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상세계의 확장과 조형표현 연구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7777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동덕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 회화학과 , 2024. 8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652.5 판사항(6)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expansion and formative expression of the ideal world : focusing on the researcher's works

      • 형태사항

        vi, 106 p. : 천연색삽화 ; 27 cm.

      • 일반주기명

        동덕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서 용
        서지적 각주 수록
        참고문헌 : p. 83-86

      • UCI식별코드

        I804:11021-000000107710

      • 소장기관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2023년 9월 6일 - 11일 서울 동덕아트갤러리에서 열린 대학원 졸업 작품 평가를 위한 석사학위 청구전 <수집된 세계>에 출품작들을 중심으로 한 연구이다. 이상세계 작품들이 형성된 배경을 살펴보고 분석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와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디지털 시대에서 과거보다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여러 방면을 경험할 수 있게 된 긍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하루 중 절반 이상의 시간을 콘크리트 만들어진 건물에서 생활하며 반복적인 일상으로 인해 경직되어 있는 부정적 측면도 보았다. 이러한 긍정적, 부정적 형태의 일상에서 현대인들이 주말엔 도심 밖의 자연과 함께하는 것을 목격했으며 그때 인간 본연의 자유와 즐거움을 누린다는 것을 인지하였고 이러한 지점에서 사람과 자연의 관계성에 주목하였다.
      이상세계란 가상으로 만들어낸 이상(異相)표현의 산물이며, 자유롭게 거닐며 노닐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연구자의 정신적 표상으로서 그에 따른 조형적 특징이 있다. 정신적 표상으로서 조형적 특징과 내부에 있는 성격과 내용을 밝히기 위해 형식적 배경으로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을, 내용적 배경으로 장자의 소요유와 동양의 은일공간으로 나누어 탐구하였다.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을 통해 이상세계가 현실이 아닌 표상으로서 존재함에 있어서, 어떠한 곳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탐구를 진행하였다. 우리가 경험한 사건들이나 정보들을 시뮬라크르들로 가정하여 이상세계를
      연구자가 사회적으로 경험한 것들과 수많은 정보들이 모여져 있는 시뮬라크르들의 집합체로 가정하여 분석 도출하였다.
      사람과 자연의 관계를 장자의 소요유의 이론을 통해 정의하고, 이상세계가 창조되어진 역사적 배경을 밝혔다. 과거부터 내려온 동양의 이상향인 무릉도원에 대해 연구하며 이전의 이상세계에 내재되어 있는 성격과 이상세계를 그린 작품들을 통해 현대를 살아가는 연구자의 작품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소요유의 소요하기를 바탕으로 생성된 은일공간 문화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제시하여 이상세계가 정신적 은일공간임을 도출하였다.
      정원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외부의 이상세계는 자연과 함께 거닐고, 더 나아가 탐구도 가능한 산책자의 길로 상정하였다. 구성요소들의 적절한 배치와 다양한 시점의 변화를 통해 시각 이미지의 조형언어인 차경, 색면추상으로 내부의 이상세계를 표현하였다. 그중 공간의 표현에 있어 형식적으로 혹은 내용적으로 유사한 선행 작가들을 연구하고 분석함으로서 연구자가 지향하는 조형의 효과적인 표현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점차 확장되어가고 있는 이상세계의 시각 이미지 조형에 대해 분석이다.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조형적 시도를 한 내용들을 서술하며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더 나아가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디지털 시대에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이상세계에서 자연과 자유롭게 방랑하는 가상의 실재를 보여주고자 한다. 또한 연구자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의 반영을 통해 만들어진 이상세계의 모습에 대한 연구는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며 자연과 함께하려는 사람들의 본능을 시각 이미지로서 승화하며 앞으로의 이상세계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2023년 9월 6일 - 11일 서울 동덕아트갤러리에서 열린 대학원 졸업 작품 평가를 위한 석사학위 청구전 <수집된 세계>에 출품작들을 중심으로 한 연구이다. 이상세계 작품들이 형...

      본 논문은 2023년 9월 6일 - 11일 서울 동덕아트갤러리에서 열린 대학원 졸업 작품 평가를 위한 석사학위 청구전 <수집된 세계>에 출품작들을 중심으로 한 연구이다. 이상세계 작품들이 형성된 배경을 살펴보고 분석하여 작품에 대한 이해와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디지털 시대에서 과거보다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여러 방면을 경험할 수 있게 된 긍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하루 중 절반 이상의 시간을 콘크리트 만들어진 건물에서 생활하며 반복적인 일상으로 인해 경직되어 있는 부정적 측면도 보았다. 이러한 긍정적, 부정적 형태의 일상에서 현대인들이 주말엔 도심 밖의 자연과 함께하는 것을 목격했으며 그때 인간 본연의 자유와 즐거움을 누린다는 것을 인지하였고 이러한 지점에서 사람과 자연의 관계성에 주목하였다.
      이상세계란 가상으로 만들어낸 이상(異相)표현의 산물이며, 자유롭게 거닐며 노닐 수 있는 공간에 대한 연구자의 정신적 표상으로서 그에 따른 조형적 특징이 있다. 정신적 표상으로서 조형적 특징과 내부에 있는 성격과 내용을 밝히기 위해 형식적 배경으로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을, 내용적 배경으로 장자의 소요유와 동양의 은일공간으로 나누어 탐구하였다.
      장 보드리야르의 시뮬라시옹 이론을 통해 이상세계가 현실이 아닌 표상으로서 존재함에 있어서, 어떠한 곳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탐구를 진행하였다. 우리가 경험한 사건들이나 정보들을 시뮬라크르들로 가정하여 이상세계를
      연구자가 사회적으로 경험한 것들과 수많은 정보들이 모여져 있는 시뮬라크르들의 집합체로 가정하여 분석 도출하였다.
      사람과 자연의 관계를 장자의 소요유의 이론을 통해 정의하고, 이상세계가 창조되어진 역사적 배경을 밝혔다. 과거부터 내려온 동양의 이상향인 무릉도원에 대해 연구하며 이전의 이상세계에 내재되어 있는 성격과 이상세계를 그린 작품들을 통해 현대를 살아가는 연구자의 작품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소요유의 소요하기를 바탕으로 생성된 은일공간 문화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제시하여 이상세계가 정신적 은일공간임을 도출하였다.
      정원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외부의 이상세계는 자연과 함께 거닐고, 더 나아가 탐구도 가능한 산책자의 길로 상정하였다. 구성요소들의 적절한 배치와 다양한 시점의 변화를 통해 시각 이미지의 조형언어인 차경, 색면추상으로 내부의 이상세계를 표현하였다. 그중 공간의 표현에 있어 형식적으로 혹은 내용적으로 유사한 선행 작가들을 연구하고 분석함으로서 연구자가 지향하는 조형의 효과적인 표현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점차 확장되어가고 있는 이상세계의 시각 이미지 조형에 대해 분석이다. 시각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조형적 시도를 한 내용들을 서술하며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더 나아가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디지털 시대에서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이상세계에서 자연과 자유롭게 방랑하는 가상의 실재를 보여주고자 한다. 또한 연구자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의 반영을 통해 만들어진 이상세계의 모습에 대한 연구는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며 자연과 함께하려는 사람들의 본능을 시각 이미지로서 승화하며 앞으로의 이상세계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focusing on the works submitted to <The World Collected>, a master's degree exhibition for evaluation of graduate work,
      held at Dongduk Art Gallery in Seoul from September 6 to 11, 20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background of Ideal
      World's works to understand them and seek development directions.
      In the digital age, in addition to the positive side of being able to collect more information and experience various aspects than in the past, I also
      saw the negative side of living in a concrete building for more than half of the day and becoming rigid due to repetitive daily life.
      In these positive and negative forms of daily life, I observed that modern people spend weekends outside the city with nature, and I recognized
      that they enjoy the freedom and joy inherent in humans, and at this point, I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nature.
      The ideal world is a product of virtual expressions of ideals, where one can freely walk around and play.
      As a researcher's mental representation of a space that can be explored, it has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reveal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character and content as a mental representation, Jean Baudrillard's Simulation was
      studied as a formal background, and Zhuangzi(莊子)'s Soyoyu(逍遙遊) and Seclusion space(隱逸) were studied as a content background.
      What we experienced events and information were assumed to be simulacrum. And the ideal world was analyzed assuming that it was a
      collection of simulacrums containing numerous pieces of inform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nature was defined through Zhuangzi's theory of Soyoyu,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ideal world was revealed.
      We studied Mureungdowon(武陵桃源), an Oriental utopia that has been handed down from the past, and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 previous ideal worl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orks of researchers living in modern times through works depicting the ideal world.
      In addition, by presenting historical facts about the spatial culture created based on Soyoyu, it was derived that the ideal world is a spiritual seclusion space.
      The external ideal world,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garden, is a place where one can walk with nature and further explore it.
      The external ideal world,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garden, was assumed to be a path of a walker who can walk with nature and further explore. Through the appropriat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and changes in various viewpoints, the internal ideal world was expressed through the formative language of visual images, Cha Kyung(借景) and color field abstract. Among them, the researcher searched for an effective formative expression aimed at by studying and analyzing previous artists who were similar in form or content in the expression of space.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visual image formation of the continuously expanding ideal world. In order to enhance the visual effect,
      we describe various formative attempt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work, and furthermore, to show modern people living in the digital age a virtual world with nature in an ideal world. In addition, research will continue an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ideal world has been presented by sublimating people's instinct to be with nature into visual images.
      번역하기

      This thesis is a study focusing on the works submitted to <The World Collected>, a master's degree exhibition for evaluation of graduate work, held at Dongduk Art Gallery in Seoul from September 6 to 11, 20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

      This thesis is a study focusing on the works submitted to <The World Collected>, a master's degree exhibition for evaluation of graduate work,
      held at Dongduk Art Gallery in Seoul from September 6 to 11, 20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background of Ideal
      World's works to understand them and seek development directions.
      In the digital age, in addition to the positive side of being able to collect more information and experience various aspects than in the past, I also
      saw the negative side of living in a concrete building for more than half of the day and becoming rigid due to repetitive daily life.
      In these positive and negative forms of daily life, I observed that modern people spend weekends outside the city with nature, and I recognized
      that they enjoy the freedom and joy inherent in humans, and at this point, I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nature.
      The ideal world is a product of virtual expressions of ideals, where one can freely walk around and play.
      As a researcher's mental representation of a space that can be explored, it has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order to reveal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character and content as a mental representation, Jean Baudrillard's Simulation was
      studied as a formal background, and Zhuangzi(莊子)'s Soyoyu(逍遙遊) and Seclusion space(隱逸) were studied as a content background.
      What we experienced events and information were assumed to be simulacrum. And the ideal world was analyzed assuming that it was a
      collection of simulacrums containing numerous pieces of inform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nature was defined through Zhuangzi's theory of Soyoyu, an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ideal world was revealed.
      We studied Mureungdowon(武陵桃源), an Oriental utopia that has been handed down from the past, and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 previous ideal worl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orks of researchers living in modern times through works depicting the ideal world.
      In addition, by presenting historical facts about the spatial culture created based on Soyoyu, it was derived that the ideal world is a spiritual seclusion space.
      The external ideal world,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garden, is a place where one can walk with nature and further explore it.
      The external ideal world,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garden, was assumed to be a path of a walker who can walk with nature and further explore. Through the appropriate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and changes in various viewpoints, the internal ideal world was expressed through the formative language of visual images, Cha Kyung(借景) and color field abstract. Among them, the researcher searched for an effective formative expression aimed at by studying and analyzing previous artists who were similar in form or content in the expression of space.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visual image formation of the continuously expanding ideal world. In order to enhance the visual effect,
      we describe various formative attempt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work, and furthermore, to show modern people living in the digital age a virtual world with nature in an ideal world. In addition, research will continue an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ideal world has been presented by sublimating people's instinct to be with nature into visual imag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v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 및 범위 1
      • 국문초록 v
      • Ⅰ. 서 론 1
      • 1. 연구목적 및 범위 1
      • Ⅱ. 작품의 이론적 배경 5
      • 1. 형식적 측면 5
      • 1)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시뮬라시옹(Simulation) 5
      • 2. 내용적 측면 11
      • 1) 장자(莊子)의 소요유(逍遙遊) 11
      • 2) 동양의 은일공간(隱逸空間) 21
      • Ⅲ. 작품분석 27
      • 1. 이상세계의 외부 공간 표현 30
      • 1) ‘꽃’ 조형을 통한 공간 표현 35
      • 2) ‘물’ 조형을 통한 공간 표현 43
      • 3) ‘수풀’ 조형을 통한 공간 표현 52
      • 2. 이상세계의 내부 공간 표현 62
      • 1) 실외 중심 공간 표현 65
      • 2) 실내 중심 공간 표현 70
      • Ⅳ. 결론 79
      • 참고문헌 83
      • ABSTRACT 87
      • 석사청구 전시도록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