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무역은 21세기 들어 국제무역을 주도하는 핵심적인 기반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주요 국가들이 정책적 우선순위를 두어 추진하고 있다. 특히 무역거래계약후 단계에서 실물적 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47957
2008
-
320
KCI등재
학술저널
117-135(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전자무역은 21세기 들어 국제무역을 주도하는 핵심적인 기반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주요 국가들이 정책적 우선순위를 두어 추진하고 있다. 특히 무역거래계약후 단계에서 실물적 거...
전자무역은 21세기 들어 국제무역을 주도하는 핵심적인 기반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주요 국가들이 정책적 우선순위를 두어 추진하고 있다. 특히 무역거래계약후 단계에서 실물적 거래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수출입물류정보시스템은 전자무역을 활성화시키는 요체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무역계약전 단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e-무역상사는 효율적인 글로벌 마케팅 수행뿐만 아니라 무역업무의 속도 및 거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수츨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역거래계약전 단계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e-무역상사와 수출입물류정보시스템의 관계를 살펴보고, 수출입물류정보업무를 확대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trade is expected to dominate the global trade in the 21st century and thus is being introduced as a major policy assignment for each developing country. Especially, Building efficient National Export-Import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which is ba...
E-trade is expected to dominate the global trade in the 21st century and thus is being introduced as a major policy assignment for each developing country. Especially, Building efficient National Export-Import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infrastructure of the past trade automation system is a key point of promoting e-trade. In order to promote e-trade & National Export-Import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t is essential to constructive process such as connecting systems among trade & logistics related parties. In addition to, e-trade metamediary will assist trader's global marketing and trading speeds with high efficiency and low cost.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trade metamediary with National Export-Import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and draw suggestions in applying e-trade metamediary's trade services extension connection with National Export-Import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목차 (Table of Contents)
Research on Web-Based Business Negotiation Support
A Study on the Adoption Factor of SWB and e-SWB
Removing Legal Obstacle of E-Trading
한국 관세행정 정보화 구축 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