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표윤희, "학교 기반 치료지원 체계 및 협력적 팀 접근 체계 개선을 위한 관련자의 경험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9 (59): 25-57, 2016
2 박재국,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5-47, 2014
3 소라, "중도․중복장애학생 순회교육담당교사의 직무수행어려움과 교사효능감 등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315-335, 2010
4 김은실,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지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271-297, 2009
5 한경근,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287-316, 2009
6 박은혜,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특수교육 지원체계에 대한 요구조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31-58, 2010
7 송여미, "재택순회교육 대상 학생의 성인기로의 전환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01-221, 2014
8 표윤희,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와 치료사 간 협력적 팀 접근 중재의 질적 평가 지표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93-320, 2014
9 안영주,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부모의 만족도 조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백경란, "상황중심 보완대체 의사소통 앱 사용이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9 (59): 155-182, 2016
1 표윤희, "학교 기반 치료지원 체계 및 협력적 팀 접근 체계 개선을 위한 관련자의 경험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9 (59): 25-57, 2016
2 박재국,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5-47, 2014
3 소라, "중도․중복장애학생 순회교육담당교사의 직무수행어려움과 교사효능감 등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315-335, 2010
4 김은실,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적 지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271-297, 2009
5 한경근, "중도·중복장애의 개념, 진단평가 및 교육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287-316, 2009
6 박은혜,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특수교육 지원체계에 대한 요구조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3 (53): 31-58, 2010
7 송여미, "재택순회교육 대상 학생의 성인기로의 전환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01-221, 2014
8 표윤희, "장애학생에 대한 교사와 치료사 간 협력적 팀 접근 중재의 질적 평가 지표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93-320, 2014
9 안영주, "인천지역 중도·중복장애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 실태 및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부모의 만족도 조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백경란, "상황중심 보완대체 의사소통 앱 사용이 중도․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9 (59): 155-182, 2016
11 Hunt, P., "collaborative teaming to support students with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need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 18 : 20-35, 2002
12 Horn, E. M., "Supporting Young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What Do We Know and What Do We Still Need To Learn?" 31 (31): 241-248, 2012
13 Bogdan, R. C.,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Pearson A & B 2007
14 Padgett, D. K.,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Sages 1998
15 Snell, Martha. E., "Instruction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Pearson Education, Inc 2011
16 Downing, . E., "Inclusive education: What makes it a a good educatjion for students with moderate to severe disabilities?" 32 : 16-30, 2007
17 Barnes, S. B., "Effects of functional mobility skills training for young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68 (68): 313-324, 2002
18 Udvari-Solner, A., "Educating Children with Multiple Disabilities: A Collaborative Approach" 2004
19 Fisher, M., "Development and social competence after two years for students enrolled in inclusive and self-contained educational programs" 27 : 165-174, 2002
20 Sandall, S., "DEC Recommended practices:A comprehensive guide for practical applications in early/intervention/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DEC of CEC 2005
21 Hanae Kumata,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2012
22 Ratzon, N. Z., "Comparing different short-term service delivery methods of visual-motor treatment for first grade students in mainstream schools" 30 : 1168-1176, 2009
23 Hunt, P., "Collaborative teaming to support students at risk and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 69 : 315-332, 2003
24 Hunt, P., "Collaborative teaming to support preschoolers with severe disabilities who are placed in general education early childhood programs" 24 (24): 123-142, 2004
25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1990
26 Ministry of Education, "Annual report of special education in 2015" 2015
27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A Nation-wide Survey on Special Education in 2014"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