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리질리언스 관점에서 수변 공간 계획에 관한 고찰 – 리질리언트 바이 디자인 공모전과 스펀지 시티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 A Study on Waterfront Planning and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Resilience - Focusing on Resilient by Design Challenge and Sponge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762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물과 관련된 재난의 심각성과 이에 대한 도시 대응 전략마련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어 탄력적인 수변 공간 재구조화의 방향성 모색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

      연구목적: 본 연구는 물과 관련된 재난의 심각성과 이에 대한 도시 대응 전략마련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어 탄력적인 수변 공간 재구조화의 방향성 모색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도시 리질리언스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해외의 계획 및 설계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수변 공간 계획·설계에 적용 가능한 물리적·사회 시스템적 설계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리질리언트 바이 디자인 공모전의 제안들은 기존 계획안들과 비교하여, 더욱 체계적인 방식으로 탄력적인 사회 시스템 마련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전략들을 담고 있었으며, 스펀지 시티 프로젝트들에서는 탄력적 도시 수변 공간조성을 위한 다양한 물리적 설계전략과 기술들을 발견하였다. 결론: 교육적 기능의 제고와 주민참여의 확대, 가버넌스 시스템의 마련과 체계적인 지속가능한 계획 수립, 생태적 접근방식과 다양한 저영향개발기법 도입 등은 재난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내 수변 공간 계획·설계에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direction for restructuring resilient waterfront spaces, emphasizing the severity of water-related disasters and the significance of developing responsive urban strategies. Method: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direction for restructuring resilient waterfront spaces, emphasizing the severity of water-related disasters and the significance of developing responsive urban strategies. Method: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analyzes overseas planning and design case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urban resilience. The goal is to identify physical and social systemic design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waterfront space planning and design of Korea. Result: The proposals from the Resilient by Design Callenge included strategies for enhancing social systems and promoting sustainability in a more systematic manner. Additionally, various physical design strategies and technologies were identified in the Sponge City projects, which aim to create a flexible urban waterfront space. Conclusion: When planning and designing Korean waterfront spaces to effectively respond to disasters, several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such as enhancing educational functions, expanding local resident participation, establishing a governance system, developing systematic sustainable plans, adopting ecological approaches, and implementing various low-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