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20년대 말 일본 정치와 조선총독경질에 대한 고찰 = A Study of Japanese Politics and the Change of Korean Governor in the Late 192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65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getting into party cabinet period, Japan’s parties reformed the colonial system which is transformed from “military rule” to “cultural rule”, in order to achieve the penetration of colonial powers. The military officer of Saito Minoru who relies on advantages of civilian temperament, the origin of naval officers and harmonious personality succeed the governor of Korea for eight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anaka Giichi cabinet, the cabinet abandoned the policy of "coordinating foreign affairs" and began to shift to the line of "continental expansion". The realization of party control over Korea was an important part of their political layout. Due to the special status of Korea in the Japanese colony, the personnel issue of the governor of North Korea had also become an important point of contention among the Japanese political forces. Tanaka Giichi force Saito Minoru to resign through some ways such as public publicity, private conversations, secret promises and so on, then determined to make his ally Yamanasi HanZou governor of Korea. But this move also made a hidden danger for the downfall of Tanaka cabinet.
      번역하기

      After getting into party cabinet period, Japan’s parties reformed the colonial system which is transformed from “military rule” to “cultural rule”, in order to achieve the penetration of colonial powers. The military officer of Saito Minoru ...

      After getting into party cabinet period, Japan’s parties reformed the colonial system which is transformed from “military rule” to “cultural rule”, in order to achieve the penetration of colonial powers. The military officer of Saito Minoru who relies on advantages of civilian temperament, the origin of naval officers and harmonious personality succeed the governor of Korea for eight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anaka Giichi cabinet, the cabinet abandoned the policy of "coordinating foreign affairs" and began to shift to the line of "continental expansion". The realization of party control over Korea was an important part of their political layout. Due to the special status of Korea in the Japanese colony, the personnel issue of the governor of North Korea had also become an important point of contention among the Japanese political forces. Tanaka Giichi force Saito Minoru to resign through some ways such as public publicity, private conversations, secret promises and so on, then determined to make his ally Yamanasi HanZou governor of Korea. But this move also made a hidden danger for the downfall of Tanaka cabin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이 政黨內閣 시대에 진입하면서부터, 식민지로의 정당 세력 침투를 위해 식민지 官制개혁에 착수하기 시작했다. 武官 출신인 사이토 마코토(齋藤實)는 文官的인 자질과 해군 출신 배경, 그리고 특별히 모나지 않은 성격으로 인해 8년이라는 오랜 기간 동안 조선총독직을 역임할 수 있었다. 다나카 기이치(田中義一) 내각이 출범하면서, ‘協調外交’ 정책을 폐기하고, ‘大陸擴張’ 노선으로 우회하게 되는데, 조선에 대한 정당의 통제권 확보는 그 중요한 정치적 포석이었다. 조선이 일본식민지들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므로, 조선총독 인사문제는 일본 정치세력들 사이의 중요한 각축의 장이었다. 다나카 기이치는 여론, 밀담, 물밑 약조 등 수단을 동원해 사이토 마코토로 하여금 조선총독직을 사임하게 했으며, 반대를 무릅쓰고 자신의 조력자인 야마나시 한조(山梨半造)를 조선총독에 위임했다. 하지만 이는 결국 다나카 내각 몰락의 화근이 되었다.
      번역하기

      일본이 政黨內閣 시대에 진입하면서부터, 식민지로의 정당 세력 침투를 위해 식민지 官制개혁에 착수하기 시작했다. 武官 출신인 사이토 마코토(齋藤實)는 文官的인 자질과 해군 출신 배경,...

      일본이 政黨內閣 시대에 진입하면서부터, 식민지로의 정당 세력 침투를 위해 식민지 官制개혁에 착수하기 시작했다. 武官 출신인 사이토 마코토(齋藤實)는 文官的인 자질과 해군 출신 배경, 그리고 특별히 모나지 않은 성격으로 인해 8년이라는 오랜 기간 동안 조선총독직을 역임할 수 있었다. 다나카 기이치(田中義一) 내각이 출범하면서, ‘協調外交’ 정책을 폐기하고, ‘大陸擴張’ 노선으로 우회하게 되는데, 조선에 대한 정당의 통제권 확보는 그 중요한 정치적 포석이었다. 조선이 일본식민지들 중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므로, 조선총독 인사문제는 일본 정치세력들 사이의 중요한 각축의 장이었다. 다나카 기이치는 여론, 밀담, 물밑 약조 등 수단을 동원해 사이토 마코토로 하여금 조선총독직을 사임하게 했으며, 반대를 무릅쓰고 자신의 조력자인 야마나시 한조(山梨半造)를 조선총독에 위임했다. 하지만 이는 결국 다나카 내각 몰락의 화근이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財部彪日記"

      2 "読売新聞1927년 5월 24일"

      3 馮瑋, "評日本政治“存異”和文化“求同”的殖民統治方針" 中國 社會科學院世界歴史研究所 2002~3 : 2002

      4 尚友倶楽部, "田健治郎日記1" 芙蓉書房出版 2008

      5 伊藤隆, "牧野伸顕日記" 中央公論社 1990

      6 尚友倶楽部, "水野錬太郎回想録・関係文書" 山川出版 社 1999

      7 "水沢市立後藤新平記念館所蔵 後藤新平関係文書,館藏番號:34-56-3, 22-43"

      8 釋尾東邦, "植民地首脳部の進退" 朝鮮雜誌社 (236) : 1927

      9 岡本真希子, "枢密院と植民地問題―朝鮮・台湾支配体制との関係から" 吉川弘文館 2003

      10 李炯植, "松田利彦編日本の朝鮮・台湾支配と植民地官僚" 國際日 本文化研究センター 2008

      1 "財部彪日記"

      2 "読売新聞1927년 5월 24일"

      3 馮瑋, "評日本政治“存異”和文化“求同”的殖民統治方針" 中國 社會科學院世界歴史研究所 2002~3 : 2002

      4 尚友倶楽部, "田健治郎日記1" 芙蓉書房出版 2008

      5 伊藤隆, "牧野伸顕日記" 中央公論社 1990

      6 尚友倶楽部, "水野錬太郎回想録・関係文書" 山川出版 社 1999

      7 "水沢市立後藤新平記念館所蔵 後藤新平関係文書,館藏番號:34-56-3, 22-43"

      8 釋尾東邦, "植民地首脳部の進退" 朝鮮雜誌社 (236) : 1927

      9 岡本真希子, "枢密院と植民地問題―朝鮮・台湾支配体制との関係から" 吉川弘文館 2003

      10 李炯植, "松田利彦編日本の朝鮮・台湾支配と植民地官僚" 國際日 本文化研究センター 2008

      11 "東京朝日新聞1927.10.29, 1927.11.27, 1927. 11. 28, 1927.11.30"

      12 春山明哲, "昭和政治史における霧社事件―植民地統治の政治過程分析" 台湾近現代史學會 (創刊) : 1978

      13 伊藤隆, "昭和初期政治史研究―ロンドン海軍軍縮条約をめぐる諸政治集 団の対抗と提携" 東京大學出版會 1969

      14 粟屋憲太郎, "昭和の歴史6·昭和の政党" 小学館 1983

      15 釋尾東邦, "斎藤総督の辞任説と後任説" 朝 鮮雜誌社 1927

      16 駄場裕司, "斎藤実朝鮮総督更迭をめぐる対立図式―田中義一内閣倒閣論 再考" 吉川弘文館 (690) : 2005

      17 "斎藤実文書"

      18 釋尾東邦, "斎藤さんか?宇垣さんか?" 朝鮮雜誌 社 (238) : 1927

      19 "文藝春秋 1927년11월호"

      20 加藤聖文, "政党内閣確立期における植民地支配体制の模索--拓務省設置 問題の考察" 東アジア近代史學會 1998

      21 秦郁彦, "戦前期日本官僚制の制度・組織・人事" 東京大學出版會 1981

      22 小川平吉文書研究会, "小川平吉関係文書1" みすず書房 1973

      23 "密院会議議事録21" 東京大學出版會 1985

      24 "公文別録親任官任免 大正十三年から昭和四年 卷五, アジア歴史資料セ ンター, Ref. Code :A06051035400"

      25 "倉富勇三郎日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9 1.22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