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블라지미르 베르나드스키(V. Vernadsky) 과학 이론의 문학적 수용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919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cceptance of Vladimir Vernadsky’s science theory to literature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Vernadsky unfolded his theory on biosphere and noosphere, and it had produced a powerful effect on Russian literary circles. Based on the fact,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aspects reflected in writers’ Weltanschuung and implemented in literature in three categories.

      The concept of biosphere reflected in ecological literature
      Vernadsky regarded the biological world as one of the geological powers to create and control earth’s environment. He defined it biosphere - the field arising organic interaction between life and non-life. His concept of ‘biosphere’ had provided writers seeking a new outlook on the world with various literary sources. Vernadsky’s concept not only had a big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ecology but also aroused the unlimited imagination of writers. The element drawn from Vernadsky’s biosphere, which closely relates man with geological sphere, reveals holistic ecological perspective considering ecosystem as having organism. It is well brought out in the stories such as <Farewell to Matyora> by Valentin Rasputin, <The Queen Fish> by Viktor Astafiev, <The Block> by Chingiz Aitmatov, <Father Forest> by Anatoly Kim.
      Generally speaking, the notion of man’s mastery over nature is based on a viewpoint of man’s difference from nature. However, it is clear in the concept of ‘biosphere’ that a man is born in the whole frame of the Earth ecosystem including animals and plants.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makes creating a new paradigm which demonstrates a complete whole of the organic and the inorganic world.

      The reflection of the concept of noosphere in the advancement of human reason
      Vernadsky stands on his hypothesis that the new perspective of humanity becomes possible by conversion of man’s state from biosphere to noosphere. Man’s scientific thought, which had not been existed in the history of biosphere, becomes a momentum to develop science and technology. The earth’s biochemical energy creates new bigger forms of energy through the movement and exchange of chemical elements, growing energy in the process takes shape of noosphere, which is related with man’s reason. This perspective is reflected at the poetry of 1920’s Soviet literary group, The Smithy. The poets, such as Kirillov, Kazin, Gerasimov, Aleksandrovsky, Gastev, Sannikov, clearly expressed that science and technology is useful to humans as well as is a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consciousness.

      The reflection of the concept of super-human in literature
      Vernadsky maintains that the concept of ‘noosphere’ never ends even though one reaches there. According to him, noosphere is the sphere of ability to reason, and it evolves. The evolution continues generating beyond humans to the higher beings. In this connection, he provides hypothesis of human evolutions from sub-human to beyond human via the current human. He denies humans as the pinnacle of creation. This perspective was realized in the writers’ worldview. The writers of Natural Philosophy, such as Timur Platov, Anatoly Kim, clearly define the various circles of existence from animals to Christ, presenting the three aspects of evolution – animal, human, real human - in their works. These are literary presentations of Vernadsky’s worldview on beyond-consciousness and beyond-life. Anatoly Kim’s concept of ‘oboroten’ is a good example of a meson between animal and human. In the world of animal, there is a truth of nature. It is that animals do not know such concept as good and evil, freedom of choice… However, humans are easy to make evil choice and fall down lower than animals. According to Vernadsky’, It is human consciousness, which is one of the most vital factors in noosphere, to prevent wrong choice.
      번역하기

      The acceptance of Vladimir Vernadsky’s science theory to literature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Vernadsky unfolded his theory on biosphere and noosphere, and it had produced a powerful effect on Russian literary circles. Based on the f...

      The acceptance of Vladimir Vernadsky’s science theory to literature become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Vernadsky unfolded his theory on biosphere and noosphere, and it had produced a powerful effect on Russian literary circles. Based on the fact,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aspects reflected in writers’ Weltanschuung and implemented in literature in three categories.

      The concept of biosphere reflected in ecological literature
      Vernadsky regarded the biological world as one of the geological powers to create and control earth’s environment. He defined it biosphere - the field arising organic interaction between life and non-life. His concept of ‘biosphere’ had provided writers seeking a new outlook on the world with various literary sources. Vernadsky’s concept not only had a big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ecology but also aroused the unlimited imagination of writers. The element drawn from Vernadsky’s biosphere, which closely relates man with geological sphere, reveals holistic ecological perspective considering ecosystem as having organism. It is well brought out in the stories such as <Farewell to Matyora> by Valentin Rasputin, <The Queen Fish> by Viktor Astafiev, <The Block> by Chingiz Aitmatov, <Father Forest> by Anatoly Kim.
      Generally speaking, the notion of man’s mastery over nature is based on a viewpoint of man’s difference from nature. However, it is clear in the concept of ‘biosphere’ that a man is born in the whole frame of the Earth ecosystem including animals and plants.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makes creating a new paradigm which demonstrates a complete whole of the organic and the inorganic world.

      The reflection of the concept of noosphere in the advancement of human reason
      Vernadsky stands on his hypothesis that the new perspective of humanity becomes possible by conversion of man’s state from biosphere to noosphere. Man’s scientific thought, which had not been existed in the history of biosphere, becomes a momentum to develop science and technology. The earth’s biochemical energy creates new bigger forms of energy through the movement and exchange of chemical elements, growing energy in the process takes shape of noosphere, which is related with man’s reason. This perspective is reflected at the poetry of 1920’s Soviet literary group, The Smithy. The poets, such as Kirillov, Kazin, Gerasimov, Aleksandrovsky, Gastev, Sannikov, clearly expressed that science and technology is useful to humans as well as is a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consciousness.

      The reflection of the concept of super-human in literature
      Vernadsky maintains that the concept of ‘noosphere’ never ends even though one reaches there. According to him, noosphere is the sphere of ability to reason, and it evolves. The evolution continues generating beyond humans to the higher beings. In this connection, he provides hypothesis of human evolutions from sub-human to beyond human via the current human. He denies humans as the pinnacle of creation. This perspective was realized in the writers’ worldview. The writers of Natural Philosophy, such as Timur Platov, Anatoly Kim, clearly define the various circles of existence from animals to Christ, presenting the three aspects of evolution – animal, human, real human - in their works. These are literary presentations of Vernadsky’s worldview on beyond-consciousness and beyond-life. Anatoly Kim’s concept of ‘oboroten’ is a good example of a meson between animal and human. In the world of animal, there is a truth of nature. It is that animals do not know such concept as good and evil, freedom of choice… However, humans are easy to make evil choice and fall down lower than animals. According to Vernadsky’, It is human consciousness, which is one of the most vital factors in noosphere, to prevent wrong cho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베르나드스키의 ‘생명권’과 ‘정신권’ 이론의 배경과 파급에 대한 규명을 바탕으로 그의 이론이 러시아 작가들의 세계관에 반영되고 문학에 구현된 양상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1. 생태 문학에 반영된 ‘생명권’ 개념

      베르나드스키는 생명체를 지구 환경을 창조하고 제어하는 지질학적인 힘의 하나로 간주하며, 생명체와 비생명체 사이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장을 ‘생명권’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생물과 환경의 상호관계에 토대를 두는 생태학 분야의 발전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태의식을 문학으로 구현했던 작가들에게도 무한한 상상력을 불러일으켰다. 베르나드스키의 ‘생명권’에서 도출되는 요소, 즉 인간이 지구의 지질학적 막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관점은 결국 생태계를 총체성, 유기성을 지닌 것으로 보는 전체론적 시각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생물과 무생물의 상호관계,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연결성에 의식을 두었던 발렌친 라스푸친의『마쪼라의 이별』(1976), 빅토르 아스타피예프의『물고기-대왕』(1976), 친기즈 아이트마토프의『처형대』(1986), 아나톨리 김의 『아버지-숲』(1989) 등에 잘 나타나 있다.

      2. 인간 이성의 진보에 관한 ‘정신권’ 개념의 반영

      베르나드스키는 인류의 새로운 전망은 지구의 상태가 생명권에서 정신권으로 전환함으로써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급속히 성장하는 에너지가 인간 이성과 관련되는 '정신권'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20세기에 이르러 인간은 축척된 이성의 발달로 전 생명권을 점령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실존의 영역까지 변형시키게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렇게 인간이 최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의 경계를 넘어 우주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그의 관점은 1920년대 ‘대장간파’들의 시에 반영되어 있다. 과학기술과 관련된 기술 중심 문화는 신이 부여한 세계질서를 거부하고 전혀 새로운 개념의 세계를 창조하고자 하는 플라토노프에게도 주요한 예술정신으로 나타난다. 『체벤구르』를 비롯하여 1920년대 공상과학소설들에서 플라토노프는 과학적 상상력과 허구적 시공간을 통해 인간의식의 실천과학을 설파했다. 그는 인간의 의식은 역사의 수레바퀴를 끌고 가는 동인이며, 이 의식의 필수적 도구가 ‘과학’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베르나드스키의 정신권의 한 축에서 나온 인간의 이성과 과학의 힘에 대한 지나친 맹신은 자연을 정복의 개념으로만 이해하는 부작용을 낳은 것도 사실이다. 흘레브니코프는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기술에 맡겨진 미래에 대한 염려와 문명과 자연 사이에서 빚어지는 갈등을『라도미르』에서 표현하였다. 인간을 자연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였던 예세닌 역시『이노니야』에서 반자본주의와 반기계문명의 이상향을 농촌에 건설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3. 초(超) 인류로의 진화 개념에 대한 문학적 반영

      베르나드스키의 ‘정신권’ 개념은 한 개인이 도달했다고 해서 끝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인류는 ‘하위 인류 → 현 인류 → 초 인류’의 패턴으로 진화한다는 것을 주장하는 그의 관점에서 현재의 인간은 결코 창조의 정점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보다 지고한 의식을 가진 존재로 정신적인 차원의 진화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소설가들의 관점을 통해 구체화되었으며, 특히
      번역하기

      본 연구는 베르나드스키의 ‘생명권’과 ‘정신권’ 이론의 배경과 파급에 대한 규명을 바탕으로 그의 이론이 러시아 작가들의 세계관에 반영되고 문학에 구현된 양상을 다음과 같이 구분...

      본 연구는 베르나드스키의 ‘생명권’과 ‘정신권’ 이론의 배경과 파급에 대한 규명을 바탕으로 그의 이론이 러시아 작가들의 세계관에 반영되고 문학에 구현된 양상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1. 생태 문학에 반영된 ‘생명권’ 개념

      베르나드스키는 생명체를 지구 환경을 창조하고 제어하는 지질학적인 힘의 하나로 간주하며, 생명체와 비생명체 사이의 유기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장을 ‘생명권’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생물과 환경의 상호관계에 토대를 두는 생태학 분야의 발전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태의식을 문학으로 구현했던 작가들에게도 무한한 상상력을 불러일으켰다. 베르나드스키의 ‘생명권’에서 도출되는 요소, 즉 인간이 지구의 지질학적 막과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관점은 결국 생태계를 총체성, 유기성을 지닌 것으로 보는 전체론적 시각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생물과 무생물의 상호관계,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연결성에 의식을 두었던 발렌친 라스푸친의『마쪼라의 이별』(1976), 빅토르 아스타피예프의『물고기-대왕』(1976), 친기즈 아이트마토프의『처형대』(1986), 아나톨리 김의 『아버지-숲』(1989) 등에 잘 나타나 있다.

      2. 인간 이성의 진보에 관한 ‘정신권’ 개념의 반영

      베르나드스키는 인류의 새로운 전망은 지구의 상태가 생명권에서 정신권으로 전환함으로써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급속히 성장하는 에너지가 인간 이성과 관련되는 '정신권'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는 20세기에 이르러 인간은 축척된 이성의 발달로 전 생명권을 점령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실존의 영역까지 변형시키게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렇게 인간이 최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의 경계를 넘어 우주 공간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그의 관점은 1920년대 ‘대장간파’들의 시에 반영되어 있다. 과학기술과 관련된 기술 중심 문화는 신이 부여한 세계질서를 거부하고 전혀 새로운 개념의 세계를 창조하고자 하는 플라토노프에게도 주요한 예술정신으로 나타난다. 『체벤구르』를 비롯하여 1920년대 공상과학소설들에서 플라토노프는 과학적 상상력과 허구적 시공간을 통해 인간의식의 실천과학을 설파했다. 그는 인간의 의식은 역사의 수레바퀴를 끌고 가는 동인이며, 이 의식의 필수적 도구가 ‘과학’이라고 보았던 것이다. 베르나드스키의 정신권의 한 축에서 나온 인간의 이성과 과학의 힘에 대한 지나친 맹신은 자연을 정복의 개념으로만 이해하는 부작용을 낳은 것도 사실이다. 흘레브니코프는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기술에 맡겨진 미래에 대한 염려와 문명과 자연 사이에서 빚어지는 갈등을『라도미르』에서 표현하였다. 인간을 자연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하였던 예세닌 역시『이노니야』에서 반자본주의와 반기계문명의 이상향을 농촌에 건설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3. 초(超) 인류로의 진화 개념에 대한 문학적 반영

      베르나드스키의 ‘정신권’ 개념은 한 개인이 도달했다고 해서 끝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인류는 ‘하위 인류 → 현 인류 → 초 인류’의 패턴으로 진화한다는 것을 주장하는 그의 관점에서 현재의 인간은 결코 창조의 정점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보다 지고한 의식을 가진 존재로 정신적인 차원의 진화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소설가들의 관점을 통해 구체화되었으며, 특히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