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탈북민을 통한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개선 방안 = The Transition Process of Unification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Methods for Improvement Thereof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65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ing process and actual situ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North Korean defector groups participating in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and to summarize the activities of their affiliated unification education institutions, thereby proposing the methods of improving unification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course of the cold war era, the post-cold war era, fierce regime competition, and the recent South-North relations, the transi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n which North Korean defectors have participated, may be said to have basically gone along with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which North Korean defectors have participated can largely be divided according to periods into the following three periods: the period of anti-communist security education (1953 - 1989), the period of unification security education (1990 - 1999), and the period of unification education (2000 - the present). And North Korean defectors have participated in various forms of unification education across the country until now. It is forecast that their participation will increase further according as the anticipation of unification is heightened in our society in the future. In this study, it has been emphasized that discovering and nurturing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capacity for unification are entirely dependent on the will of our government and society to prepare for unification, and that the first step toward it can start from the activitie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which many North Korean defectors participate directly or indirect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ing process and actual situ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North Korean defector groups participating in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and to summarize the activities of their affil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ing process and actual situ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North Korean defector groups participating in unification education in South Korean society and to summarize the activities of their affiliated unification education institutions, thereby proposing the methods of improving unification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course of the cold war era, the post-cold war era, fierce regime competition, and the recent South-North relations, the transi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n which North Korean defectors have participated, may be said to have basically gone along with the policies of the government.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which North Korean defectors have participated can largely be divided according to periods into the following three periods: the period of anti-communist security education (1953 - 1989), the period of unification security education (1990 - 1999), and the period of unification education (2000 - the present). And North Korean defectors have participated in various forms of unification education across the country until now. It is forecast that their participation will increase further according as the anticipation of unification is heightened in our society in the future. In this study, it has been emphasized that discovering and nurturing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capacity for unification are entirely dependent on the will of our government and society to prepare for unification, and that the first step toward it can start from the activitie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which many North Korean defectors participate directly or indirect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통일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탈북민 및 탈북민 단체의 변천 과정과 실태를 조사하고, 소속된 통일교육 단체의 활동을 정리하면서 탈북민을 통한 통일교육의 개선과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냉전과 탈냉전, 치열한 체제경쟁과 작금의 남북관계에 이르기까지 그동안 탈북민이 참여한 통일교육의 변천은 기본적으로 정부정책과 그 궤를 함께해 왔다고 볼 수 있다. 탈북민이 참여한 통일교육은 시기별로 반공안보교육시기(1953-1989), 통일안보교육시기(1990-1999), 통일교육시기(2000-현재) 등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볼 수 있으며 현재까지도 탈북민은 전국적인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의 통일교육 현장에 참여해왔다.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통일에 대한 기대가 고조될수록 이들의 참여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를 통해 통일역량의 탈북민 발굴과 양성은 전적으로 통일을 준비하는 우리 정부와 사회의 의지에 달려 있으며 그 첫걸음은 많은 탈북민이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통일교육 활동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통일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탈북민 및 탈북민 단체의 변천 과정과 실태를 조사하고, 소속된 통일교육 단체의 활동을 정리하면서 탈북민을 통한 통일교육의 개선과 ...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통일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탈북민 및 탈북민 단체의 변천 과정과 실태를 조사하고, 소속된 통일교육 단체의 활동을 정리하면서 탈북민을 통한 통일교육의 개선과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냉전과 탈냉전, 치열한 체제경쟁과 작금의 남북관계에 이르기까지 그동안 탈북민이 참여한 통일교육의 변천은 기본적으로 정부정책과 그 궤를 함께해 왔다고 볼 수 있다. 탈북민이 참여한 통일교육은 시기별로 반공안보교육시기(1953-1989), 통일안보교육시기(1990-1999), 통일교육시기(2000-현재) 등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볼 수 있으며 현재까지도 탈북민은 전국적인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의 통일교육 현장에 참여해왔다. 앞으로 우리 사회에서 통일에 대한 기대가 고조될수록 이들의 참여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를 통해 통일역량의 탈북민 발굴과 양성은 전적으로 통일을 준비하는 우리 정부와 사회의 의지에 달려 있으며 그 첫걸음은 많은 탈북민이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통일교육 활동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기성, "통일사회로의 발돋움, 그 성공을 위하여" 양서원 2007

      2 박순성, "통일논쟁 –12가지 쟁점, 새로운 모색" 한울 2015

      3 통일연구원, "통일교육 : 과거·현재·미래" 통일연구원 2011

      4 "탈북민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 세계만방에 천명"

      5 "탈북 대학생 휴학 증가…생계·학업 부적응"

      6 김명준, "종편채널의 비즈니스 전략과 북한정보 시장의 공략: ‘탈북민’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6 (16): 41-66, 2016

      7 방희경, "종편채널의 북한이미지 생산방식: ‘일상’으로의 전환, 이념적 정향의 고수" 한국언론학회 60 (60): 338-365, 2016

      8 배영애, "사회통일교육의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65-96, 2014

      9 박명규, "노스 코리안 디아스포라"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원 2012

      10 정하윤,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통합과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13 (13): 2012

      1 오기성, "통일사회로의 발돋움, 그 성공을 위하여" 양서원 2007

      2 박순성, "통일논쟁 –12가지 쟁점, 새로운 모색" 한울 2015

      3 통일연구원, "통일교육 : 과거·현재·미래" 통일연구원 2011

      4 "탈북민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 세계만방에 천명"

      5 "탈북 대학생 휴학 증가…생계·학업 부적응"

      6 김명준, "종편채널의 비즈니스 전략과 북한정보 시장의 공략: ‘탈북민’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6 (16): 41-66, 2016

      7 방희경, "종편채널의 북한이미지 생산방식: ‘일상’으로의 전환, 이념적 정향의 고수" 한국언론학회 60 (60): 338-365, 2016

      8 배영애, "사회통일교육의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65-96, 2014

      9 박명규, "노스 코리안 디아스포라"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원 2012

      10 정하윤, "남북한 통일 이후 사회통합과 민주시민교육의 방향" 13 (13): 2012

      11 권금상, "남북한 미디어의 탈북인/탈북탈남인 서사: 미디어가 구성하는 분단의 현재성과 윤리" 인문학연구원 73 : 73-112, 2018

      12 "경찰·국정원 이어 軍도… 탈북단체 지원 끊었다"

      13 "北에 있는 母와 통화해"

      14 통일부, "2018 평화ž통일 방향과 관점" 통일교육원 2018

      15 통일부, "2018 통일백서" 통일부 2018

      16 통일부, "2018 통일문제 이해" 통일교육원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9 1.22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