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漢字敎育의 美學的 接近 -字體變遷을 活用한 ‘形’·‘音’·‘義’ 統合敎育을 中心으로- = Aesthetic Approach to Education for Chinese characters Focusing on Teaching-Learning integrated by "Shape", "Sound" and "Meaning" though Self-Chan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56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point of both Eastern and Western view, "Aesthetic" is recognized as "Harmony and completeness" in common. According to its view, the Aesthetics can be recognized when each words who have "Shape", "Sound" and "Meaning"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r.
      How you can look at the "Aesthetics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which is integrated both "Chinese Characters" and "Education". With base of common recognition on the Aesthetics in Eastern and Western, the Aesthetics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can be regarded as Educational method that can make curiosity of learners through intimate integration of "Shape", "Sound" and "Meaning".
      Hope that you can look at Aesthetics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though "Aesthetics of Harmony and Integration" in contents on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The Aesthetic approach to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can suggest new Teaching-Learning method as well as overcome current problem which is repeating past educational contents.
      번역하기

      In point of both Eastern and Western view, "Aesthetic" is recognized as "Harmony and completeness" in common. According to its view, the Aesthetics can be recognized when each words who have "Shape", "Sound" and "Meaning"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

      In point of both Eastern and Western view, "Aesthetic" is recognized as "Harmony and completeness" in common. According to its view, the Aesthetics can be recognized when each words who have "Shape", "Sound" and "Meaning"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r.
      How you can look at the "Aesthetics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which is integrated both "Chinese Characters" and "Education". With base of common recognition on the Aesthetics in Eastern and Western, the Aesthetics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can be regarded as Educational method that can make curiosity of learners through intimate integration of "Shape", "Sound" and "Meaning".
      Hope that you can look at Aesthetics of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though "Aesthetics of Harmony and Integration" in contents on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The Aesthetic approach to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can suggest new Teaching-Learning method as well as overcome current problem which is repeating past educational cont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東·西洋에서 ‘美’를 바라보는 시각을 살펴보면 ‘조화와 완전성’이 공통적인 인식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漢字’에 대해 미학적으로 접근한다면 하나의 낱글자가 가지고 있는 ‘形’·‘音’·‘義’가 서로 조화를 이룰 때 아름다움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漢字’와 ‘敎育’이라는 어휘가 결합한 ‘漢字敎育의 美學’은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東·西洋의 ‘美’에 대한 공통적인 인식을 토대로 ‘形’·‘音’·‘義’가 서로 조화를 이루는 ‘한자의 미’를 활용하여 ‘字形’, ‘字義’, ‘字音’이라는 교육 내용 간의 유기적 통합을 통해 학습자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학습 동기를 부여하여 교육내용을 완벽하게 지도하는 방법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자교육 내용 요소 간의 ‘조화와 통합의 미’라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한자교육의 미학’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한자교육에 대한 미학적 접근은 한자교육의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과거 교육내용만 반복하고 있는 현재의 문제를 한자교육 내용의 통합을 통해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東·西洋에서 ‘美’를 바라보는 시각을 살펴보면 ‘조화와 완전성’이 공통적인 인식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漢字’에 대해 미학적으로 접근한다면 하나의 낱글자가 ...

      東·西洋에서 ‘美’를 바라보는 시각을 살펴보면 ‘조화와 완전성’이 공통적인 인식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漢字’에 대해 미학적으로 접근한다면 하나의 낱글자가 가지고 있는 ‘形’·‘音’·‘義’가 서로 조화를 이룰 때 아름다움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漢字’와 ‘敎育’이라는 어휘가 결합한 ‘漢字敎育의 美學’은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東·西洋의 ‘美’에 대한 공통적인 인식을 토대로 ‘形’·‘音’·‘義’가 서로 조화를 이루는 ‘한자의 미’를 활용하여 ‘字形’, ‘字義’, ‘字音’이라는 교육 내용 간의 유기적 통합을 통해 학습자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학습 동기를 부여하여 교육내용을 완벽하게 지도하는 방법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한자교육 내용 요소 간의 ‘조화와 통합의 미’라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한자교육의 미학’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한자교육에 대한 미학적 접근은 한자교육의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과거 교육내용만 반복하고 있는 현재의 문제를 한자교육 내용의 통합을 통해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제원, "형성자 초성음가의 변화를 통한 한자지도 방안연구" 성균관대학교 2005

      2 김언종, "한자의 뿌리2" 문학동네 2001

      3 김언종, "한자의 뿌리1" 문학동네 2001

      4 이영수, "한자 학습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部首 및 聲部활용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2 : 2004

      5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교육과정해설서(Ⅴ)" 2008

      6 이희목, "중학교 한문1" 천재교육 2010

      7 주동일, "북한의 한문교육" 한국한문교육학회 15 : 2000

      8 정세근, "미학적 견지에서 본 한국서예정신" 한국서예학회 (15) : 229-249, 2009

      9 볼프강벨슈, "미학의 경계를 넘어" 향연출판사 2005

      10 진중권, "미학오디세이1" 휴머니스트 2003

      1 최제원, "형성자 초성음가의 변화를 통한 한자지도 방안연구" 성균관대학교 2005

      2 김언종, "한자의 뿌리2" 문학동네 2001

      3 김언종, "한자의 뿌리1" 문학동네 2001

      4 이영수, "한자 학습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部首 및 聲部활용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2 : 2004

      5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교육과정해설서(Ⅴ)" 2008

      6 이희목, "중학교 한문1" 천재교육 2010

      7 주동일, "북한의 한문교육" 한국한문교육학회 15 : 2000

      8 정세근, "미학적 견지에서 본 한국서예정신" 한국서예학회 (15) : 229-249, 2009

      9 볼프강벨슈, "미학의 경계를 넘어" 향연출판사 2005

      10 진중권, "미학오디세이1" 휴머니스트 2003

      11 한연석, "구형학 이론을 적용한 한자학습 신장 방안"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3-76, 2005

      12 이승현, "漢文敎師의 漢字 字源 活用 授業"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5-87, 2009

      13 이순옥, "東漢時代 草書의 書藝美에 관한 考察" 한국서예학회 (14) : 127-156, 2009

      14 이승연, "書體에 나타난 書藝美學 연구 ― 漢字의 書體演變을 중심으로 ―" 한국사상문화학회 (49) : 463-494, 2009

      15 김은경, "文化遺産을 活用한 漢字漢字語 敎授-學習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05-158, 2007

      16 한연석, "字源을 활용한 한자교수학습방법 연구-고등학교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21-172, 2006

      17 한은수, "字源을 活用한 漢字 敎授學習 方法 硏究"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73-216, 2006

      18 양원석, "中國에서의 字源을 활용한 漢字 교육 방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53-93, 2006

      19 황병호, "VTR과 MIND MAP을 활용한 부수지도 연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1 : 2003

      20 송하경, "21세기 신 서예 미학정신-선을 넘어 합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5 :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