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제원, "형성자 초성음가의 변화를 통한 한자지도 방안연구" 성균관대학교 2005
2 김언종, "한자의 뿌리2" 문학동네 2001
3 김언종, "한자의 뿌리1" 문학동네 2001
4 이영수, "한자 학습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部首 및 聲部활용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2 : 2004
5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교육과정해설서(Ⅴ)" 2008
6 이희목, "중학교 한문1" 천재교육 2010
7 주동일, "북한의 한문교육" 한국한문교육학회 15 : 2000
8 정세근, "미학적 견지에서 본 한국서예정신" 한국서예학회 (15) : 229-249, 2009
9 볼프강벨슈, "미학의 경계를 넘어" 향연출판사 2005
10 진중권, "미학오디세이1" 휴머니스트 2003
1 최제원, "형성자 초성음가의 변화를 통한 한자지도 방안연구" 성균관대학교 2005
2 김언종, "한자의 뿌리2" 문학동네 2001
3 김언종, "한자의 뿌리1" 문학동네 2001
4 이영수, "한자 학습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部首 및 聲部활용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2 : 2004
5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교육과정해설서(Ⅴ)" 2008
6 이희목, "중학교 한문1" 천재교육 2010
7 주동일, "북한의 한문교육" 한국한문교육학회 15 : 2000
8 정세근, "미학적 견지에서 본 한국서예정신" 한국서예학회 (15) : 229-249, 2009
9 볼프강벨슈, "미학의 경계를 넘어" 향연출판사 2005
10 진중권, "미학오디세이1" 휴머니스트 2003
11 한연석, "구형학 이론을 적용한 한자학습 신장 방안"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3-76, 2005
12 이승현, "漢文敎師의 漢字 字源 活用 授業"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5-87, 2009
13 이순옥, "東漢時代 草書의 書藝美에 관한 考察" 한국서예학회 (14) : 127-156, 2009
14 이승연, "書體에 나타난 書藝美學 연구 ― 漢字의 書體演變을 중심으로 ―" 한국사상문화학회 (49) : 463-494, 2009
15 김은경, "文化遺産을 活用한 漢字漢字語 敎授-學習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05-158, 2007
16 한연석, "字源을 활용한 한자교수학습방법 연구-고등학교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21-172, 2006
17 한은수, "字源을 活用한 漢字 敎授學習 方法 硏究"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73-216, 2006
18 양원석, "中國에서의 字源을 활용한 漢字 교육 방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3-93, 2006
19 황병호, "VTR과 MIND MAP을 활용한 부수지도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1 : 2003
20 송하경, "21세기 신 서예 미학정신-선을 넘어 합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5 :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