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0-3세 영유아 교육 콘텐츠에 적용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6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의 사용자 경험을 중시하는 스마트 세상으로 변화됨에 따라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충족 시켜주는 제품들이 발전하고 있다. 그에 해당하는 제품들이 어른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만 있는 것이 아니다.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범위는 영유아 콘텐츠까지 확장하며 더 좋은 환경에서의 교육과 콘텐츠를 위해 연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0-3세 영유아 콘텐츠에서 나타난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분석하여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살펴보고 더 효과적인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사례로 2011년부터 4년 연속 대한민국 교육 브랜드 대상을 받고 있는 ``한국 몬테소리`` 와 2015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혁신 상을 받은 ``한솔 핀덴베베``를 선정하였다. ``한국 몬테소리``와 ``한솔 핀덴베베`` 사례를 살펴본 결과 다양한 사용자경험 디자인 영역이 잘 보여 지고 있다. 타 브랜드 영유아 콘텐츠와 차별화된 교육철학과 경험 요소로 만들어진 제품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경험의 요소와 사용자 경험요소의 구조인 미적인요소(Aesthetics), 유용적인 요소(Usefulness), 의미적 요소(Meaning)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 베이비 몬테소리``와 ``한솔 핀덴베베``는 제품의 형태, 기능, 색상, 품질 대부분이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다. 하지만 긍정적인 측면 이면에는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0-3세 영유아 콘텐츠의 사용자는 아이 혼자만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교육을 옆에서 도와주는 조력자 곧 부모도 같이 생각을 해야 한다. 아이들 교재나 교구는 정말 많은 투자를 해서 혁신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볼 수 있었지만 반면에 부모가이드는 부족한 부분들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사용자 니즈를 분석해 보면 어떻게 교육하는지와 부모 가이드북이 어렵다고 하는 부모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아이도 모든 아이가 같은 성격과 같은 교육을 할 수 없듯이 부모 또한 개인의 역량과 환경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0-3세 교육 콘텐츠특성상 아이 혼자만을 위한 콘텐츠를 만들어서는 안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래서 사용자경험 디자인의 프로세스 요소로 분석하고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험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사례로 선정된 ``한국 몬테소리``와 ``한솔 핀덴베베`` 제품에서 나타난 부모와 아이의 소비자와 경험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여 사용자 경험에 기여하는지를 살펴보고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번역하기

      인간의 사용자 경험을 중시하는 스마트 세상으로 변화됨에 따라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충족 시켜주는 제품들이 발전하고 있다. 그에 해당하는 제품들이 어른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만 ...

      인간의 사용자 경험을 중시하는 스마트 세상으로 변화됨에 따라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충족 시켜주는 제품들이 발전하고 있다. 그에 해당하는 제품들이 어른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만 있는 것이 아니다.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범위는 영유아 콘텐츠까지 확장하며 더 좋은 환경에서의 교육과 콘텐츠를 위해 연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0-3세 영유아 콘텐츠에서 나타난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분석하여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살펴보고 더 효과적인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사례로 2011년부터 4년 연속 대한민국 교육 브랜드 대상을 받고 있는 ``한국 몬테소리`` 와 2015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혁신 상을 받은 ``한솔 핀덴베베``를 선정하였다. ``한국 몬테소리``와 ``한솔 핀덴베베`` 사례를 살펴본 결과 다양한 사용자경험 디자인 영역이 잘 보여 지고 있다. 타 브랜드 영유아 콘텐츠와 차별화된 교육철학과 경험 요소로 만들어진 제품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경험의 요소와 사용자 경험요소의 구조인 미적인요소(Aesthetics), 유용적인 요소(Usefulness), 의미적 요소(Meaning)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 베이비 몬테소리``와 ``한솔 핀덴베베``는 제품의 형태, 기능, 색상, 품질 대부분이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다. 하지만 긍정적인 측면 이면에는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0-3세 영유아 콘텐츠의 사용자는 아이 혼자만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교육을 옆에서 도와주는 조력자 곧 부모도 같이 생각을 해야 한다. 아이들 교재나 교구는 정말 많은 투자를 해서 혁신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볼 수 있었지만 반면에 부모가이드는 부족한 부분들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사용자 니즈를 분석해 보면 어떻게 교육하는지와 부모 가이드북이 어렵다고 하는 부모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아이도 모든 아이가 같은 성격과 같은 교육을 할 수 없듯이 부모 또한 개인의 역량과 환경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0-3세 교육 콘텐츠특성상 아이 혼자만을 위한 콘텐츠를 만들어서는 안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래서 사용자경험 디자인의 프로세스 요소로 분석하고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험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사례로 선정된 ``한국 몬테소리``와 ``한솔 핀덴베베`` 제품에서 나타난 부모와 아이의 소비자와 경험이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여 사용자 경험에 기여하는지를 살펴보고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world changes into a smart one that values user experience of human, products satisfying such user experience are developing. There are also products covered by this concept but not for adults. The scope of the user experience designs expands to contents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researches have been focused on educations and their contents in better environment.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user experience designs from contents for infants and toddlers of between 0 and 3 years old, examined a variety of user experiences and tried to propose more effective direction. For such purpose, ``Montessori Korea`` which have received Korea Educational Brand Awards for 4 consecutive years and ``Hansol Finden Bebe`` which received an innovation award from iF Design Award 2015 were selected for the case study. As a result of reviewing cases of ``Montessori Korea`` and ``Hansol Finden Bebe``, it clearly indicated the areas of various user experience designs. Products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experience element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brand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experience elements along with aesthetic elements, useful elements and meaning elements of the user experience elements and then analyzed reviewing them using user experience design proces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Baby Montessori and Finden Bebe were designed with most of their forms, functions, colors and quality achieving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negative aspects were also revealed alongside positive aspects. The fact is that users of contents for infants and toddlers of between 0 and 3 years old are not the kids alone. Those who help their education right beside, namely parents,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Educational materials or tools for kids can offer innov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subject to massive investments. However, shortcomings were also found for the parent guide. The analysis of the user needs revealed a number of parents reported their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parent guide on how to educate their kids. As education with same characteristics and nature cannot apply to every kid, it was also indicated that parents had consider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competence and environment.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hose between 0 and 3 years old, it was clear that contents for the kids only cannot be accepted, thus it was intended to propose more effective method through analysis of the process elements in user experience designs. This study explored how the experience of parents and their kids using products of ``Montessori Korea`` and ``Hansol Finden Bebe`` which were selected as the cases of user experience designs interacted with the products and contributed to the user experience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more effective method.
      번역하기

      As the world changes into a smart one that values user experience of human, products satisfying such user experience are developing. There are also products covered by this concept but not for adults. The scope of the user experience designs expands t...

      As the world changes into a smart one that values user experience of human, products satisfying such user experience are developing. There are also products covered by this concept but not for adults. The scope of the user experience designs expands to contents for infants and toddlers and researches have been focused on educations and their contents in better environment. Thus, this study analyzed the user experience designs from contents for infants and toddlers of between 0 and 3 years old, examined a variety of user experiences and tried to propose more effective direction. For such purpose, ``Montessori Korea`` which have received Korea Educational Brand Awards for 4 consecutive years and ``Hansol Finden Bebe`` which received an innovation award from iF Design Award 2015 were selected for the case study. As a result of reviewing cases of ``Montessori Korea`` and ``Hansol Finden Bebe``, it clearly indicated the areas of various user experience designs. Products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experience elements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brand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experience elements along with aesthetic elements, useful elements and meaning elements of the user experience elements and then analyzed reviewing them using user experience design proces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Baby Montessori and Finden Bebe were designed with most of their forms, functions, colors and quality achieving customer satisfaction. However, negative aspects were also revealed alongside positive aspects. The fact is that users of contents for infants and toddlers of between 0 and 3 years old are not the kids alone. Those who help their education right beside, namely parents, should also be taken into account. Educational materials or tools for kids can offer innov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subject to massive investments. However, shortcomings were also found for the parent guide. The analysis of the user needs revealed a number of parents reported their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parent guide on how to educate their kids. As education with same characteristics and nature cannot apply to every kid, it was also indicated that parents had consider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competence and environment.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those between 0 and 3 years old, it was clear that contents for the kids only cannot be accepted, thus it was intended to propose more effective method through analysis of the process elements in user experience designs. This study explored how the experience of parents and their kids using products of ``Montessori Korea`` and ``Hansol Finden Bebe`` which were selected as the cases of user experience designs interacted with the products and contributed to the user experience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more effective meth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순, "제품의 사용자 경험과 디자인" 한국학술정보 2012

      2 김형석, "이케아 제품과 공간에 적용된 사용자 경험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165-175, 2014

      3 김동환,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보는 UX 디자인" 에이콘출판 2011

      4 장혜진, "사용자의 경험 측정을 통한 디자인 요소 추출 방법에 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12

      5 정은경,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는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 프로세스" 한국정보디자인학회 16 (16): 175-184, 2013

      6 조은아,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Health Care Agent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2

      7 박천휘,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본 신디사이저 조작패널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2013

      8 이여리, "사용자 감성을 기반으로 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 아날로그적 경험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2012

      9 김영삼, "눈길을 사로잡는 스마트폰 앱 UX&UI 디자인" 위키북스 2013

      10 제시제임스게러트, "경험디자인의 요소" 한솜미디어 2011

      1 박정순, "제품의 사용자 경험과 디자인" 한국학술정보 2012

      2 김형석, "이케아 제품과 공간에 적용된 사용자 경험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 (20): 165-175, 2014

      3 김동환,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보는 UX 디자인" 에이콘출판 2011

      4 장혜진, "사용자의 경험 측정을 통한 디자인 요소 추출 방법에 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12

      5 정은경,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는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 프로세스" 한국정보디자인학회 16 (16): 175-184, 2013

      6 조은아,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Health Care Agent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2

      7 박천휘,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본 신디사이저 조작패널 인터페이스의 사용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2013

      8 이여리, "사용자 감성을 기반으로 한 유저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 아날로그적 경험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2012

      9 김영삼, "눈길을 사로잡는 스마트폰 앱 UX&UI 디자인" 위키북스 2013

      10 제시제임스게러트, "경험디자인의 요소" 한솜미디어 2011

      11 "www.naver.com"

      12 "www.montessori.co.kr"

      13 "www.finden.co.kr"

      14 현호영, "UX 디자인 이야기" 프로제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