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백혈병’으로 알려진 반도체 전자산업 노동자들의 직업성 질병 인정 운동은 산업재해에 따른 노동문제, 질병원인 판단에 따른 과학기술정치의 문제 등 노동자, 기업, 정부 등 이해 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583003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9-96(4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삼성백혈병’으로 알려진 반도체 전자산업 노동자들의 직업성 질병 인정 운동은 산업재해에 따른 노동문제, 질병원인 판단에 따른 과학기술정치의 문제 등 노동자, 기업, 정부 등 이해 당...
‘삼성백혈병’으로 알려진 반도체 전자산업 노동자들의 직업성 질병 인정 운동은 산업재해에 따른 노동문제, 질병원인 판단에 따른 과학기술정치의 문제 등 노동자, 기업, 정부 등 이해 당사자들 간의 갈등과 대립이 첨예하게 드러나는 사례이다. 기존연구는 주로 시민운동으로서의 ‘삼성백혈병’ 사례를 다룸으로써, 산재 인정 운동의 주체인 노동자들이 어떻게 건강위험을 인식하고 그러한 경험을 토대로 전문가들의 지식에 대항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지식을 어떤 방식으로 재구성 해내었는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이 연구는 반도체 전자사업 노동자의 성별에 따른 유해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인식과 질병 경험을 통한 발병 원인에 대한 지식의 구성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성별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위험인식에 대한 젠더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위험정보와 위험인식에 대한 젠더효과를 확인하고, 성별화된 작업현장이라는 사회구조적 차원의 요인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반도체 전자산업 노동자(환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자료를 통해 성별에 따라 작업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유해 화학물질에 대한 위험인식과 질병 경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대중역학이 구성되는 과정에서 이해 당사자인 노동자들이 단일한 위험인식과 이해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분화되고 층화된 정체성을 가짐을 확인하고, 이러한 이질적 정체성들이 노동보건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nset of the issue of guaranteeing semiconductor electronic industry workers’ health rights, which we call “Samsung Leukemia”, wa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auses of disease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corporations and activist patien...
The onset of the issue of guaranteeing semiconductor electronic industry workers’ health rights, which we call “Samsung Leukemia”, wa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auses of disease between the Korean government, corporations and activist patients. We examine the risk perception of hazardous chemicals that workers’ go through in their workplace and knowledge construction with the experience through their disease, which helps us to understand alternative knowledge against the mainstream science in terms of the poli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Semiconductor electronic industry workers labor health movement asks for the improvement of inequality including workers’ health and protection of their rights, and at the same time, requires embodied knowledge construction based on actual scenes.
We argue not only the redefined notion of gendered difference in risk perceptions, but also construction of knowledge.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risk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the hazardous chemicals differs by gender differences in the semiconductor electronics industry. Our study has the implication for understanding the impact of the multi - stratified identity on labor health move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용민, "화학물질 유해성에 대한 작업자와 관리자들의 인식" 한국산업보건학회 22 (22): 293-300, 2012
2 권영준, "현행 업무상 질병 판정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71-80, 2009
3 방희경, "행위자-관계망 이론으로 재구성한‘삼성반도체 작업환경과 백혈병 사이의 인과관계’ 추단할 수 있는 단서들 수집 vs. 부재 증명"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2 (22): 64-110, 2014
4 장필화, "한국 여성 건강 정책 성별 분석을 위한 시론" 2 (2): 1-27, 2001
5 "통계청"
6 신순철, "직업과 고용형태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학회 (22) : 205-224, 2007
7 조정민, "유기용제 취급근로자가 호소하는 신체증상과 그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8 (8): 57-64, 1994
8 한스 페터 페터스, "위험인지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9 박희제,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적 이해가위험정보 소통 체계에 주는 함의" 6 : 8-38, 2004
10 김영욱, "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1 조용민, "화학물질 유해성에 대한 작업자와 관리자들의 인식" 한국산업보건학회 22 (22): 293-300, 2012
2 권영준, "현행 업무상 질병 판정체계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71-80, 2009
3 방희경, "행위자-관계망 이론으로 재구성한‘삼성반도체 작업환경과 백혈병 사이의 인과관계’ 추단할 수 있는 단서들 수집 vs. 부재 증명"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2 (22): 64-110, 2014
4 장필화, "한국 여성 건강 정책 성별 분석을 위한 시론" 2 (2): 1-27, 2001
5 "통계청"
6 신순철, "직업과 고용형태가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학회 (22) : 205-224, 2007
7 조정민, "유기용제 취급근로자가 호소하는 신체증상과 그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8 (8): 57-64, 1994
8 한스 페터 페터스, "위험인지와 위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9 박희제, "위험인식의 다면성과 위험갈등: 위험인식에 대한 사회과학적 이해가위험정보 소통 체계에 주는 함의" 6 : 8-38, 2004
10 김영욱, "위험, 위기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11 김경희, "우리나라 대도시에 거주하는 국민들의 공중보건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 대한의사협회 57 (57): 259-269, 2014
12 박홍주, "여성노동자의 ‘건강권’개념 확대를 위한 시론" 6 (6): 71-92, 2005
13 정인경, "여성근로자 중심의 업종별 안전보건관리기법"
14 꿈지모, "여성과 환경-모유 수유와 여성 노동자의 산재에 대하여" 178-193, 2002
15 송다영, "여성 건강 문제와 여성 복지" (1) : 149-180, 2001
16 임준, "안에서 밖으로 시야를 확장하는 패러다임의 변화, 노동자 건강권" (161) : 47-50, 2012
17 문병희, "삼성반도체 유해물질 기록된 '환경수첩' 공개돼"
18 임재선, "삼성 백혈병…‘환경수첩’은 알고 있다"
19 석재은, "산재보험의 ‘원인주의’적 접근방식의 문제점과 정책과제" (14) : 147-175, 2003
20 임준, "산재보험을 둘러싼 쟁점과 과제" (99) : 9-14, 2007
21 정진주, "산재보험 수혜의 성별 차이에 대한 시론적 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30) : 151-176, 2011
22 최윤희,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의 몇 가지 문제점과 개선방향"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26) : 317-347, 2009
23 "산업연구원"
24 김기웅, "산업안전보건관리자 특성과 화학물질 유해성 정보전달의 관련성" 한국산업보건학회 22 (22): 156-163, 2012
25 황예랑, "반도체산업-림프종 연관성 규명 백혈병 산재논란은 여전히 숙제"
26 박승현, "반도체 조립공정의 화학물질 노출특성 및 작업환경관리" 한국산업보건학회 24 (24): 272-280, 2014
27 박동욱, "반도체 웨이퍼 가공 근로자의 생식독성과 암 위험 역학연구에서 과거 노출평가 방법 고찰" 한국산업보건학회 22 (22): 9-19, 2012
28 박동욱, "반도체 웨이퍼 가공 공정 및 잠재적 유해인자에 대한 고찰"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3 (23): 333-342, 2011
29 김재영, "노동자 건강의 정치경제학 2" 한울 2012
30 조주현, "난자 : 생명기술의 시선과 여성 몸 체험의 정치성" 한국여성학회 22 (22): 5-40, 2006
31 문영한, "근로자들의 건강상태가 작업환경 인식에 미치는영향" 4 (4): 81-90, 1992
32 "근로복지공단"
33 레이첼 모렐로-프로쉬, "과학의 새로운 정치사회학을 향하여 — 제도, 연결망, 그리고 권력" 2013
34 정진주, "공공지출이 젠더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1) 산재보험급여 지급의 젠더 불평등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35 이수정, "‘의자 놓기’와 여성노동자의 건강권 확보 운동" 한국여성연구소 8 (8): 223-241, 2008
36 김종영, "‘삼성백혈병’의 지식정치: 노동보건운동과 현장 중심의 과학" 한국사회학회 47 (47): 267-318, 2013
37 G. Becker, "‘Born To Be a Mother’: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Risk in Infertility Treatment in the U.S." 39 (39): 507-518, 1994
38 Gustafson, P. K., "risk och olyckor: En forskningsoversikt" University of Karlstad 1997
39 Hambach R., "Workers’ perception of chemical risks: A focus group study" 31 (31): 335-342, 2011
40 Fischer, G. W., "What Risks Are People Concerned About?" 11 (11): 303-314, 1991
41 Larsson, T. J., "Upplevda riskerfdr sjukdom ocho fychxfafl A ttityder hos firvarvarbetande svenskur medkroppsarbete"
42 Bennett, P., "Understanding responses to risk: some basic findings" 3-19, 1999
43 Slovic, P, "Trust, emotion, sex, politics., and science : Surveying the riskassessment battlefield" 19 (19): 689-701, 1999
44 Brown, P., "Toxic Exposure: Contested Illnesses and the Environmental Health Movement"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45 Nathan, K., "Tolerance for potential environmental health risks : The influence of knowledge, benefits, control, involvement and uncertainty" 4 (4): 235-258, 1992
46 Wildavsky, A., "Theories of risk perception: Who fears what and why?" 119 (119): 1-60, 1990
47 Nicholson, L. J., "The Second Wave: A Reader in Feminist Theory" Nicholson 1997
48 백영경, "Stem Cell for the Present: Reconfiguration of Stem Cell Research, Ethics and Bio-industry in South Korea after the Hwang" 한국과학기술학회 12 (12): 185-207, 2012
49 Brown, P., "Soical Movements in Health" Blackwell Publishing 1-16, 2005
50 Slovic, P., "Social Theories of Risk" Praeger Publishers 117-152, 1992
51 Renn, O., "Social Theories of Risk" Praeger 53-79, 1992
52 Wynne, B, "Seasick on the Third Wave: Subverting the Hegemony of Propositionalism" 33 (33): 401-417, 2003
53 Henwood, K. L., "Science, technology and risk perception : From gender differences to the effects made by gender" 27 (27): 662-676, 2008
54 Slovic, P, "Public perceptions of risk" 39 (39): 54-58, 1992
55 Brown, P, "Popular Epidemiology and Toxic Waste Contamination" 33 : 267-281, 1992
56 Levenstein, C., "Policy implications intervention research: Research on the social context for intervention" 29 (29): 358-361, 1996
57 Drottz-Sjoberg, B.-M., "Perception of Risk: Studies of Risk Attitudes, Perceptions and Dejnitions" Center for Risk Research Stockholm School of Economics Stockholm 1991
58 Fischhoff, B., "How safe is safe enough? A psychometric study of attitudes towards technological risks and benefits" 9 (9): 127-152, 1978
59 Flynn, J., "Gender, Race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 Health Risks" 14 (14): 1101-1108, 1994
60 Byrnes, J. P., "Gender differences in risk taking: A meta-analysis" 125 (125): 367-, 1999
61 Misse, W. H., "Gender and regional differences in risk perception: results from implementing the Seveso II Directive in Sweden" 5 (5): 69-81, 2002
62 Davidson, D. J., "Gender and environmental risk concerns a review and analysis of available research" 28 (28): 302-339, 1996
63 Connell, R. W., "Gender and Power: Sociey, the Person and Sexual Politics" Polity Press 1987
64 Gustafsod, P. E., "Gender Differences in risk perception: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erspectives" 18 (18): 805-811, 1998
65 Mandell, N., "Feminist Issues: Race, Class., and Sexuality" Prentice Hall Canada 1995
66 Sims, J., "Engendering International Health: The Challenge of Equity" The MIT Press 2002
67 Cutter, S. L., "En-Gendered Fears : Femininity and Technological Risk Perception" 6 (6): 5-22, 1992
68 Janicak, CA, "Employers' knowledge of the hazard communication standard requirements and the perceived barriers to compliance" 27 (27): 233-239, 1996
69 Kim, M. H., "An untold story in labor health: Korean women workers" 17 (17): 325-343,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3 | 0.93 | 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2 | 0.97 | 1.244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