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12
2 이무근, "직업교육과정과 평가" 교육과학사 1999
3 이무근, "실기교육방법론" 교육과학사 2005
4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5) : 165-187, 2009
5 박동열, "생애고용가능성 제고를 위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6 최동선,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체계 구축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7 장명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총론 개발 연구" 교육부・서울특별시 교육청・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8 최동선,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고교 직업교육 교과교육과정 개발 연구" 교육부・서울특별시 교육청・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9 전종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학습성과 표기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10 이용순,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사업(2004):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따른 교육훈련과정 모형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1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12
2 이무근, "직업교육과정과 평가" 교육과학사 1999
3 이무근, "실기교육방법론" 교육과학사 2005
4 조대연,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분석에서 우선순위결정 방안 탐색" 교육문제연구소 (35) : 165-187, 2009
5 박동열, "생애고용가능성 제고를 위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 직업기초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6 최동선,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교육훈련과정 질 관리 체계 구축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7 장명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총론 개발 연구" 교육부・서울특별시 교육청・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8 최동선,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고교 직업교육 교과교육과정 개발 연구" 교육부・서울특별시 교육청・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5
9 전종호,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직업교육과정의 학습성과 표기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10 이용순,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사업(2004): 국가직무능력표준에 따른 교육훈련과정 모형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11 배호순, "교육프로그램 평가론" 원미사 2008
12 박도순, "교육평가" 문음사 2011
13 김종우, "고교단계 직업교육체제 혁신지원사업: 국가차원 육성 대상학교 컨설팅 지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0
14 배을규, "HRD 실무자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학이시습 2012
15 Stufflebeam, D. L., "Evaluation theory, models and applications" Jossey-Bass 2007
16 Mink, O. G., "Developing and managing open organizations: A model and method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potential" Somerset Consulting Group 1991
17 Finch, C. R., "Curriculum development i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Planning, content, and implementation" Allyn and Bacon 1989
18 홍선이, "2016년 전국 특성화고/마이스터고 학교경영 및 교수・학습 연구대회 운영사업" 교육부・경기도 교육청・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6
19 이용순, "2013년 고등학교 전문교과 성취평가제 운영지원 사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20 장명희, "2008년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및 자격체제 구축: 조경 분야 교육과정 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