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짜뉴스 정책 및 제도 구성을 위한 쟁점 연구 = A view of regulation principle regarding fake news : Focusing on the policy formation issues for impleme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27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짜뉴스 규제 입안에 있어 고려해야 할 쟁점을 도출하고, 관련 정책대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최근 가짜뉴스로 인한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정부나 규제기관의 시장 개입이 불...

      본 연구는 가짜뉴스 규제 입안에 있어 고려해야 할 쟁점을 도출하고, 관련 정책대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최근 가짜뉴스로 인한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정부나 규제기관의 시장 개입이 불가피해졌다. 반면,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는 직접 규제를 최소화해야 한다는 반론도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짜뉴스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검토해 정책 도입을 위한 주요 쟁점으로 가짜뉴스의 개념, 판정 준거. 규제범위, 규제 실효성 이슈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쟁점들은 위계적인 구조를 가지며 상호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가짜뉴스의 개념을 통해 판정 준거를 마련하고, 규제범위를 획정하는 한편,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가짜뉴스와 관련된 이론적 논의에 기초해 주요 쟁점을 재구성하고, 정책 입안의 방향성과 고려 사항을 구체화하였다. 나아가 사후적인 처벌 규제와 자율규제, 팩트체킹 사업자의 지원, 미디어 교육 등 진흥 정책의 효과를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가짜뉴스 규제 입안의 근거를 마련하고, 정책 및 규제와 관련한 사회적 소통을 촉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ke news has become a global phenomenon due to its explosive growth. In spite of an increase in the infringement of societal legal rights caused by fake news, it is not easy to seek reasonable methods to legally regulate fake news. This is because th...

      Fake news has become a global phenomenon due to its explosive growth. In spite of an increase in the infringement of societal legal rights caused by fake news, it is not easy to seek reasonable methods to legally regulate fake news. This is because the specification of victim and clear identification of infringed legal interest are difficult. In order to restrain the spread of fake news, the measures for legally regulating fake news to the minimum necessary need to be explored and the legal regulation of fake news should focus on the prevention of imminent and irreparable social harms that can be caused by fake news. This research present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regulation and policy issues relating to fake new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1) introduc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ake news and how it can be formally differentiated from other similar concepts which helps deepen the understanding of fake news; (2)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of fundamental frame of fake news detection technology; (3) demarcate the legal scope of fake news regulation; and (4) to analyze the costs and benefits of fake news regulation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순욱, "협업형 사실검증 서비스의 의의와 과제: 의 사례"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4 (34): 173-205, 2017

      2 최종선, "허위조작정보 규제 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소 21 (21): 363-391, 2020

      3 손서영, "한상혁 방통위원장 후보자 “가짜뉴스 표현의 자유 대상 아냐”"

      4 정은령, "한국 팩트체크 저널리즘의 특징: 팩트체크 언론인들의 사실 인식과 사실 검증과정 탐색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55 (55): 5-53, 2018

      5 김다혜, "팬데믹보다 무서운 인포데믹…불안․혼란 키우는 가짜뉴스"

      6 백강희, "팩트체크 보도의 가짜뉴스 판단 기준 검토"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72-181, 2020

      7 윤태욱, "텍스트 마이닝과 기계 학습을 이용한 국내 가짜뉴스 예측" 한국데이터전략학회 25 (25): 19-32, 2018

      8 오택섭, "정치적 소통과 SNS" 나남 403-440, 2012

      9 마동훈, "저널리즘 공공성 실현을 위한 한국형 팩트체킹모델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10 오세욱, "자동화된 사실 확인(fact checking) 기술(technology)의 현황과 한계"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4 (34): 137-180, 2017

      1 최순욱, "협업형 사실검증 서비스의 의의와 과제: 의 사례"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4 (34): 173-205, 2017

      2 최종선, "허위조작정보 규제 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소 21 (21): 363-391, 2020

      3 손서영, "한상혁 방통위원장 후보자 “가짜뉴스 표현의 자유 대상 아냐”"

      4 정은령, "한국 팩트체크 저널리즘의 특징: 팩트체크 언론인들의 사실 인식과 사실 검증과정 탐색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55 (55): 5-53, 2018

      5 김다혜, "팬데믹보다 무서운 인포데믹…불안․혼란 키우는 가짜뉴스"

      6 백강희, "팩트체크 보도의 가짜뉴스 판단 기준 검토"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72-181, 2020

      7 윤태욱, "텍스트 마이닝과 기계 학습을 이용한 국내 가짜뉴스 예측" 한국데이터전략학회 25 (25): 19-32, 2018

      8 오택섭, "정치적 소통과 SNS" 나남 403-440, 2012

      9 마동훈, "저널리즘 공공성 실현을 위한 한국형 팩트체킹모델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10 오세욱, "자동화된 사실 확인(fact checking) 기술(technology)의 현황과 한계"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4 (34): 137-180, 2017

      11 좌희정, "자동화기반의 가짜 뉴스 탐지를 위한 연구 분석" 한국융합학회 10 (10): 15-21, 2019

      12 정정주, "유튜브 상의 허위정보 소비 실태 및 확산 메커니즘 생태계 연구 : 빅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12 (12): 105-138, 2019

      13 이정념, "온라인 허위정보의 규제를 위한 접근법 - 허위정보의 의미와 본질, 규제 방향을 중심으로 -" 과학기술법연구원 25 (25): 69-103, 2019

      14 황금비, "세계 정치권 뒤흔드는 '가짜 뉴스'의 모든 것"

      15 홍수민, "새누리당 ‘가짜뉴스 신고센터’ 개설…"

      16 이세훈,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가짜 뉴스 신뢰성 검증 플랫폼" 26 (26): 78-79, 2018

      17 현윤진, "뉴스와 소셜 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기반 가짜 뉴스 탐지 방법론" 한국전자거래학회 23 (23): 19-39, 2018

      18 조은희, "뉴스 미디어의 이용과 신뢰가 가짜 뉴스의 인식, 식별,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19 (19): 180-213, 2019

      19 김희섭, "국내외 허위정보 연구동향 비교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 53 (53): 291-315, 2019

      20 오세욱, "가짜뉴스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언론진흥재단 2017

      21 이재국, "가짜뉴스의 폐해와 규제 논란의 배경" 60 (60): 11-17, 2018

      22 이상훈, "가짜뉴스의 법적 규제에 대한 고찰"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8 (8): 95-137, 2020

      23 유의선, "가짜뉴스의 법적 규제 — 사회적 법익 보호를 중심으로 —" (사)한국언론법학회 17 (17): 39-68, 2018

      24 정세훈, "가짜뉴스의 대응방안 및 쟁점" 60 (60): 76-82, 2018

      25 황용석, "가짜뉴스의 개념화와 규제수단에 관한 연구 ― 인터넷서비스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중심으로 ―" (사)한국언론법학회 16 (16): 53-101, 2017

      26 윤성옥, "가짜뉴스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논의" (사)한국언론법학회 17 (17): 51-84, 2018

      27 김세환, "가짜뉴스에 대한 한국과 EU의 비교정책 연구: 정책형성 담론을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소 56 (56): 156-187, 2019

      28 황성기, "가짜뉴스에 대한 법적 규제의 문제" 60 (60): 83-91, 2018

      29 이혜진, "가짜뉴스 판별 기법 및 해결책 고찰" 28 (28): 37-39, 2020

      30 윤성옥, "가짜뉴스 규제 법안의 특징과 문제점" (사)한국언론법학회 18 (18): 103-138, 2019

      31 최지수, "가짜뉴스 거버넌스: 정부규제, 자율규제, 공동규제 모형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6 (36): 127-180, 2019

      32 오일석, "가짜 뉴스에 대한 규범적 고찰" 미국헌법학회 29 (29): 157-193, 2018

      33 현대경제연구원, "가짜 뉴스(Fake News)의 경제적 비용 추정과 시사점" 736 : 17-11, 2017

      34 민병기, "與‘가짜뉴스 대책위’ 매머드급 출범… 野“표현의 자유 침해”"

      35 Wang, W. Y., "“Liar, liar pants on fire”: A new benchmark dataset for fake news detection" 2 : 422-426, 2017

      36 오세욱, "‘팩트’의 형식적 구성 요건에 대한 탐색적 연구 ‘SNU FactCheck’ 메타데이터 분석을 통한 제언" 언론정보연구소 55 (55): 54-98, 2018

      37 노성종, "‘가짜뉴스효과’의 조건: 2017년 대통령 선거에서 나타난 ‘가짜뉴스효과’의 견인 및 견제 요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34 (34): 99-149, 2017

      38 박아란, "‘가짜뉴스’와 온라인 허위정보(disinformation) 규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언론정보연구소 56 (56): 113-155, 2019

      39 Marchi, R., "With Facebook, blogs, and fake news, teens reject journalistic"objectivity"" 36 (36): 246-262, 2012

      40 Quandt T.,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journalism studies" 2019

      41 Allcott, H., "Social media and fake news in the 2016 election" 31 (31): 211-236, 2017

      42 Guess, A., "Selective exposure to misinformation: Evidence from the consumption of fake news during the 2016 U.S. presidential campaign" European Research Council 2018

      43 Scheufele, D. A., "Science audiences, misinformation, and fake news" 116 (116): 7662-7669, 2019

      44 정성욱, "SNS 사용자 특성과 확증 편향을 통한 자동화된 팩트체킹의 가능성 : 정치인 관련 트윗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08) : 78-117, 2019

      45 Napoli, P. M., "Foundations of communications policy: Principles and process in the regulation of electronic media" Hampton Press 2001

      46 Zafarani R., "Fake news research: Theories, detection strategies, and open problems" 2019

      47 Rubin, V. L., "Fake news or truth? Using satirical cues to detect potentially misleading news" 31 (31): 211-236, 2016

      48 Shu, K., "Fake news detection on social media: A data mining perspective" 2017

      49 Klein, D. O., "Fake news : A legal perspective" 20 (20): 1-9, 2017

      50 Gelfert, A., "Fake news : A definition" 38 (38): 84-117, 2019

      51 박아란, "Fake News(가짜 뉴스)의 개념과 대응방안" 2017

      52 Shu K., "Emerging researc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computational social network analysis and mining" Springer 43-65, 2019

      53 Tandoc, E., C., "Defining “fake news”: A typology of scholarly definitions" 6 (6): 137-153, 2018

      54 Zhang X., "An overview of online fake news : Characterization, detection, and discussion" 57 (57): 2020

      55 심재승,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Document Summar ization Technique on the Fake News Detection Model"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5 (25): 201-220,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 한국지역언론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7 1.27 1.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2 1.59 2.189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