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컴퓨터 대체접근 마우스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370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컴퓨터 대체접근 기기는 장애로 인해 컴퓨터 사용이 힘든 장애인들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기이며, 이러한 기기들은 대부분 컴퓨터에 유선으로 연결하거나 S/W 프로그램을...

      컴퓨터 대체접근 기기는 장애로 인해 컴퓨터 사용이 힘든 장애인들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기이며, 이러한 기기들은 대부분 컴퓨터에 유선으로 연결하거나 S/W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대부분의 이러한 기기들은 공간적인 제한이 존재하게 되기 때문에 장애인들에게 다양하고 자유로운 컴퓨터 접근을 보장할 수 없으며 다소 불편함을 감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체장애인 및 뇌병변장애인이 언제, 어디서든 상지의 소근육 운동만으로 컴퓨터에 접근 가능한 안드로이드 기반의 컴퓨터 대체접근 마우스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마우스는 스마트기기에 사용자가 입력하는 포인트를 인식하여 이를 마우스 커서위치로 변환하고 이를 스마트기기에 내장된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전달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여 줄 수 있는 그룹스캐닝 방식을 이용하여 가벼운 터치를 이용해서 원하는 버튼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클릭, 더불클릭 및 드래그 앤 드롭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컴퓨터 대체 접근 마우스는 지체 및 뇌병변장애인이 간단한 터치 한번으로 컴퓨터 사용이 가능하고, 휴대성이 좋아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는 장애인의 컴퓨터에 접근에 이용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most of alternate computer access devices which assist people with disabilities to utilize the computer .connected to computer by some cables or installed in as a S/W program. These devices have some spatial limitations to the people with disabiliti...

      Almost of alternate computer access devices which assist people with disabilities to utilize the computer .connected to computer by some cables or installed in as a S/W program. These devices have some spatial limitations to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t can’t guarantee the free and diverse access to the computer. For these reasons, in this paper, an Android-based mouse program for alternative computer access was developed. A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has some limitation of hand movements can use it in anywhere and anytime using only the fine motor skill of the upper limbs. The developed device recognizes the user’s point touch and transforms it into the location of mouse cursor.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ferred to the computer vi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equipped in smart devices. Also the group scanning method which can reduce the user’s fatigue degree was employed and click, double click, drag & drop functions by hand’s movements were equipped. The developed device will help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to use computer with brief touch and convenient operation without spatial limit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실험 및 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실험 및 결과
      • 3.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걸,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통합형 컴퓨터 입력장치의 개발" 대한의용생체공학회 31 (31): 251-257, 2010

      2 곽수원, "통신 융합형 보완·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개발" 한국재활복지공학회 5 (5): 65-70, 2011

      3 권성진, "지체장애인의 컴퓨터접근을 위한 대체마우스 개발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4

      4 송병섭, "전동휠체어 조이스틱 컨트롤러를 이용한 효율적인 컴퓨터 대체 접근 장치 개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9 (49): 265-284, 2010

      5 이근민, "장애인 컴퓨터 대체접근의 현황, 전망 그리고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41 : 221-252, 2003

      6 이근민, "장애인 컴퓨터 대체접근의 현황, 전망 그리고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학회 2006 (2006): 2406-2435, 2006

      7 통계청, "장애 유형별 인구현황"

      8 이희연, "모바일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평가 및 모바일 기기의 크기에 대한 선호도 조사" 한국재활복지공학회 6 (6): 37-43, 2012

      9 이진현, "뇌병변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위한 맞춤형 보조기구의 설계·제작·적용 사례 연구" 한국재활복지공학회 4 (4): 81-86, 2010

      10 "네이버 지식백과"

      1 김창걸,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통합형 컴퓨터 입력장치의 개발" 대한의용생체공학회 31 (31): 251-257, 2010

      2 곽수원, "통신 융합형 보완·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개발" 한국재활복지공학회 5 (5): 65-70, 2011

      3 권성진, "지체장애인의 컴퓨터접근을 위한 대체마우스 개발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4

      4 송병섭, "전동휠체어 조이스틱 컨트롤러를 이용한 효율적인 컴퓨터 대체 접근 장치 개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9 (49): 265-284, 2010

      5 이근민, "장애인 컴퓨터 대체접근의 현황, 전망 그리고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41 : 221-252, 2003

      6 이근민, "장애인 컴퓨터 대체접근의 현황, 전망 그리고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학회 2006 (2006): 2406-2435, 2006

      7 통계청, "장애 유형별 인구현황"

      8 이희연, "모바일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평가 및 모바일 기기의 크기에 대한 선호도 조사" 한국재활복지공학회 6 (6): 37-43, 2012

      9 이진현, "뇌병변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위한 맞춤형 보조기구의 설계·제작·적용 사례 연구" 한국재활복지공학회 4 (4): 81-86, 2010

      10 "네이버 지식백과"

      11 김찬일, "기능적 전기자극과 게임을 접목시킨 재활 시스템 개발" (사)한국재활복지공학회 7 (7): 99-100, 2013

      12 Anderson, J., "Telecommuting: Meeting the needs of businesses and employees with disabilities" 16 : 97-104,

      13 Koppenhaver, D. A., "Develop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echnology in Order to Develop Literacy" 2 (2): 32-41, 1993

      14 정보통신보조기기, "2013년 특수마우스 지원 목록"

      1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신[新] 디지털 격차 현황 분석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566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