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국도 통행특성을 고려한 지점검지기의 적정설치지점 선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for Optimized Detecter Location Considering the Traffic Characteristics in National Highw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861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the optimized detector location considering the traffic characteristics in National Highway. Although there are many construction works for ITS in National Highway, there is not specific criteria for detector location which can e...

      This study deals with the optimized detector location considering the traffic characteristics in National Highway. Although there are many construction works for ITS in National Highway, there is not specific criteria for detector location which can effect the accuracy of traffic information.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provide the optimized detector location criteria which can represent the traffic characteristics of National Highway. It collects traffic factors of study area by GPS probe-car and detector, and presents the optimized detector location by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pot-speed and link-travel-time.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ot-speed and link-travel-time presents the opposite bell shape of the graph (U-type curve) which is increased from the upstream then, declined through some unspecified point of the link. Second, the optimized detector location usually distributes around midstream of link, even though it does not have a consistency. Third, therefore, the optimized detector location generally should be located between 55~60% of total link length. Forth, high level of vertical slop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detector location, so it should be excluded for determination of optimized detector location. Finally, expecting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improve the accuracy of travel time estimation and forecas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반국도의 통행특성을 고려한 지점검지기의 적정설치지점 선정을 다루고 있다. 일반국도에서의 ITS 구축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자료수집 구간에서의 통행시간 추정 신뢰도...

      본 연구는 일반국도의 통행특성을 고려한 지점검지기의 적정설치지점 선정을 다루고 있다. 일반국도에서의 ITS 구축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자료수집 구간에서의 통행시간 추정 신뢰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점검지기의 설치지점에 관해 적절한 기준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국도의 구간 통행시간의 추정을 위해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지점검지기의 적정설치지점을 선정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GPS 프로브 차량과 지점검지기를 이용하여 대상지역의 통행특성을 수집하고, 지점속도와 구간통행시간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적정설치지점을 선택한다.분석결과 일반국도의 구간별 적정설치지점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첫째, 구간 통행시간과 지점 속도와의 상관관계는 구간의 시점에서부터 높아지다가 일정시점이 지나서는 낮아지는 U자형 형태를 보이고 있다. 둘째, 최적설치지점은 분석구간마다 상이하게 존재하나, 대부분 구간연장을 기준으로 중류부 및 중하류부에 존재한다. 셋째, 구간의 적정설치지점은 구간의 중류부에서 하류부로 넘어가는 지점이 적절하며, 일반적으로 자료수집 구간 연장을 기준으로 시점부로부터 55~60%가 되는 지점이다. 넷째, 종단경사는 적정설치지점과 관련하여 중요한 결정인자가 되며, 종단경사가 큰 경우에 있어서 검지기의 설치는 배제되어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지점검지기의 현장적용을 통해, 정보제공 구간내 통행시간 추정 및 예측력의 개선을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운전자정보제공을 위한 검지기 적정위치결정에 관한 연구-일반국도를 대상으로" 2002

      2 "도로용량편람" 건설교통부 2004

      3 "단속류 교통정보 수집용 검지기의 적정 위치 선정 및 통행시간 추정" 1999

      4 "교통시스템설계론" 청문각. 2002

      5 "Travel Time and Loop Detector Output Analysis on Dundee Road Closed-Loop Signal System"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1993

      6 "SPSS 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2001

      7 "Optimal Detector Location on Arterial Streets for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Arizona state university. 1998

      8 "Optimal Detector Location for Estimating Link Travel Speed in Urban Arterial Roads" 2003

      9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Arterial Travel Time and Detector Data from simulation and Field Studies" TRR 1457. 1994

      1 "운전자정보제공을 위한 검지기 적정위치결정에 관한 연구-일반국도를 대상으로" 2002

      2 "도로용량편람" 건설교통부 2004

      3 "단속류 교통정보 수집용 검지기의 적정 위치 선정 및 통행시간 추정" 1999

      4 "교통시스템설계론" 청문각. 2002

      5 "Travel Time and Loop Detector Output Analysis on Dundee Road Closed-Loop Signal System"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1993

      6 "SPSS 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2001

      7 "Optimal Detector Location on Arterial Streets for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s" Arizona state university. 1998

      8 "Optimal Detector Location for Estimating Link Travel Speed in Urban Arterial Roads" 2003

      9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Arterial Travel Time and Detector Data from simulation and Field Studies" TRR 1457.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6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