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크린쿼터의 국산영화 보호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Effects of Screen Quota on Local Production of Fil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164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isting empirical studies on the international trade of theatrical films do not provide evidences for screen quota to protect local production of films. They do not provide convincing reasons for this counterintuitive result, either. This paper examines the time series data of Korean film industry and shows that screen quota has positive effects on the market share of local films but, at the same time, it also discourages investment on the infrastructure of film industry, which eventually lowers the market share of the local films. The conflicting effects of screen quota on local films cancell out each other and may turn out to be insignificant factor as in the existing studies.
      This paper not only contributes to the academic research on international trade of films but also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It is more effective for promotion of local film production to abolish or reform existing regulations which hamper investment on the infrastructure of film industry rather than to use protective commercial policies. The protective commercial policies are more likely to result in the decline of local film industry rather than to promote local film production.
      번역하기

      Existing empirical studies on the international trade of theatrical films do not provide evidences for screen quota to protect local production of films. They do not provide convincing reasons for this counterintuitive result, either. This paper exami...

      Existing empirical studies on the international trade of theatrical films do not provide evidences for screen quota to protect local production of films. They do not provide convincing reasons for this counterintuitive result, either. This paper examines the time series data of Korean film industry and shows that screen quota has positive effects on the market share of local films but, at the same time, it also discourages investment on the infrastructure of film industry, which eventually lowers the market share of the local films. The conflicting effects of screen quota on local films cancell out each other and may turn out to be insignificant factor as in the existing studies.
      This paper not only contributes to the academic research on international trade of films but also provides some policy implications. It is more effective for promotion of local film production to abolish or reform existing regulations which hamper investment on the infrastructure of film industry rather than to use protective commercial policies. The protective commercial policies are more likely to result in the decline of local film industry rather than to promote local film produc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영화의 무역에 대한 기존의 경험적 연구들은 국산영화를 보호하기 위한 스크린쿼터가 기대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나 그 이유를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화시장의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여 스크린쿼터가 국산영화를 보호하는 효과와 함께 영화 관련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위축시키고 궁극적으로 국산영화의 관객점유율을 축소시키는 부정적 효과를 갖고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스크린쿼터의 두 가지 상반되는 효과가 상쇄되어 스크린쿼터의 국산영화 보호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화의 무역에 대한 학문적 연구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정책적 시사점도 제공한다. 즉 국산영화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보호무역주의적 규제정책보다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가로막는 각종 규제를 완화 또는 폐지하고 정책적으로 지원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호무역주의적 정책은 국산영화의 활성화라는 정책적 목표를 달성하기 보다는 우리나라 영화시장의 인프라를 축소시켜 우리나라 영화산업 전체를 침체시키는 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영화의 무역에 대한 기존의 경험적 연구들은 국산영화를 보호하기 위한 스크린쿼터가 기대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나 그 이유를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

      영화의 무역에 대한 기존의 경험적 연구들은 국산영화를 보호하기 위한 스크린쿼터가 기대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나 그 이유를 명확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화시장의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여 스크린쿼터가 국산영화를 보호하는 효과와 함께 영화 관련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위축시키고 궁극적으로 국산영화의 관객점유율을 축소시키는 부정적 효과를 갖고 있는 것을 보이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스크린쿼터의 두 가지 상반되는 효과가 상쇄되어 스크린쿼터의 국산영화 보호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화의 무역에 대한 학문적 연구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정책적 시사점도 제공한다. 즉 국산영화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보호무역주의적 규제정책보다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가로막는 각종 규제를 완화 또는 폐지하고 정책적으로 지원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호무역주의적 정책은 국산영화의 활성화라는 정책적 목표를 달성하기 보다는 우리나라 영화시장의 인프라를 축소시켜 우리나라 영화산업 전체를 침체시키는 효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관광부, "한미 FTA 문화분야 협상결과 및 대책" 문화관광부 2007

      2 이태규, "영화산업의 구조변화와 스크린쿼터의 유효성, In 한국영화연감" 영화진흥위원회 2006

      3 박민수, "스크린쿼터의 규제 효과에 관한 미시적 연구-극장주의 상영 패턴을 중심으로" 한국규제학회 17 (17): 41-70, 2008

      4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

      5 Waterman, D., "World television trade: The economic effects of privatization and new technology" 12 : 141-151, 1988

      6 Lee, Sang-Woo, "Theatrical Feature Film Trade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Since the 1950s: An Empirical Study of the Home Market Effect" 20 (20): 167-188, 2007

      7 Wildman, S. S., "The economics of trade in recorded media products in a multilingual world: Implications for national media policie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in film and television programs" Ablex 13-40, 1993

      8 Lee, Byoungkwan, "The Effect of Screen Quotas on the Self-Sufficiency Ratio in Recent Domestic Film Markets" LAWRENCE ERLBAUM ASSOC INC 17(3) (17(3)): 163-176, 2004

      9 Jayakar, Krishna, "The Economics of American Theatrical Movie Exports: An Empirical Analysis" 13 (13): 153-169, 2000

      10 Hoskins, Colin, "Reasons for U.S. dominance of the international trade in television programmes" 10 : 499-515, 1988

      1 문화관광부, "한미 FTA 문화분야 협상결과 및 대책" 문화관광부 2007

      2 이태규, "영화산업의 구조변화와 스크린쿼터의 유효성, In 한국영화연감" 영화진흥위원회 2006

      3 박민수, "스크린쿼터의 규제 효과에 관한 미시적 연구-극장주의 상영 패턴을 중심으로" 한국규제학회 17 (17): 41-70, 2008

      4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

      5 Waterman, D., "World television trade: The economic effects of privatization and new technology" 12 : 141-151, 1988

      6 Lee, Sang-Woo, "Theatrical Feature Film Trade in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Japan Since the 1950s: An Empirical Study of the Home Market Effect" 20 (20): 167-188, 2007

      7 Wildman, S. S., "The economics of trade in recorded media products in a multilingual world: Implications for national media policie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in film and television programs" Ablex 13-40, 1993

      8 Lee, Byoungkwan, "The Effect of Screen Quotas on the Self-Sufficiency Ratio in Recent Domestic Film Markets" LAWRENCE ERLBAUM ASSOC INC 17(3) (17(3)): 163-176, 2004

      9 Jayakar, Krishna, "The Economics of American Theatrical Movie Exports: An Empirical Analysis" 13 (13): 153-169, 2000

      10 Hoskins, Colin, "Reasons for U.S. dominance of the international trade in television programmes" 10 : 499-515, 1988

      11 Wildman, S. S., "International trade in films and television programs" Ballinger 1988

      12 Oh, Jeongho, "International trade in film and the self-sufficiency ratio" 14 (14): 31-44, 2001

      13 Fu, Wayne, "Examining International Country-to-Country Flow of Theatrical Films" 60 : 120-143, 2010

      14 최용제, "Does Screen Quota Really Promote Local Film Production?" 정보통신정책학회 14 (14): 119-139, 2007

      15 Dupagne, Michel, "Determinants of U.S. Television Fiction Imports in Western Europe" 42 (42): 208-220, 1998

      16 Galperin, Hernan, "Cultural Industries in the Age of Free-Trade Agreements" 24 (24): 1999

      17 Box Office Mojo, "Box Office Mojo"

      18 Zeller, Arnold, "An efficient method of estimating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s and tests for aggregation bias" 57 : 1962

      19 김대호, "1990년대 한국 영화 산업에 대한 평가" 43 (43):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제지역학센터 -> 국제지역연구센터 KCI등재
      2009-03-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외국학종합연구센터 -> 국제지역학센터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6 0.6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2 0.8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