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 Study On the Retention Time Distribution with Plasma Damage Effect = 플라즈마 손상영향에 따른 보유시간분포 개선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0032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데이터 보유 시간 조정은 차세대 고밀도 DRAM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이 데이터가 소실되는 여러 가지의 전류 메커니즘이 있는데 1) 접합부분에서의 접합누설전류, 2) 커패시터 노드 콘텍으로 부터의 접합 누설전류, 3) 전달 트랜지스터에서의 Sub-threshold 누설 전류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보유시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플라즈마 에지 손상 영향에 대해 다루었다. 먼저 순방향, 역방향 바이어스를 가해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HP4145 측정기로 플라즈마 손상의 유,무에 따른 접합전류 특성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손상에 따른 TRET, 손상을 보상하기 위한 RTP처리, 수소_처리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수소_처리를 한 방법이 플라즈마 식각 손상 보상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번역하기

      데이터 보유 시간 조정은 차세대 고밀도 DRAM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이 데이터가 소실되는 여러 가지의 전류 메커니즘이 있는데 1) 접합부분에서의 접합누설전류, 2) ...

      데이터 보유 시간 조정은 차세대 고밀도 DRAM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이 데이터가 소실되는 여러 가지의 전류 메커니즘이 있는데 1) 접합부분에서의 접합누설전류, 2) 커패시터 노드 콘텍으로 부터의 접합 누설전류, 3) 전달 트랜지스터에서의 Sub-threshold 누설 전류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보유시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플라즈마 에지 손상 영향에 대해 다루었다. 먼저 순방향, 역방향 바이어스를 가해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HP4145 측정기로 플라즈마 손상의 유,무에 따른 접합전류 특성을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손상에 따른 TRET, 손상을 보상하기 위한 RTP처리, 수소_처리에 따른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수소_처리를 한 방법이 플라즈마 식각 손상 보상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trol of the data retention time is a main issue for realizing future high density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There are several leakage current mechanisms in which the stored data disappears. The mechanisms of data disappear is as follow, 1)Junction leakage current between the Junction, 2) Junction leakage current from the capacitor node contact, 3)Sub-threshold leakage current if the transfer transistor is affected by gate etch damage etc.
      In this paper we showed the plasma edge damage effect to find out data retention time effectiveness First we measured the transistor characteristics of forward and reverse bias And junction leakage characteristics are measured with/without plasma damage by HP4145 Finally, we showed the comparison TRET with etch damage, damage_cure_RTP and hydrogen_treatment As a result, hydrogen_treatment is superior than any other method in a curing plasma etch damage side
      번역하기

      The control of the data retention time is a main issue for realizing future high density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There are several leakage current mechanisms in which the stored data disappears. The mechanisms of data disappear is as follow, 1)J...

      The control of the data retention time is a main issue for realizing future high density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There are several leakage current mechanisms in which the stored data disappears. The mechanisms of data disappear is as follow, 1)Junction leakage current between the Junction, 2) Junction leakage current from the capacitor node contact, 3)Sub-threshold leakage current if the transfer transistor is affected by gate etch damage etc.
      In this paper we showed the plasma edge damage effect to find out data retention time effectiveness First we measured the transistor characteristics of forward and reverse bias And junction leakage characteristics are measured with/without plasma damage by HP4145 Finally, we showed the comparison TRET with etch damage, damage_cure_RTP and hydrogen_treatment As a result, hydrogen_treatment is superior than any other method in a curing plasma etch damage sid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