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학교스포츠클럽에서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으로의 발전 과정 탐색 = Exploration of Development Process from School Sports Club Korean style School Sports Clu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03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times, the public interest is being focused on school sports club as one of the plan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youth sports activities and eradication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Hereby,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documents related to operating projects of diverse school sports clubs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Korean Olympic Committee, and thereby intended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a school sports club by examining some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two schools which are currently operating a school sports club. Through such a process, this study is,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school sports club, aimed at preparing the around needed for successful establishment and spread of a Korean style school sports club, and action plan for its future developments. It is hoped that such a research result will be a basic study contributing to shedding new light on the role of the Korean style school sports club, and revitalization of sports activities of the future elementary,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formation of the sound youth sports culture.
      번역하기

      In recent times, the public interest is being focused on school sports club as one of the plan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youth sports activities and eradication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Hereby,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

      In recent times, the public interest is being focused on school sports club as one of the plan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youth sports activities and eradication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Hereby,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and documents related to operating projects of diverse school sports clubs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Korean Olympic Committee, and thereby intended to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a school sports club by examining some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two schools which are currently operating a school sports club. Through such a process, this study is,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school sports club, aimed at preparing the around needed for successful establishment and spread of a Korean style school sports club, and action plan for its future developments. It is hoped that such a research result will be a basic study contributing to shedding new light on the role of the Korean style school sports club, and revitalization of sports activities of the future elementary,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formation of the sound youth sports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아동 및 청소년의 체육활동 활성화와 학교폭력 근절 및 예방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대한체육회 등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사업과 관련한 문헌 및 정책 관련 문서 등을 분석하고, 현재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 중인 2개 학교의 실태를 일부 조사함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본 연구는 기존의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대안으로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취지, 향후 발전을 위한 실천 방안을 탐색함으로써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의 성공적 정착 및 확산에 필요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의 역할 재조명과 향후 초ㆍ중ㆍ고등학생의 체육활동 활성화 및 건전한 청소년 스포츠문화 형성에 기여하는 기초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최근 아동 및 청소년의 체육활동 활성화와 학교폭력 근절 및 예방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대한체육회 등에서...

      최근 아동 및 청소년의 체육활동 활성화와 학교폭력 근절 및 예방을 위한 방안 중 하나로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 대한체육회 등에서 추진하고 있는 다양한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사업과 관련한 문헌 및 정책 관련 문서 등을 분석하고, 현재 학교스포츠클럽을 운영 중인 2개 학교의 실태를 일부 조사함으로써 학교스포츠클럽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본 연구는 기존의 학교스포츠클럽에 대한 대안으로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취지, 향후 발전을 위한 실천 방안을 탐색함으로써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의 성공적 정착 및 확산에 필요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의 역할 재조명과 향후 초ㆍ중ㆍ고등학생의 체육활동 활성화 및 건전한 청소년 스포츠문화 형성에 기여하는 기초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대한체육회, 대한체육회 2011

      2 대한체육회,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사업계획(안)"

      3 최인재, "한국청소년 지표 조사Ⅴ-2010 한국 청소년 건강 실태 조사" 한국청소년 정책 연구원 2011

      4 교육인적자원부, "학생 건강증진 종합계획(안)"

      5 교육과학기술부, "학교폭력근철 종합 대책"

      6 주명현, "학교체육 진흥을 위한 학교체육 추진환경 정비방안에 대한 토론" 101-119, 2012

      7 김선희, "학교스포츠클럽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 33 (33): 347-364, 2008

      8 김경숙,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9 교육인적자원부, "학교스포츠클럽 운영계획"

      10 허현미,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개선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 한국체육학회 47 (47): 119-132, 2008

      1 대한체육회, 대한체육회 2011

      2 대한체육회, "한국형 학교스포츠클럽 지원 사업계획(안)"

      3 최인재, "한국청소년 지표 조사Ⅴ-2010 한국 청소년 건강 실태 조사" 한국청소년 정책 연구원 2011

      4 교육인적자원부, "학생 건강증진 종합계획(안)"

      5 교육과학기술부, "학교폭력근철 종합 대책"

      6 주명현, "학교체육 진흥을 위한 학교체육 추진환경 정비방안에 대한 토론" 101-119, 2012

      7 김선희, "학교스포츠클럽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한국사회체육학회 33 (33): 347-364, 2008

      8 김경숙,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09

      9 교육인적자원부, "학교스포츠클럽 운영계획"

      10 허현미,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개선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 한국체육학회 47 (47): 119-132, 2008

      11 임성철, "학교 체육활동에서 학교 폭력의 실마리를 찾다"

      12 교육과학기술부, "학교 체육ㆍ예술 교육 내실화 방안"

      13 이한나, "축구재미에 빠져 학교폭력 몰라요. 자료출처"

      14 교육과학기술부, "초ㆍ중등 학교체육 활성화 방안"

      15 이진갑, "청소년의 여가스포츠활동참가유형과 정도에 따른 자기표현행동과 자기조절능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41 (41): 147-158, 2002

      16 이제행, "청소년의 스포츠참여와 신체적 자긍심 및 자아존중감의 인과관계" 한국체육학회 45 (45): 159-166, 2006

      17 임미나,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 늘었다"

      18 김선희, "청소년 스포츠와 코치 교육: 반성과 대안"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9 교육과학기술부, "창의경영학교(학교체육 활성화)운영 관련 안내"

      20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체육수업시수 확대 추진 계획"

      21 김선희, "주5일 수업제 도입에 따른 학생체육 활성화 방안" 21-40, 2012

      22 대한체육회, "제4차 체육교육혁신형 창의경영학교 운영위원회 회의자료"

      23 이슬기, "입시위주의 교육, 중ㆍ고교 학생 체력저하 ‘심각’"

      24 김영미, "아동의 운동참가와 인터넷 중독 및 친구관계" 한국체육학회 44 (44): 205-216, 2005

      25 조정호, "맥도날드 부산 방과후 학교 축구교실 운영"

      26 Weiss, M. R., "Promoting Positive Youth Development Through Physical Activity" 10 (10): 1-7, 2009

      27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도 학교체육 주요업무 계획(안)"

      28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도 학교스포츠클럽 육성 계획"

      29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도 학교스포츠클럽 육성 계획"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12-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과정평가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7 1.353 0.8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