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로환경개선을 위한 공공디자인 연구 -노점상을 중심으로- = Public Design Study of Road Infrastructure Improvement -focusing on the street vend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644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blic design studies the urban environment of public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pedestrian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life. Issues that negatively impact the use of public spaces and public facilities should be rationally managed. One of the...

      Public design studies the urban environment of public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pedestrian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life. Issues that negatively impact the use of public spaces and public facilities should be rationally managed. One of these issues impacting public spaces is the physical clash of the street vendor stalls and the pedestrian walking experience. Vendor stalls surrounding store fronts or located in traditional markets provide obstruction to both pedestrian walking range as well as city aesthetics. Therefore, this study observes theories and case studies of street vendors in and outside of Korea by surveying various regions to uncover underlying issues. Through pilot studies and surveys on street vendors,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street vendors should be given restricted guidelines for operation and design. Street vendors should be restricted to a designated area in which to operate and provided consequences for occupying the sidewalk. The vendor stalls in the traditional market should be limited to 1.5m x 1m in dimension so that pedestrians can easily move left and right of the stalls. There should be guidelines to how the stalls should be designed in terms of color and shape, and these guidelines should reflec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o better fit the city aesthetics. The stalls can serve as advertisement for the city’s history, culture, and tourism after their operating hours. Other restrictions can include restricting operating hours, regular sanitation and security check, fees for occupying the road, licensing, and policing restricted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공공디자인은 공공장소에서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보행자의 관점에서 공공공간과 시설들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합리적으로 운영 관리하여 보다 나은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 ...

      공공디자인은 공공장소에서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보행자의 관점에서 공공공간과 시설들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합리적으로 운영 관리하여 보다 나은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그러나 도시공간에서 상점가나 재래시장 주변에 있는 노점상의 경우 보행자의 통행공간에 불편을 주고 있어 도시미관과 보행권 확보 측면에서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점상에 관한 이론적인 내용을 검토하고, 국내외 노점상에 관련된 사례를 분석하였다. 하나의 도시에서 현장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노점상에 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노점상에 관한 선행연구와 현장실태조사를 통하여 도시의 노점상은 일정한 공간을 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인도를 점유한 노점상의 경우에는 단속에 의한 입지제한을 통해 보행환경과 거리미관의 개선 효과가 동시에 있어야 한다. 재래시장 내에 있는 노점상의 경우에는 중앙에 1.5×1m 크기의 직사각형 공간을 지정하여 그 안에서 노점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좌·우로 시장 이용객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공공시설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규격화된 디자인으로 크기, 색상, 형태가 지역특색에 맞는 것을 정하여 도시미관에 어울리는 것이 좋으며, 노점판매대는 영업시간 이후에는 도시의 역사·문화·관광자원 등을 홍보할 수 있는 광고 장소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통 재래시장 활성화 측면에서 재래시장주변 노점상은 외국인을 상대로 관광 문화상품으로 활용하여 지역의 명물시장 관광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다. 상업공간에서 원활한 노점상 운영관리는 시간 지정제 도입, 위생검사 및 안정성 확인, 도로점유율 지불, 디자인 형태와 크기의 규격화, 실명제 및 등록증 발급, 허용 및 불허 구간을 지정하여 관리 감독하는 것이 효과적인 운영방법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찬, "익산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2 디자인정책과, "유니버설디자인 통합가이드라인"

      3 김남일, "보행권과 미관을 고려한 보도시설물 설치 및 관리 개선방안 마련 연구" 국토교통부 2017

      4 디자인 총괄추진단, "보급형 가로시설물 표준디자인"

      5 홍인옥, "노점상문제 현황 및 갈등구조 분석1" (5) : 41-61, 1999

      6 세울디자인컨설팅, "공공디자인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5

      7 "공공 디자인’, 도시의 삶을 바꾸다"

      8 디자인총괄추진단, "경기도 가로시설물 표준디자인"

      1 이경찬, "익산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2 디자인정책과, "유니버설디자인 통합가이드라인"

      3 김남일, "보행권과 미관을 고려한 보도시설물 설치 및 관리 개선방안 마련 연구" 국토교통부 2017

      4 디자인 총괄추진단, "보급형 가로시설물 표준디자인"

      5 홍인옥, "노점상문제 현황 및 갈등구조 분석1" (5) : 41-61, 1999

      6 세울디자인컨설팅, "공공디자인 현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산업통상자원부 2015

      7 "공공 디자인’, 도시의 삶을 바꾸다"

      8 디자인총괄추진단, "경기도 가로시설물 표준디자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32 0.5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