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장애와 장애인을 이해하는 장애이해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장애이해교육의 본질이 도덕적 관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주장하였다. 특히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185684
2017
-
300
학술저널
1-38(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장애와 장애인을 이해하는 장애이해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장애이해교육의 본질이 도덕적 관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주장하였다. 특히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
본 논문에서는 장애와 장애인을 이해하는 장애이해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장애이해교육의 본질이 도덕적 관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주장하였다. 특히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에 기초하여 장애이해교육이 필연적으로 정의와 배려라는 가치를 담지하고 있음을 논증하고, 이 두 가치를 중심으로 장애 학생의 삶과 맥락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애이해교육과 가장 높은 연관성을 보이고 있는 도덕과교육이 교과서 개발의 준거 자료가 되는 교육과정과 집필기준 등에 관련 내용을 반영해야 함을 역설하고, 이야기 중심의 교과서 본문 구성을 강조하였다.
8번 논문 토론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에 대한 도덕교육의 의의와 과제』에 대한 논평
8번 논문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에 대한 도덕교육의 의의와 과제
7번 논문 토론 : “도덕과교육을 통한 장애이해교육의 의의와 방안 탐색”에 대한 토론문
6번 논문 토론 : 긍정심리학적 중재의 두 차원 정신건강과 행복 에 대한 토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