, and 6) to set up an online community for NCS education officia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 for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suitable for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based curriculum at the high school level, and to draw policy support measures. In order to do so,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eed for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suitable for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based curriculum at the high school level, and to draw policy support measures. In order to do so, the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of the NCS-based curriculum — which is to be applied to all specialized high schools from 2018 — were analyzed, and the requirements and priority for each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 suitable for the NCS-based curriculum were drawn from questionnaire results. Results demonstrated that for the NCS-based curriculum, simulation, project method, and modular instruction were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observation,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were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s. Based upon these findings,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regarding these issues: 1) To operate a training program for NCS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capacity building, 2) to disseminate the NCS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management manual and well-practiced exemplary cases, 3) to reinforce on-job NCS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consulting, 4) to vitalize studies on NCS-based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methods, 5) to develop and distribute online education contents, and 6) to set up an online community for NCS education officia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고교 단계의 NCS 기반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고 정책적 지원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모든 특성화고에 적용되는 NCS 기반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분석, 설문조사를 통한 NCS 기반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별 요구도, 우선순위등을 도출하였는데, 교수·학습 방법은 시뮬레이션, 프로젝트법, 모듈식 수업이, 평가 방법으로는 관찰과 자기 평가 및동료 평가가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1) NCS 교수・학습 및 평가 역량 강화 연수 운영, 2) NCS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운영 매뉴얼 및 우수사례 보급, 3) NCS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현장 컨설팅 기능 강화, 4) NCS 기반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연구 활성화, 5) 온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 및 보급, 6) NCS 교육 관계자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등을 정책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고교 단계의 NCS 기반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고 정책적 지원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모든 특성화고에 ...

      이 연구에서는 고교 단계의 NCS 기반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요구도를 분석하고 정책적 지원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모든 특성화고에 적용되는 NCS 기반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분석, 설문조사를 통한 NCS 기반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별 요구도, 우선순위등을 도출하였는데, 교수·학습 방법은 시뮬레이션, 프로젝트법, 모듈식 수업이, 평가 방법으로는 관찰과 자기 평가 및동료 평가가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1) NCS 교수・학습 및 평가 역량 강화 연수 운영, 2) NCS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운영 매뉴얼 및 우수사례 보급, 3) NCS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현장 컨설팅 기능 강화, 4) NCS 기반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연구 활성화, 5) 온라인 교육 콘텐츠 개발 및 보급, 6) NCS 교육 관계자 온라인 커뮤니티 구축 등을 정책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12

      2 이무근, "직업교육과정과 평가" 교육과학사 1999

      3 이무근, "실기교육방법론" 교육과학사 2005

      4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5) : 165-187, 2009

      5 박동열, "생애고용가능성 제고를 위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6 최동선,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체계 구축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7 장명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총론 개발 연구" 교육부・서울특별시 교육청・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8 최동선,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고교 직업교육 교과교육과정 개발 연구" 교육부・서울특별시 교육청・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9 전종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학습성과 표기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10 이용순,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사업(2004):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따른 교육훈련과정 모형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1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12

      2 이무근, "직업교육과정과 평가" 교육과학사 1999

      3 이무근, "실기교육방법론" 교육과학사 2005

      4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5) : 165-187, 2009

      5 박동열, "생애고용가능성 제고를 위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6 최동선,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체계 구축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7 장명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총론 개발 연구" 교육부・서울특별시 교육청・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8 최동선,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고교 직업교육 교과교육과정 개발 연구" 교육부・서울특별시 교육청・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9 전종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학습성과 표기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10 이용순,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사업(2004):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따른 교육훈련과정 모형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11 배호순, "교육프로그램 평가론" 원미사 2008

      12 박도순, "교육평가" 문음사 2011

      13 김종우, "고교단계 직업교육체제 혁신지원사업: 국가차원 육성 대상학교 컨설팅 지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14 배을규, "HRD 실무자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학이시습 2012

      15 Stufflebeam, D. L., "Evaluation theory, models and applications" Jossey-Bass 2007

      16 Mink, O. G.,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1991

      17 Finch, C. R., "Curriculum development i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Planning, content, and implementation" Allyn and Bacon 1989

      18 홍선이, "2016년 전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학교경영 및 교수・학습 연구대회 운영사업" 교육부・경기도 교육청・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19 이용순, "2013년 고등학교 전문교과 성취평가제 운영지원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20 장명희, "2008년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및 자격체제 구축: 조경 분야 교육과정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