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내 유아 중독 연구의 내용 분석 = Content Analysis of Domestic Child Addiction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223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중독 연구에 따른 유아 중독연구의 시기, 대상, 중독영역, 변인/효과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유아대상 중독예방 웹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되고 본 연구의 목적과 일치되는 연구대상 논문 32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중독 연구논문의 수는 32편으로 2006편 연구가 시작되면서 2014년까지 점점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중독연구에서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72%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이 19%, 유아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중독연구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72%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이 19%, 유아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중독연구에서 중독영역은 스마트폰이 44%, 게임이 34%, 미디어 13%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 중독연구에서 변인/효과는 자기조절력/자아존중감/공격성이 23%, 다음으로 중독경향성이 19%로 전체의 4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중독 연구에 따른 유아 중독연구의 시기, 대상, 중독영역, 변인/효과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유아대상 중독예방 웹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중독 연구에 따른 유아 중독연구의 시기, 대상, 중독영역, 변인/효과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유아대상 중독예방 웹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되고 본 연구의 목적과 일치되는 연구대상 논문 32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중독 연구논문의 수는 32편으로 2006편 연구가 시작되면서 2014년까지 점점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중독연구에서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72%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이 19%, 유아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중독연구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72%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유아와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한 논문이 19%, 유아와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6%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 중독연구에서 중독영역은 스마트폰이 44%, 게임이 34%, 미디어 13%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 중독연구에서 변인/효과는 자기조절력/자아존중감/공격성이 23%, 다음으로 중독경향성이 19%로 전체의 4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period, target, addiction area, and variables/effects of child addiction studies. To this end, 32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by 2021 and in accord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irs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on child was 32, and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on child addiction started in 2006 and gradually had increased to 2014. Second, the studies of targeting on children had the largest portion marking 72%, followed by 19% targeting on children and mothers, and 6% targeting on children and parents. Third, the addiction areas were 44% for smartphones, 34% for games, and 13% for mass media. Fourth, the variables/effects taken into account were self-regulation/self-esteem/aggression constituting 23%, and addiction tendency constituting 19%, adding up to 42%. From our research resul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caused by limiting the research papers only to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child addiction. Our findings show that it is necessary not to limit research subjects to children, but to extend them to teachers, parents, and other research subjects around them.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addiction studies into a multivariate study comprising addiction variables and effects related to smoking, alcohol, and preven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period, target, addiction area, and variables/effects of child addiction studies. To this end, 32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by 2021 and in accord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e period, target, addiction area, and variables/effects of child addiction studies. To this end, 32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by 2021 and in accord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First,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on child was 32, and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on child addiction started in 2006 and gradually had increased to 2014. Second, the studies of targeting on children had the largest portion marking 72%, followed by 19% targeting on children and mothers, and 6% targeting on children and parents. Third, the addiction areas were 44% for smartphones, 34% for games, and 13% for mass media. Fourth, the variables/effects taken into account were self-regulation/self-esteem/aggression constituting 23%, and addiction tendency constituting 19%, adding up to 42%. From our research resul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terms of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caused by limiting the research papers only to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child addiction. Our findings show that it is necessary not to limit research subjects to children, but to extend them to teachers, parents, and other research subjects around them.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addiction studies into a multivariate study comprising addiction variables and effects related to smoking, alcohol, and preven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