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철도차량 운전실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인간공학 평가기술 개발 = Development of ergonomic evaluation technology for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of locomotive cab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2702062

      • 저자
      • 발행사항

        의왕: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1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625.1 판사항(22)

      • ISBN

        9788988827949: 가격불명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경기도

      • 서명/저자사항

        철도차량 운전실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인간공학 평가기술 개발= Development of ergonomic evaluation technology for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of locomotive cabs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관연구기관; 경희대학교 위탁연구기관; 아주대학교 위탁연구기관.

      • 형태사항

        xxxvi, 470 p.: 삽도(일부채색), 도표; 30 cm.

      • 총서사항

        KRRI 연구; 2011-023

      • 일반주기명

        연구책임자: 박찬우(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변승남(경희대학교), 이재천(아주대학교)
        연구사업명: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요사업
        대과제명: 미래 기술 기획 및 창의연구
        연구: 박철암, 최경진, 왕종배 외 4인
        참여연구원(한국철도기술연구원): 조연옥, 박철암, 최경진, 왕종배, 홍선호, 곽상록, 최돈범, 박혜숙
        참여연구원(경희대학교): 김정호, 허은미, 박홍준
        참여연구원(아주대학교): 김재철, 심상현
        일부 영한대역
        참고문헌: p. 462-470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과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술문화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연구개발의 개요(Introduction) = 1
      •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Necessi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 1
      • 제2절 연구개발의 최종목표(Objec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 3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State of domestic and external research) = 9
      • 목차
      • 제1장 연구개발의 개요(Introduction) = 1
      •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Necessit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 1
      • 제2절 연구개발의 최종목표(Objec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 3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State of domestic and external research) = 9
      • 제1절 기술동향 및 수준분석(Technology trends and level analysis) = 9
      • 1. 기술동향 분석(Analysis of technology trends) = 9
      • 가. 타 산업 분야의 인간공학 및 인적오류 연구 동향 검토(Review for ergonomics and human errors research trends in other industries) = 9
      • 나. 세계 고속철도 차량 운전석의 디자인 동향(Trends in design of international high-speed train drivers' cabs) = 11
      • 다. 철도 분야의 인적오류 연구 동향 검토(Review for trends in research into human errors in the railway industry) = 12
      • 라. 철도차량 운전실 인간공학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Current state of development of ergonomic evaluation guidelines for locomotive cabs) = 18
      • 마. 철도차량 운전실 Human Factors 관련 평가 사례 현황(Current state of cases of human factors related evaluation for locomotive cabs) = 22
      • 2. 기술수준 분석(Analysis of technology level) = 27
      • 3. 분석의 시사점(Implication of analyses) = 30
      • 제2절 시장동향 분석(Analysis of market trend) = 31
      • 1. 국내(Local market) = 31
      • 2. 국외(Foreign market) = 32
      • 제3절 SWOT 분석(SWOT analysis) = 33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Accomplishment contents and result) = 35
      • 제1절 철도차량 운전실의 작업환경에 의한 인적오류 분석 기술 개발(Development of technology analyzing human errors caused by work environment of locomotive cabs) = 35
      • 1. 인적 오류 분석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 수행내용(Contents of research for development of human errors analysis technology) = 36
      • 가. 철도차량 운전실 작업환경 조사(Investigation into work environment of locomotive cabs) = 37
      • 나. 철도차량 운전실 인적 오류 분석(Analysis of human errors in locomotive cabs) = 40
      • 2. 철도차량 운전실 작업환경 조사결과(Results of investigation into work environment of locomotive cabs) = 88
      • 가. 철도 차종별 특성 분석(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locomotive cab by type of train) = 88
      • 나. 기관사 만족도 조사(Survey of drivers' satisfaction) = 99
      • 다. 연구 대상 철도차량 선정 및 운전실 기기 분석(Selection of trains for research and analysis of equipment of locomotive cabs) = 112
      • 3. 철도차량 운전실 인적 오류 분석결과(Results of analysis of human errors in locomotive cabs) = 133
      • 가. 철도 기관사 세부 운전직무 분석(Analysis of drivers' detailed tasks) = 133
      • 나. 운전 제어대 기기의 기능 분류(Classification of functions of driver's desk equipment) = 160
      • 다. 운전 직무부하 평가(Evaluation of drivers' task load) = 161
      • 라. 정성적 인적 오류 분석(Qualitative human error analysis) = 184
      • 마. 정량적 인적 오류 분석(Quantitative human error analysis) = 207
      • 제2절 철도차량 운전실의 인간공학 평가 기준/요건 관리체계 구축(Establishment of management system for ergonomic criteria/requirements of locomotive cabs) = 239
      • 1. SE 표준 요건분석 프로세스를 응용한 인간공학 요건관리 프로세스 개발(Development of ergonomic requirements management process applying SE standard requirements analysis preocess) = 239
      • 가. SE 표준 요건분석 프로세스(SE standard requirements analysis process) = 239
      • 나. 조정된 철도차량 운전실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인간공학 요건분석 프로세스(Ergonomic requirements analysis process for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of locomotive cabs) = 241
      • 다. 철도차량 운전실의 인간공학 기준/요건 도출 및 보고서와 해설서 작성(Derivation of ergonomic criteria and requirements for locomotive cabs and creation of a report and a reference book) = 245
      • 2. 철도차량 "기관사 인적오류"의 인간공학 기준/요건"의 추적성 스키마 개발(Development of the schema of traceability between "drivers' human errors" and "ergonomic criteria/requirements" for railway vehicles) = 423
      • 가. 철도차량에 대한 "기관사 인적오류"와 "인간공학 기준/요건" 간 추적성 스키마 개발(Development of the schema of traceability between "drivers' human errors" and "ergonomic criteria/requirements" for railway vehicles) = 423
      • 나. "기관사 인적오류"와 "인간공학 기준/요건" 의 관계설정 및 검증(Establishment of relations between "drivers' human errors" and "ergonomic criteria/requirements" and verification of the relations) = 425
      • 3. 철도차량 운전실의 인간공학 기준/요건 SE 전산 환경 구축(Construction of SE S/ environment for ergonomic criteria/requirements) = 429
      • 제3절 철도차량 운전실의 인간공학평가를 위한 가상 모형화 기술 개발(Development of virtual modeling technology for ergonomic evaluation for locomotive cabs) = 433
      • 1. 철도차량 운전자의 신체적 특성(Physical characteristics for train drivers) = 433
      • 가. 신체적 특성과 열차 운전실의 설계(Physical characteristics and design of locomotive cabs) = 433
      • 나. 국내 신체적 특성(Koreans' physical characteristics) = 433
      • 다. 국내 철도운전자의 신체적 특성 및 추정(Local driver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estimation) = 435
      • 2. 철도차량 운전자의 인체 모형 개발(Development of train driver's body models) = 439
      • 3. 철도차량 운전실의 설계(Design of locomotive cabs) = 442
      • 가. 신체적 특성에 따른 적용사례(VVVF 전동차량)(Case of application by phsical characteristics(VVVF electric locomotive)) = 443
      • 나. 신체적 특성에 따른 적용사례(7400대 기관차)(Case of application by physical characteristics(7400 series diesel electirc locomotive)) = 445
      • 4. 철도차량 운전실의 인간공학평가를 위한 가상 모형화 절차 개발(Development of virtual modeling procedures for ergonomic evaluation for locomotive cabs) = 452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Achievemen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contributions to related fields of study) = 455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Application pla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esult) = 459
      • 제6장 참고문헌(References) = 4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