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플립러닝 설계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 Meta-analysis of Flipped Learning Design Characteristic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에게 국내의 플립러닝 연구를 통합하여 플립러닝 설계 및 실행시 고려해야할 요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수행된 플립러닝 연구 95편을 선정하였고, CMA를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플립러닝 설계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처치기간은 10주일 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토론시간은 25분-30분일 때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플립러닝 적용시 숙제가 부여될 때 효과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전 동영상은 교사가 직접 동영상을 제작하는 것보다 기존의 동영상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수업시 사전학습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영상시간, 사전학습을 하지 않았을 경우 대안 제시유무, 자기 주도적 학습활동 제공유무, 학습자 수준에 따른 활동 제공유무, 심화, 보충학습 제공유무, 오리엔테이션 제공유무에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 설계 및 실행할 때 고려해야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에게 국내의 플립러닝 연구를 통합하여 플립러닝 설계 및 실행시 고려해야할 요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수행된 플립러닝 연...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에게 국내의 플립러닝 연구를 통합하여 플립러닝 설계 및 실행시 고려해야할 요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수행된 플립러닝 연구 95편을 선정하였고, CMA를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플립러닝 설계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처치기간은 10주일 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토론시간은 25분-30분일 때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플립러닝 적용시 숙제가 부여될 때 효과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전 동영상은 교사가 직접 동영상을 제작하는 것보다 기존의 동영상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수업시 사전학습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영상시간, 사전학습을 하지 않았을 경우 대안 제시유무, 자기 주도적 학습활동 제공유무, 학습자 수준에 따른 활동 제공유무, 심화, 보충학습 제공유무, 오리엔테이션 제공유무에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플립러닝 설계 및 실행할 때 고려해야할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eachers with a guide to factors to consider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flipped learning. To do this we selected 95 relat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and analyzed the data using CMA. This study focused more on the moderator variables of the existing meta-analysis and calculated the effect size of flipped learning according to the moderator variables related to the flipped learning design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 of the experimental period was ten weeks. Second, when the discussion time was 25 to 30 minutes the effect size was significantly larger. Third, when homework is applied to flipped learning the effect siz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it is effective to use a current video rather than have the teacher produce the video in advance. Fifth, it is effectiv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re was any prior learning. In add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video time, the presence of alternatives when there was no prior learning, the pres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the presence of activities directly related to the learner’s level, and the presence of enrichment-supplementary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summarized.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eachers who are utilizing flipped learning for the first tim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eachers with a guide to factors to consider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flipped learning. To do this we selected 95 relat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and analyzed the data using CMA. This study focused m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eachers with a guide to factors to consider when designing and implementing flipped learning. To do this we selected 95 relat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and analyzed the data using CMA. This study focused more on the moderator variables of the existing meta-analysis and calculated the effect size of flipped learning according to the moderator variables related to the flipped learning design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 of the experimental period was ten weeks. Second, when the discussion time was 25 to 30 minutes the effect size was significantly larger. Third, when homework is applied to flipped learning the effect siz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it is effective to use a current video rather than have the teacher produce the video in advance. Fifth, it is effectiv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re was any prior learning. In add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video time, the presence of alternatives when there was no prior learning, the pres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the presence of activities directly related to the learner’s level, and the presence of enrichment-supplementary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summarized.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eachers who are utilizing flipped learning for the first ti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연,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의 적용 사례" 한국교육공학회 30 (30): 163-191, 2014

      2 박에스더, "플립러닝에 대한 메타 연구: 성공적 적용요건과 향후 연구방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7 (27): 169-178, 2016

      3 이희숙,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47-57, 2015

      4 김민정, "플립러닝 사전 예습학습 및 본 학습의 명시적 인지활동 수준 분리가 수업흥미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279-1300, 2016

      5 서미옥, "플립드 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2 (32): 707-741, 2016

      6 손성호, "초등교육에서 플립러닝 성공전략 탐색: 교사 및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287-1310, 2016

      7 강명희, "예비교사의 플립러닝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5 (55): 427-440, 2016

      8 이승진, "다층모형을 활용한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육연구원 33 (33): 105-130, 2017

      9 장은주, "국어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Flipped Learning) 적용 방안 연구" 교육연구원 31 (31): 199-217, 2015

      10 권회림, "국내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1 (21): 333-359, 2015

      1 이지연,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의 적용 사례" 한국교육공학회 30 (30): 163-191, 2014

      2 박에스더, "플립러닝에 대한 메타 연구: 성공적 적용요건과 향후 연구방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7 (27): 169-178, 2016

      3 이희숙,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8 (18): 47-57, 2015

      4 김민정, "플립러닝 사전 예습학습 및 본 학습의 명시적 인지활동 수준 분리가 수업흥미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279-1300, 2016

      5 서미옥, "플립드 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2 (32): 707-741, 2016

      6 손성호, "초등교육에서 플립러닝 성공전략 탐색: 교사 및 학습자의 학습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287-1310, 2016

      7 강명희, "예비교사의 플립러닝에 대한 관심도 분석: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55 (55): 427-440, 2016

      8 이승진, "다층모형을 활용한 교사들의 교내 수업개선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육연구원 33 (33): 105-130, 2017

      9 장은주, "국어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Flipped Learning) 적용 방안 연구" 교육연구원 31 (31): 199-217, 2015

      10 권회림, "국내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1 (21): 333-359, 2015

      11 김보경, "교직수업을 위한 역진행 수업모형 개발" 교육종합연구소 12 (12): 25-56, 2014

      12 송주연, "교직 과목 수업에서의 플립러닝 적용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851-877, 2016

      13 이경화, "교과별 차별화된 플립드 러닝 수업이 대학생의 학업성취 향상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영재교육연구소 7 (7): 1-22, 2017

      14 이민경,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교실사회학적 의미 분석: 참여 교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181-207, 2014

      15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What is the flipped classroom?"

      16 Hwang, S. D., "Understanding of understandable meta-analysis" Hakjisa 2015

      17 Lee, M. K., "Understand and practice flipped learning" Education Science History 2016

      18 Oh, S. S., "Theory and practice of meta-analysis" Konkuk University Press 2007

      19 Rahman, A. A., "The influences of flipped classroom: a meta analysis" 2014

      20 Bishop, J. L., "The flipped classroom: a survey of the research"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1-26, 2013

      21 Rosenthal, R., "The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86 : 638-641, 1979

      22 Ham, S. O., "The effects of inverse teaching techniques on english language learning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7

      23 Cho, Y. J.,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techniques on critique writing skills and attitude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6

      24 강남희, "The Comparison between Regular and Flipped Classrooms for EFL Korean Adult Learners"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18 (18): 41-72, 2015

      25 Becker, B. J., "Synthesizing standardized mean change measures" 41 : 257-278, 1988

      26 Hedges, L. V.,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Academic Press 1985

      27 Cohen, J.,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 by step approach" Sage 1988

      28 Hwang, S. D., "Meta analysis using R" Hakjisa 2016

      29 Borenstein, M.,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iley 2009

      30 Davies, R. S., "Flipping the classroom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integration in a college level information systems spreadsheet course" 61 (61): 563-580, 2013

      31 Frydenberg, M., "Flipping excel" 11 (11): 63-73, 2013

      32 Zainuddin, Z., "Flipped classroom research and trends from different fields of study" 17 (17): 2016

      33 Sams, A., "Flip your students' learning" 70 (70): 16-20, 2013

      34 Bergmann, J., "Flip your classroom: reach every student in every class every day"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2012

      35 Stone, B. B., "Flip your classroom to increase active learning and student engagement" 2012

      36 Choi, S. H., "Flip run backwards revolution in english classroom" hungsil Life 2016

      37 Goodwin, B., "Evidence on flipped classrooms is still coming in" 70 (70): 78-80, 2013

      38 Choi, E. S., "Effects of flipped jigsaw learning on english grammar and learning attitude amongst high school student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017

      39 Higgins, J.,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40 Egger, M.,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simple, graphical test" 315 : 629-634, 1997

      41 Lee, H. S.,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actors related to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Kongju University 2015

      42 Duval, S. J., "A non-parametric 'trim and fill' 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95 : 89-98,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