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영방식 3D 프린팅은 50 μm 수준의 우수한 성형 정밀도의 장점으로 정교한 형상을 요하는 산업적 부품의 제작에 강점이 있다. 특히, 내마모성 부품의 3D 프린팅은 후가공 공정의 배제로 인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410703
2021
Korean
학술저널
102-10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투영방식 3D 프린팅은 50 μm 수준의 우수한 성형 정밀도의 장점으로 정교한 형상을 요하는 산업적 부품의 제작에 강점이 있다. 특히, 내마모성 부품의 3D 프린팅은 후가공 공정의 배제로 인한 ...
투영방식 3D 프린팅은 50 μm 수준의 우수한 성형 정밀도의 장점으로 정교한 형상을 요하는 산업적 부품의 제작에 강점이 있다. 특히, 내마모성 부품의 3D 프린팅은 후가공 공정의 배제로 인한 절삭가공비용 절감과 재료소모 감소로 인한 원재료비 절감 효과가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3D 프린팅을 통한 내마모성 재료 제작 및 내마모특성 측정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마모가 많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정밀 기계부품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레진의 조성을 조절해 보았고, 복합재료를 사용하여 내마모성을 개선시켰다. 또한, 레진 조성물의 탄성계수, 인장강도, 신율 등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고, 마모도 시험을 통해 내마모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Tissue-adhesive Film Using Natural Macromolecules
Gadolinium-ceria/SPEEK Composite Membranes for a Durable Operation of PEMFC
Development of RNA Structures for the Development of Cancer Immunotherapeutic Vaccine System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sitive PBO According to End Cap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