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상담자를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자책의 매개효과와 숙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26097
서울 :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성인상담전공 , 2020. 8
2020
한국어
서울
xii, 115 p. : 삽도 ; 26 cm.
부록 수록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지도교수: 장유진
참고문헌: p. 94-103
I804:11062-0000001142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상담자를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자책의 매개효과와 숙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전...
본 연구는 상담자를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자책의 매개효과와 숙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전국의 상담센터 및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상담사 285명을 대상으로 대면 및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심리적 소진 척도(MBI), 내면회된 수치심 척도(ISS), 반추적 반응 척도(K-RR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요 변인들의 영향 관계와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기위 하여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방식을 활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내면화된 수치심, 심리적 소진, 자책, 숙고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숙고와 심리적 소진, 심리적 소진의 하위 변인 중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의 상관관계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 간에 유의하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책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의 관계에서 부적절감, 공허감, 실수불안은 정서적 고갈과의 관계에서 유의하였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숙고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의 관계에서, 부적절감은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의 관계에서, 자기처벌은 심리적 소진과 비인간화 그리고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의 관계에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심리적 소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한 연구이며, 매개변인으로 자책과 조절변인으로 숙고를 선정하여 상담자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심리적 소진으로 이어지는 심리적 기제를 구체적으로 확인한 최초 연구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상담현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으로 인해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 상담자들에게 자책보다 숙고에 초점을 맞추어 자신을 돌보는 시간을 갖는 것이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는데 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주요어: 상담자, 심리적 소진, 내면화된 수치심, 자책, 숙고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