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홍렬, "흐르는 江물 따라" 미문출판사 1971
2 안성기, "훌륭한 연기는 기술보다 인격이 앞선다" 샘터사 28 (28): 1997
3 이충렬, "혜곡 최순우, 한국미의 순례자" 김영사 2012
4 이지혜, "형법이 낙태 허용한다 하더라도 신앙인은 낙태가 범죄임을 명심해야"
5 정세현, "항일 학생 민족운동사 연구" 일지사 1975
6 유동진,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가톨릭출판사 1999
7 노기남,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가톨릭출판사 1999
8 조영관, "한국의 가톨릭 학교 교육" 가톨릭교육재단협의회 1999
9 심영섭, "한국영화를 빛낸 스타들⑨ 미워할 수 없는 남자 안성기" 2004
10 소진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1997
1 유홍렬, "흐르는 江물 따라" 미문출판사 1971
2 안성기, "훌륭한 연기는 기술보다 인격이 앞선다" 샘터사 28 (28): 1997
3 이충렬, "혜곡 최순우, 한국미의 순례자" 김영사 2012
4 이지혜, "형법이 낙태 허용한다 하더라도 신앙인은 낙태가 범죄임을 명심해야"
5 정세현, "항일 학생 민족운동사 연구" 일지사 1975
6 유동진,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가톨릭출판사 1999
7 노기남,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가톨릭출판사 1999
8 조영관, "한국의 가톨릭 학교 교육" 가톨릭교육재단협의회 1999
9 심영섭, "한국영화를 빛낸 스타들⑨ 미워할 수 없는 남자 안성기" 2004
10 소진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1997
11 조동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12 장석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1997
13 김홍주 ; 조영관, "한국 가톨릭계 중등학교 종교교육 현황 및 방향성 탐색 - 1998년과 2016년의 변화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종교교육학회 57 : 103-136, 2018
14 장영민, "한·미 외교문서로 본 지학순 주교의 민주화운동: 관련 행위자들의 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31) : 40-85, 2014
15 윤선자,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일제의 인적 지배와 그리스도교계의 대응" 집문당 2005
16 대한민국, "태권도 진흥 및 태권도공원 조성 등에 관한 법률, 법률 제8746호, 2007년 12월21일 제정"
17 김수환, "추기경 김수환 이야기" 평화방송·평화신문 2004
18 무라야마 도시오, "청춘이 아니라도 좋다 : 안성기의 길, 안성기의 영화" 사월의책 2011
19 이충렬, "천년의 화가 김홍도" 메디치미디어 2020
20 A.J. 크로닌, "천국의 열쇠" 기쁜소식사 2006
21 김수환, "참으로 사람답게 살기 위하여" 사람과 사람 1996
22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제일 중요한 사업은 신학교"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070~1092 : 1957
23 조영관, "자율형 사립 동성고등학교의 일반고 전환에 대한 본교의 입장문"
24 노영택, "일제하 한국천주교회의 교육사업연구(2)" 한국교회사연구소 I : 1984
25 전병구, "일제강점 이전 전라도 천주교의 교육현황과 활동" 전북사학회 (46) : 201-232, 2015
26 동아일보, "인터뷰 무술발레 공연차 서울 온 재미 태권도사범 이준구씨"
27 허영엽, "인간 안성기가 국민 배우로 사랑받을 수 밖에 없는 이유"
28 신두영, "이중섭, 리영희, 이소선…일본에 소개하고 싶습니다:안성기 평전 <청춘이 아니라도 좋다> 쓴 무라야마 도시오"
29 박광용, "유홍렬의 한국 천주교회사 연구와 그 특성" (재)한국교회사연구소 (43) : 115-149, 2014
30 김운회, "운석 선생 흉상 제막식 기념사"
31 "안성기 친선대사" unicef 한국사무소
32 이충렬, "아름다운 사람 권정생" 산처럼 2018
33 이충렬, "아, 김수환 추기경 2 : 인간을 향하여" 김영사 2016
34 이충렬, "아, 김수환 추기경 1 : 신을 향하여" 김영사 2016
35 태권도원, "신예인 듯 신예같은 신예아닌 김경훈 과장의 금메달 이야기"
36 이충렬, "신부 이태석" 김영사 2021
37 이장우, "식민지시대 말기 조선 천주교회와 총독부의 종교 통제 — 노기남 주교의 대응을 중심으로" (재)한국교회사연구소 (35) : 39-67, 2010
38 안홍선, "식민지시기 중등 실업교육의 성격 연구: 실업학교 학생 특성과 입학동기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6 (16): 145-174, 2015
39 "수도여자고등학교 총동문회"
40 이유림, "성모 영보 수녀회를 창설한 성서학자 선종완 신부" 한국교회사연구소 280 : 1998
41 정인준, "선종완 신부의 삶을 통한 가르침" 신학과사상학회 51 : 2005
42 이연숙,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출범...생명운동 중심으로 역량 집중"
43 염수정, "생명주일 담화문: ‘가정과 혼인’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천주교서울대교구 2021
44 이원순, "사제 성소의 작은 못자리 : 소신학교사" 한국교회사연구소 2007
45 평화신문, "빛과 소금의 길"
46 정진석,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반 생명 행위"
47 최석우, "민족사와 교회사" 한국교회사연구소 2000
48 한국교회사연구소, "뮈텔 주교 일기 7: 1921~1925" 한국교회사연구소 2008
49 정진석, "동성학교 개교 100주년을 축하합니다"
50 이주연, "동성고 예비신학생반 첫 신학교 입학생 배출, 어떤 의미인가"
51 홍장학, "동성 100년사" 동성중고등학교 2011
52 이용석,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주요 기증자에게 수증증서 전달"
53 김민지, "뉴노멀시대 Martial Arts 문화융합 컨텐츠 개발 연구: 태권도를중심으로" 2020
54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남대문상업학교는 동성상업학교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705 : 1931
55 이충렬, "김환기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유리창 2013
56 이희용, "김추기경, 제2공화국 재평가 주장"
57 박승찬, "김수환 추기경의 공동체 영성을 통한 5·18 정신의 계승" 신학연구소 (205) : 2-65, 2019
58 이충렬, "김대건, 조선의 첫 사제" 김영사 2022
59 제2차 바티칸공의회, "그리스도인 교육에 관한 선언-교육의 중대성(Gravissimum Educationis)"
60 프란치스코, "권고 『복음의 기쁨』(Evangelii Gaudium, 2013)"
61 이충렬, "국제법학자, 그 사람 백충현" 김영사 2017
62 김찬혁, "국민배우 안성기, 서울성모병원에 1억원 기부"
63 홍문택, "교리책 밖의 교리 이야기 4 : 신부님, 주교님은 양말도 빨간색인가요?" 가톨릭출판사 1999
64 홍문택, "교리책 밖의 교리 이야기 3 : 신부님, 주일 미사 빠지고 평일 미사 보면 쌤쌤 아닌가요?" 가톨릭출판사 1999
65 홍문택, "교리책 밖의 교리 이야기 2 : 신부님, 전화로 고해 성사 보면 안되나요?" 가톨릭출판사 1998
66 홍문택, "교리책 밖의 교리 이야기 1 : 신부님은 왜 큰 성체를 드시나요?" 가톨릭출판사 1998
67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고 동성상업학교교장 박준호씨를 추억하며"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838 : 1936
68 손희송, "겨자씨 자라나서 큰 나무 되듯이" 가톨릭출판사 2022
69 한국천주교주교회의 교육위원회, "개정 한국 가톨릭학교 교육 헌장 및 지침서"
70 이충렬, "간송 전형필" 김영사 2010
71 김웅태, "가톨릭 학교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그리고 협력과 연대의 필요성" 2010
72 이승훈, "故 김수환 추기경 시복 운동 탄력 받나"
73 김소연, "‘탄생’ 안성기 “작은 역이지만, 천주교 신자로 의무감 가진다”"
74 부산일보, "[하이라이트] 시드니 태권도 ‘금’ 김경훈 미담"
75 김수환, "[추기경 김수환 이야기 4] 동성상업학교 시절(下)"
76 이종환, "[사족]이준구 사범은 누구?"
77 맹광호, "[빛과 소금 이땅의 평신도] <3> 아버지 박준호로부터 배운 박병래의교회 사랑"
78 이준구, "Grand master Jhoon Rhee" 매경출판(주) 2005
79 박규장, "2023년도 신입생부터 대건고등학교 일반고 전환에 대한 입장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