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 양형기준 설정방식과 양형위원회 운용방식에 관한 점검 및 개선방안 = An Evaluation on the framework of the Korean Sentencing Guidelines and on the Korean Sentencing Commission's Op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365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been almost 5 years since the advisory sentencing guidelines system was introduced and the first guidelines implemented in our nation.
      Thus far, sentencing guidelines for 26 crime categories including murder are in force. The demand by the people to abolish such sentencing problems such as unduly lenient sentencing, unwarranted disparities, untransparent sentencing, and perhaps most serious "Jeon-Kwan-ye-Woo" or favor shown to counsel who are former prosecutors or judges, was the impetu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sentencing guidelines system. Since its implementation, there have been some improvement in the judges' compliance rate as well as in consistency and predictability in sentencing; however, the people's deep rooted distrust towar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has yet to be significantly alleviat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entencing guidelines and Commission activities are still skewed in favor of judges’ sentencing practice, that is the Commission has been slow to set forth new guidelines and the guidelines still allow for much judicial discretion. Furthermore, the guidelines lack objectivity in the evaluation of the major sentencing factors thereby failing to fully gain the public’s trust. With the end of the trial period, the problems that arose demand immediate attention and resolution. Nonetheless the Commission has yet to initiate the reform process, seemingly content with the current gradual approach in promulgating sentencing guidelines.
      To achieve the sentencing reform goals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 of the introduction, the current sentencing guidelines need substantial revisions. This should begin with a thorough discussion and evaluation of the goals and principles in framing guidelines. Other pressing issues include grading the seriousness of the major offenses and setting the base level of each offense, raising objectivity when evaluating the major sentencing factors, establishing guidelines on deciding appropriate punishment, and enhancing objectivity in the criteria for the in-out decision. Other suggestions include mandating judges to explain the guidelines application process in the sentencing report and the development of a sentencing data base by the Commission to improve predictability in sentencing.
      These proposals for revision aim to create a new guidelines system which corresponds with the common sense of the public. As it is highly unlikely that the incumbent judiciary dominating Commission will accept or implement these suggestions, the composition of the Commission must first be rebalanced with members from outside the judiciary. Neutrality, independence, and specialization of the operating style of the Commission must be improved and the role of the public and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reenforced and expanded. Only through these efforts will the new guidelines become more objective to the public with a view to a greater and genuine trust by the public of our nation's criminal justice system.
      번역하기

      It has been almost 5 years since the advisory sentencing guidelines system was introduced and the first guidelines implemented in our nation. Thus far, sentencing guidelines for 26 crime categories including murder are in force. The demand by the peo...

      It has been almost 5 years since the advisory sentencing guidelines system was introduced and the first guidelines implemented in our nation.
      Thus far, sentencing guidelines for 26 crime categories including murder are in force. The demand by the people to abolish such sentencing problems such as unduly lenient sentencing, unwarranted disparities, untransparent sentencing, and perhaps most serious "Jeon-Kwan-ye-Woo" or favor shown to counsel who are former prosecutors or judges, was the impetu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sentencing guidelines system. Since its implementation, there have been some improvement in the judges' compliance rate as well as in consistency and predictability in sentencing; however, the people's deep rooted distrust towar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has yet to be significantly alleviated.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entencing guidelines and Commission activities are still skewed in favor of judges’ sentencing practice, that is the Commission has been slow to set forth new guidelines and the guidelines still allow for much judicial discretion. Furthermore, the guidelines lack objectivity in the evaluation of the major sentencing factors thereby failing to fully gain the public’s trust. With the end of the trial period, the problems that arose demand immediate attention and resolution. Nonetheless the Commission has yet to initiate the reform process, seemingly content with the current gradual approach in promulgating sentencing guidelines.
      To achieve the sentencing reform goals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 of the introduction, the current sentencing guidelines need substantial revisions. This should begin with a thorough discussion and evaluation of the goals and principles in framing guidelines. Other pressing issues include grading the seriousness of the major offenses and setting the base level of each offense, raising objectivity when evaluating the major sentencing factors, establishing guidelines on deciding appropriate punishment, and enhancing objectivity in the criteria for the in-out decision. Other suggestions include mandating judges to explain the guidelines application process in the sentencing report and the development of a sentencing data base by the Commission to improve predictability in sentencing.
      These proposals for revision aim to create a new guidelines system which corresponds with the common sense of the public. As it is highly unlikely that the incumbent judiciary dominating Commission will accept or implement these suggestions, the composition of the Commission must first be rebalanced with members from outside the judiciary. Neutrality, independence, and specialization of the operating style of the Commission must be improved and the role of the public and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reenforced and expanded. Only through these efforts will the new guidelines become more objective to the public with a view to a greater and genuine trust by the public of our nation's criminal justice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참고적 양형기준제가 도입되고 양형기준이 시행된 지 약 5년이 되었다. 현재 살인을 포함하여 26개 범죄들에 관한 양형기준이 시행되고 있다. 양형기준제 도입은 소위‘전관예우’의 폐해, 관대한 양형, 불합리한 양형편차, 불투명한 양형 등 양형 문제점들을 극복하려는 정책적 결단이었다. 양형기준의 시행으로 양형의 일관성이나 예측 가능성이 다소 높아졌으나 뿌리 깊은 국민의 사법 불신이 해소되었는지 의문이다.
      현 양형기준 및 양형위원회 운용 방식은 법관의 업무 수행을 도와주기 위한 참고용 성격이 짙다. 양형기준은 더디게 설정되고 있고 법관의 재량이 여전히 넓게 보장된다. 주요 양형인자들의 평가에 있어 객관성도 부족하다. 이로 인하여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기에 미흡하다. 시험적인 운용을 통해 나타난 설정방식의 여러 문제점들을 신속히 해결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형위원회는 종래 설정방식에 따라 기준을 추가로 설정하는 것에 머무르고 있다. 양형 개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대폭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양형기준 설정에 관한 목표나 원리 등을 뚜렷이 정할 필요가 있다. 주요 범죄들 사이의 범죄의 심각성에 따른 서열화를 진행하고 기본 범죄수준을 정하며 주요 양형인자들에 관하여 더 객관적 평가를 해야 한다. 형종 기준이 마련되고 집행유예 기준도 더 객관화되어야 한다. 법관은 판결문에 기준 적용과정을 상세히 기재하고 양형위원회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양형의 예측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이러한 개선은 보다 국민의 상식에 맞는 양형기준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사법부가 주도하는 양형위원회는 위 요청을 충실히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양형위원회 구성이나 운용에 중립성, 독립성, 전문성이 더 보장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국민과 국회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국민이 바라는 객관적 양형기준이 마련될 때 형사사법에 관한 국민의 신뢰가 높아질 것이다.
      번역하기

      참고적 양형기준제가 도입되고 양형기준이 시행된 지 약 5년이 되었다. 현재 살인을 포함하여 26개 범죄들에 관한 양형기준이 시행되고 있다. 양형기준제 도입은 소위‘전관예우’의 폐해, ...

      참고적 양형기준제가 도입되고 양형기준이 시행된 지 약 5년이 되었다. 현재 살인을 포함하여 26개 범죄들에 관한 양형기준이 시행되고 있다. 양형기준제 도입은 소위‘전관예우’의 폐해, 관대한 양형, 불합리한 양형편차, 불투명한 양형 등 양형 문제점들을 극복하려는 정책적 결단이었다. 양형기준의 시행으로 양형의 일관성이나 예측 가능성이 다소 높아졌으나 뿌리 깊은 국민의 사법 불신이 해소되었는지 의문이다.
      현 양형기준 및 양형위원회 운용 방식은 법관의 업무 수행을 도와주기 위한 참고용 성격이 짙다. 양형기준은 더디게 설정되고 있고 법관의 재량이 여전히 넓게 보장된다. 주요 양형인자들의 평가에 있어 객관성도 부족하다. 이로 인하여 국민의 신뢰를 확보하기에 미흡하다. 시험적인 운용을 통해 나타난 설정방식의 여러 문제점들을 신속히 해결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형위원회는 종래 설정방식에 따라 기준을 추가로 설정하는 것에 머무르고 있다. 양형 개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대폭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양형기준 설정에 관한 목표나 원리 등을 뚜렷이 정할 필요가 있다. 주요 범죄들 사이의 범죄의 심각성에 따른 서열화를 진행하고 기본 범죄수준을 정하며 주요 양형인자들에 관하여 더 객관적 평가를 해야 한다. 형종 기준이 마련되고 집행유예 기준도 더 객관화되어야 한다. 법관은 판결문에 기준 적용과정을 상세히 기재하고 양형위원회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양형의 예측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이러한 개선은 보다 국민의 상식에 맞는 양형기준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사법부가 주도하는 양형위원회는 위 요청을 충실히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양형위원회 구성이나 운용에 중립성, 독립성, 전문성이 더 보장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국민과 국회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국민이 바라는 객관적 양형기준이 마련될 때 형사사법에 관한 국민의 신뢰가 높아질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탁희성, "형사정책과 사법제도에 관한 연구(Ⅳ): 양형기준제 시행에 따른 양형합리화 정책 성과분석 및 평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0

      2 정승환, "현행 형법에서 법정형의 정비방안" 한국형사법학회 23 (23): 3-33, 2011

      3 서봉규, "현행 양형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11 (11): 33-67, 2010

      4 이현정, "현행 양형기준상 피해자관련 양형인자의 타당성 검토" 한국피해자학회 19 (19): 287-314, 2011

      5 이주형, "최초 양형기준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09

      6 이현정, "책임범위이론에 기초한 현행 양형기준의 개선방안"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3 (13): 21-48, 2011

      7 박형관, "종합적 양형기준 설정방안에 관한 연구 : 최초 양형기준의 성과와 한계에 관한 비판적 고찰" 서울대학교 2011

      8 손철우, "우리나라의 양형현황에 대한 기초보고" 양형위원회 2008

      9 이호중, "우리나라의 양형기준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형사법학회 22 (22): 241-272, 2010

      10 이주형, "우리나라에 적합한 양형기준제"

      1 탁희성, "형사정책과 사법제도에 관한 연구(Ⅳ): 양형기준제 시행에 따른 양형합리화 정책 성과분석 및 평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0

      2 정승환, "현행 형법에서 법정형의 정비방안" 한국형사법학회 23 (23): 3-33, 2011

      3 서봉규, "현행 양형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11 (11): 33-67, 2010

      4 이현정, "현행 양형기준상 피해자관련 양형인자의 타당성 검토" 한국피해자학회 19 (19): 287-314, 2011

      5 이주형, "최초 양형기준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09

      6 이현정, "책임범위이론에 기초한 현행 양형기준의 개선방안"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3 (13): 21-48, 2011

      7 박형관, "종합적 양형기준 설정방안에 관한 연구 : 최초 양형기준의 성과와 한계에 관한 비판적 고찰" 서울대학교 2011

      8 손철우, "우리나라의 양형현황에 대한 기초보고" 양형위원회 2008

      9 이호중, "우리나라의 양형기준에 대한 비판적 분석" 한국형사법학회 22 (22): 241-272, 2010

      10 이주형, "우리나라에 적합한 양형기준제"

      11 승재현, "우리나라 양형위원회 양형기준모델의 타당성 평가" 법조협회 59 (59): 87-135, 2010

      12 류부곤, "우리나라 양형기준에 대한 고찰" 한국형사법학회 24 (24): 249-276, 2012

      13 손철우, "우리나라 양형기준 설정의 주요 쟁점과 과제" 사법발전재단 1 (1): 93-137, 2009

      14 대검찰청 양형기준태스크포스, "영미 양형위원회 운용실태 보고" 2007

      15 이현정, "양형위원회의 양형기준안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소 21 (21): 359-388, 2009

      16 박형관, "양형위원회 운영방식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법조협회 56 (56): 5-61, 2007

      17 방희선, "양형기준제와 양형위원회 도입방안 연구" 법무부 2010

      18 천진호, "양형기준제 시행의 문제점과 양형자료 조사제도 도입을 위한 제언" 한국형사법학회 21 (21): 251-272, 2009

      19 최호진, "양형기준의 합리성 검토와 개선방향"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1 (11): 81-103, 2009

      20 홍순욱, "양형기준의 제정과 한계" 한국법학원 139 : 138-180, 2013

      21 서보학, "양형기준의 시행에 대한 평가와 개선방향" 한국형사법학회 23 (23): 59-86, 2011

      22 최석윤, "양형기준설정과 관련된 몇 가지 고려사항"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0 (10): 71-97, 2008

      23 최석윤, "양형기준법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양법학회 (34) : 417-435, 2011

      24 이민식, "양형기준 시행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검찰청 2010

      25 김현석, "양형기준 시행성과와 향후 과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1 (21): 7-41, 2010

      26 김현성, "새로운 양형기준제 도입에 관한 소고" 41 : 2011

      27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사법선진화를 위한 개혁, 자료집 12권"

      28 김진환, "사법개혁의 방향" 2010

      29 오영근, "바람직한 양형기준제와 양형위원회 운영의 방식에 관한 연구" 대검찰청 2010

      30 오영근, "바람직한 양형기준의 방식"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 (20): 347-370, 2009

      31 강우예, "대법원 양형기준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피고인의 이익에 부합하는 양형기준의 해석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법학회 24 (24): 125-154, 2012

      32 Clarkson, C.M.V, "The Politics of Sentencing Reform" Clarendon Press 1995

      33 Lovegrove, Austin, "The Framework of Judicial Sentencing- A Study in Legal Decision Mak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34 Fraze, S. Richard, "State Sentencing Guidelines : Diversity, Consensus, And Un resolved Policy Issues" 105 : 1190-, 2005

      35 Stanford Criminal Justice Center, "State Sentencing Commissions"

      36 Tonry, Michael, "Sentencing and Sanctions in Western Countri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7 Ashworth, Andrew, "Sentencing and Criminal Jus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8 Tonry, Michael, "Sentencing Matters"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39 Ashworth, Andrew, "Sentencing Guidelines – Exploring the English Model"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40 U. K. Sentencing Commission Working Group, "Sentencing Guidelines in England and Wales; An Evolutionary Approach"

      41 Roberts, Julian V., "Sentencing Guidelines in England and Wales: Recent Developments and Emerging Issues" 76 : 1-, 2013

      42 Wasik, Martin, "Sentencing Guidelines in England and Wales – State of Art?" 4 : 253-263, 2008

      43 Kramer, John H., "Sentencing Guidelines - Lessons from Pennsylvania" Lynne Rienner Publishers 2009

      44 Tonry, Michael, "Punishment and Politics-Evidence and Emulation in the Making of English Crime Control Policy" William Publishing 2004

      45 Tonry, Michael, "Penal Reforms in Overcrowded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46 Ashworth, Andrew, "Coroners and Justice Act 2009: Sentencing Guidelines and the Sentencing Council" 5 : 389-401, 2010

      47 U. k. Sentencing Guidelines Council and Sentencing Advisory Panel, "Annual Report" 2010

      48 양형위원회, "2012 연간보고서" 2013

      49 양형위원회, "2009 제1기 양형기준 현황 분석" 2010

      50 양형위원회, "2008 연간보고서" 2009

      51 양형위원회, "2007 연간보고서"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3 1.21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