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6~7세기 고구려의 욕살과 군사 운용 = Goguryeo’s Yoksal and Military Operation in the 6~7th Centu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61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구려의 褥薩은 6~7세기의 관명으로 왕도 5부와 諸大城의 장관이었다. 본고에서는 각종 문헌과 묘지에보이는 욕살의 사례를 검토해 그의 군사적 성격을 확인하고 운용의 방식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왕도 5부의 욕살은 5부병의 지휘관이었다. 5부병은 상비군으로, 전시의 경우 예비군을 동원해 야전군을 편성하였는데, 5부욕살은 그 지휘관으로 선임되기도 하였다. 645년 주필산 전투에서 一軍의 장군으로 출전한 고연수ㆍ고혜진이그의 한 사례였다. 제대성의 욕살 역시 지방 상비군의 지휘관으로, 전시의 경우 일대 諸城ㆍ諸部落의 군사권을 부여받았다. 일정 지역의 軍政大權을 관장한 것이다. 욕살은 동시기 신라의 軍主ㆍ백제의 方領ㆍ당의 都督 ㆍ돌궐의 샤드 등과 비교된다. 특히 백제의 방령이 주목된다. 고구려의 왕도 5부와 제대성은 백제의 5부ㆍ5방과 상통하였다. 왕도의 5부병이 공통되었고, 제대성의 욕살과 5방의 방령이 유사하였는데, 욕살과 방령은 모두 최고위 귀족이 임명되었다. 제대성의 욕살과 5방의 방령은 왕도의 5부 장관과 동급으로, 비단 장관만 아니라 무관ㆍ군사조직이 동일한 체계였다. 군사 운용과 전시에 대비한 평시의 군제였고, 군제에 기초한 지방제도의 운용이었다. 이와 같은 군사체제ㆍ지방제도 운용의 중심에는 상비군이 있었는데, 상비군은 이를 유지하기 위한 부세제도ㆍ관료제도를 수반하였다. 중앙집권적 국가체제 정비와 궤를 같이 하였던 것이다. 6~7세기고구려의 욕살은 중앙집권적 국가체제 정비에 기능하였고, 그와 같은 추이를 반영한다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고구려의 褥薩은 6~7세기의 관명으로 왕도 5부와 諸大城의 장관이었다. 본고에서는 각종 문헌과 묘지에보이는 욕살의 사례를 검토해 그의 군사적 성격을 확인하고 운용의 방식과 의미를 고...

      고구려의 褥薩은 6~7세기의 관명으로 왕도 5부와 諸大城의 장관이었다. 본고에서는 각종 문헌과 묘지에보이는 욕살의 사례를 검토해 그의 군사적 성격을 확인하고 운용의 방식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왕도 5부의 욕살은 5부병의 지휘관이었다. 5부병은 상비군으로, 전시의 경우 예비군을 동원해 야전군을 편성하였는데, 5부욕살은 그 지휘관으로 선임되기도 하였다. 645년 주필산 전투에서 一軍의 장군으로 출전한 고연수ㆍ고혜진이그의 한 사례였다. 제대성의 욕살 역시 지방 상비군의 지휘관으로, 전시의 경우 일대 諸城ㆍ諸部落의 군사권을 부여받았다. 일정 지역의 軍政大權을 관장한 것이다. 욕살은 동시기 신라의 軍主ㆍ백제의 方領ㆍ당의 都督 ㆍ돌궐의 샤드 등과 비교된다. 특히 백제의 방령이 주목된다. 고구려의 왕도 5부와 제대성은 백제의 5부ㆍ5방과 상통하였다. 왕도의 5부병이 공통되었고, 제대성의 욕살과 5방의 방령이 유사하였는데, 욕살과 방령은 모두 최고위 귀족이 임명되었다. 제대성의 욕살과 5방의 방령은 왕도의 5부 장관과 동급으로, 비단 장관만 아니라 무관ㆍ군사조직이 동일한 체계였다. 군사 운용과 전시에 대비한 평시의 군제였고, 군제에 기초한 지방제도의 운용이었다. 이와 같은 군사체제ㆍ지방제도 운용의 중심에는 상비군이 있었는데, 상비군은 이를 유지하기 위한 부세제도ㆍ관료제도를 수반하였다. 중앙집권적 국가체제 정비와 궤를 같이 하였던 것이다. 6~7세기고구려의 욕살은 중앙집권적 국가체제 정비에 기능하였고, 그와 같은 추이를 반영한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윤자, "한국어 음소 ‘ㅋ’의 역사적 고찰" 동양고전학회 (27) : 303-332, 2007

      2 林起煥, "한국사 5 삼국의 정치와 사회Ⅰ-고구려-" 국사편찬위원회 1996

      3 이정빈, "특집 : 신라 중고기의 부방(赴防)과 군역" 한국역사연구회 (97) : 99-127, 2015

      4 전덕재, "중고기 신라의 지방행정체계와 郡의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48) : 85-124, 2007

      5 손영종, "조선단대사(고구려사2)"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7

      6 許偉偉, "전통시대 동아시아의 외교와 변경기구" 동북아역사재단 [서울] 2013

      7 권덕영, "재당 한인 묘지명 연구-역주편-"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21

      8 안신혜, "의존명사의 의미와 문법화" 겨레어문학회 (52) : 69-92, 2014

      9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역주 한원" 동북아역사재단 2018

      10 김택민, "역주 당육전(하)" 신서원 2008

      1 정윤자, "한국어 음소 ‘ㅋ’의 역사적 고찰" 동양고전학회 (27) : 303-332, 2007

      2 林起煥, "한국사 5 삼국의 정치와 사회Ⅰ-고구려-" 국사편찬위원회 1996

      3 이정빈, "특집 : 신라 중고기의 부방(赴防)과 군역" 한국역사연구회 (97) : 99-127, 2015

      4 전덕재, "중고기 신라의 지방행정체계와 郡의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48) : 85-124, 2007

      5 손영종, "조선단대사(고구려사2)"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7

      6 許偉偉, "전통시대 동아시아의 외교와 변경기구" 동북아역사재단 [서울] 2013

      7 권덕영, "재당 한인 묘지명 연구-역주편-"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21

      8 안신혜, "의존명사의 의미와 문법화" 겨레어문학회 (52) : 69-92, 2014

      9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중세사연구소, "역주 한원" 동북아역사재단 2018

      10 김택민, "역주 당육전(하)" 신서원 2008

      11 노태돈, "삼국통일전쟁사"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09

      12 박현숙, "백제의 중앙과 지방" 주류성 2005

      13 양기석, "백제 정치사의 전개과정" 서경문화사 2013

      14 정동준, "동아시아 속의 백제 정치제도" 일지사 2013

      15 정재훈, "돌궐 유목제국사 552~745" 사계절출판사 2016

      16 리승혁, "고구려의 주·군·현에 대하여" 121 : 1987

      17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 지배 방식 연구" 모시는사람들 2005

      18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19 최희수, "고구려 후기 지방통치의 구조와 의미" 고구려발해학회 32 : 63-94, 2008

      20 이동훈, "고구려 중ㆍ후기 지배체제 연구" 서경문화사 2019

      21 정호섭, "고구려 안시성의 위치와 안시성주 전승의 추이" 고구려발해학회 67 : 29-62, 2020

      22 李基白, "高麗兵制史硏究" 一潮閣 1968

      23 趙仁城, "高麗光宗硏究" 一潮閣

      24 서영교, "駐蹕山 전투와 安市城"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8) : 49-79, 2015

      25 이우태, "韓國金石文集成(2)-高句麗2 高句麗 및 高句麗 關係 金石文(解說篇)" 韓國國學振興院 2014

      26 李基白, "韓國史講座1-古代篇-" 一潮閣 1982

      27 喬鳳岐, "隋唐地方行政與軍防制度硏究" 人民出版社 2013

      28 童嶺, "貞觀年閒國東亞情報·知識與佚籍-舊鈔本"翰苑"所引"高麗記"硏究" 京都大學 人文科學研究所 92 : 2017

      29 이성제, "褥薩의 大城·王都 5部 駐在와 그 職任" 한국고대사학회 (92) : 165-197, 2018

      30 盧重國, "百濟政治史硏究-國家形成과 支配體制의 變遷을 中心으로-" 一潮閣 1988

      31 武田幸男, "東アジア世界における日本古代史講座 4-朝鮮三國と倭國-" 學生社 1980

      32 今西龍, "朝鮮古史の硏究" 國書刊行會 1970

      33 李文基, "新羅兵制史硏究" 一潮閣 1997

      34 朱甫暾, "新羅 中古期 6停에 대한 몇 가지 問題" 3ㆍ4 : 1987

      35 孫繼民, "唐代行軍制度硏究" 文津出版社 1995

      36 菊池英夫, "唐代兵募の性格とについて名稱" 67 : 1956

      37 샤이앤 ; 이규호, "唐代 都督府와 州의 關係에 대한 試論"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7) : 686-715, 2014

      38 山尾幸久, "古代日本と朝鮮" 龍溪書舍 1974

      39 護雅夫, "古代トルコ民族史硏究1" 山川出版社 1967

      40 姜鳳龍, "『한국역사연구입문』 1" 풀빛 1995

      41 김현구,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 2" 일지사 2003

      42 池內宏, "『滿鮮史硏究』上世 第一冊" 吉川弘文館 1951

      43 이정빈, "「천남생 묘지」에 보이는 將軍과 7세기 고구려의 군사 운용"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2) : 77-116, 2016

      44 이문기, "7세기 高句麗의 軍事編制와 運用" 고구려발해학회 27 : 161-182, 2007

      45 나동욱, "6∼7세기 고구려 지방군사운용체계 - 지방통치체제 검토를 바탕으로" 한국사학회 (95) : 1-39, 2009

      46 金英心, "6~7세기 百濟의 地方統治體制-地方官을 중심으로-" 11 : 1997

      47 문영철, "645년 고구려군과 당군의 주필산 전투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102) : 309-348,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1-07-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Balhae -> Association of Koguryo Balha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2-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 -> 고구려발해연구
      외국어명 : The Koguryo Yonku -> The KoguryoBalhae Yonku
      KCI등재후보
      2008-02-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고구려연구회 -> 고구려발해학회
      영문명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 Institute of KoguryoBalha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of Koguryo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3 2.013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