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간 모형에서, 매 기에 소비자들이 시장에 도착한다. 그래서 1기 소비자와 2기 소비자가 있다. 상품이 network 효과를 가지므로, 1기 소비자와 2기 소비자가 같은 상품을 선택할 때, 상품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9029
200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기간 모형에서, 매 기에 소비자들이 시장에 도착한다. 그래서 1기 소비자와 2기 소비자가 있다. 상품이 network 효과를 가지므로, 1기 소비자와 2기 소비자가 같은 상품을 선택할 때, 상품이 ...
2-기간 모형에서, 매 기에 소비자들이 시장에 도착한다. 그래서 1기 소비자와 2기 소비자가 있다. 상품이 network 효과를 가지므로, 1기 소비자와 2기 소비자가 같은 상품을 선택할 때, 상품이 제공하는 stand-alone benefits 외에도 그들은 추가의 효용을 느낄 수 있다. Network효과로 인해서, 1기 소비자는 2기 소비자가 무슨 상품을 선택할 것인지 예상을 해야 하고, 동시에 1기 소비자의 선택은 2기 소비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즉, 1기, 2기 소비자들간에는 일종의 coordination problem이 있는 것이다.
신상품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이 있고, 이 기업은 2기에 그 상품을 시장에 판매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1기 소비자는 두 가지의 선택이 있다. 현재 시장에서 구입할 수 있는 상품을 구입할 것인지, 아니면 그 신상품을 사기 위해 2기까지 기다릴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현재 시장에 있는 상품을 상품 A, 2기에 들어 올 신상품은 상품 B라고 칭하겠다. 이 두 상품은 서로 다른 기업에 의해 생산되고 있으면, 서로 비호환적 (incompatible)이다. )
만약 1기 소비자가 상품 A 를 구입하면, network 효과로 인해서, 상품 B는 2기에 상품 A와 경쟁하는 데 있어 전략적 disadvantage를 지니게 된다. 만약 1기 소비자가 상품 A를 사지 않고 2기까지 기다리면 상품 B는 평등한 level에서 상품 A와 경쟁하게 된다.
여기서 신상품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은 자신이 개발하고 있는 상품이 지니는 여러 가지 특성을 시장에 미리 발표함으로써, 1기 소비자들이 1기에 상품 A를 구매하지 않고 2기까지 기다리기를 원한다.
1기 소비자들은 1기에 소비하지 않고, 2기까지 기다릴 때, 신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1기에 소비를 하지 못하는 waiting cost가 있다. 우리는 여기서 신상품이 high quality일 때, 1기 소비자들이 신상품을 기다리고 싶은 경우를 분석하겠다.
기업이 high quality 상품을 개발하는 능력을 그 기업의 type으로 보고, 기업은 자신의 type을 알고 있으나, 소비자들은 type에 대한 distribution만을 아는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기업이 high quality 상품을 시장에 가지고 올 확률을 계산하게 된다.
기업은 자신이 개발하고 있는 상품이 high quality인지를 발표를 하고, 소비자들은 이러한 발표가 non-binding한 cheap talk이라는 것을 아는 상황에서 자신들의 최적의 소비행위를 하게 된다. 만약 이러한 게임을 한 번만 하게 되면, 기업과 소비자 간에는 아무런 information 교환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게임을 두 번 행하는 경우를 분석하겠다.
(a) 기업과 소비자들이 이러한 게임을 두번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우리는 기업의 전략적 신상품 발표를 분석해서, 이를 Perfect Bayesian Equilibrium으로 도출하고 여기서 non-binding한 기업의 전략적 발표가 가지는 reputation effect를 분석한다.
(b) 기업의 신상품 발표는 1기 소비자의 선택을 바꿈으로써 2기 소비자의 선택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만약, 1기 소비자가 상품 A를 선택하면, 상품 A가 2기 소비자들에게 보다 매력적으로 된다.) 이러한 신상품 발표가 1기 소비자와 2기 소비자간의 coordination problem을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한다. 동시에, 신상품 발표가 사회적으로 우수한 기술을 시장의 standard로 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 분석한다.
(c) 동시에 이러한 신상품 발표가 지니는 반 공정행위 (antitrust)의 성격을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