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생명과학Ⅰ 탐구 활동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using Smart Devices for Inquiry Activities in Life Science 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52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inquiry activities of Life Science I using smart devices. This study analyz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inquiry activities provided in the textbooks for material development and topics of activities, and smart education tool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n, these materials were applied in class of 81 students in the 11th grad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perceptions of inquiry activities using smart devices. The topics of activities were as follows: ‘Making a bacteriophage model’, ‘Making a sarcomere model’, ‘Making a brain model’, ‘Determining blood type with an antigen and antibody model’, and ‘Analyzing human karyotype’. For the smart education tools, ‘Tinkercad’, ‘Mentimeter’, and ‘Padlet’ were used. At the beginning and final of the class, students were made to solve quizzes or confirm their answers with Mentimeter. In the middle of the class, students did some inquiry activities with Tinkercad and uploaded the results to the Padlet to share their ideas.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interested and engaged in active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y expressed the positive response toward the level of difficulty and the usefulness of the materials in learning Life Science I. It is expected that it might be helpful to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and understanding in Life ScienceⅠ class by using the materials with smart device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inquiry activities of Life Science I using smart devices. This study analyz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inquiry activities provided in the textbooks for materia...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inquiry activities of Life Science I using smart devices. This study analyz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inquiry activities provided in the textbooks for material development and topics of activities, and smart education tool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n, these materials were applied in class of 81 students in the 11th grad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perceptions of inquiry activities using smart devices. The topics of activities were as follows: ‘Making a bacteriophage model’, ‘Making a sarcomere model’, ‘Making a brain model’, ‘Determining blood type with an antigen and antibody model’, and ‘Analyzing human karyotype’. For the smart education tools, ‘Tinkercad’, ‘Mentimeter’, and ‘Padlet’ were used. At the beginning and final of the class, students were made to solve quizzes or confirm their answers with Mentimeter. In the middle of the class, students did some inquiry activities with Tinkercad and uploaded the results to the Padlet to share their ideas.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interested and engaged in active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y expressed the positive response toward the level of difficulty and the usefulness of the materials in learning Life Science I. It is expected that it might be helpful to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and understanding in Life ScienceⅠ class by using the materials with smart devi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남, "클리커 앱을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업 방안 효과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59-87, 2021

      2 김민지 ; 신동희, "초중등 과학 수업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교육적 기능 분석"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3 (13): 473-489, 2019

      3 최누리 ; 박재근, "초등 과학과 환경 수업에 활용 가능한 안드로이드 기반 ‘ECO’ 어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 43 (43): 321-332, 2015

      4 정유나 ; 차희영, "중학교 ‘진화’ 단원 디지털 교재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89-99, 2019

      5 최영미 ; 양지혜 ; 홍승호, "스마트미디어 기반의 ‘닭의 한살이’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과학 탐구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166-180, 2016

      6 김상욱 ; 소금현,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과학 영재아의 과학학습 동기, 창의적 인성 및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 44 (44): 364-371, 2016

      7 황유리,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스마트기기 및 콘텐츠 효과성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8 정민수 ; 이동성, "스마트교육 선도 교사들의 교수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교육종합연구원 12 (12): 85-104, 2014

      9 배진호 ; 김진수 ; 김은아 ; 소금현,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역진행 자유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21세기 핵심 역량,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4 (34): 476-485, 2015

      10 오현석,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수업 실행 연구: 중학교 기권 단원 수업 사례"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3 (13): 225-240, 2019

      1 박경남, "클리커 앱을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업 방안 효과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59-87, 2021

      2 김민지 ; 신동희, "초중등 과학 수업에서 사용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교육적 기능 분석"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3 (13): 473-489, 2019

      3 최누리 ; 박재근, "초등 과학과 환경 수업에 활용 가능한 안드로이드 기반 ‘ECO’ 어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 43 (43): 321-332, 2015

      4 정유나 ; 차희영, "중학교 ‘진화’ 단원 디지털 교재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89-99, 2019

      5 최영미 ; 양지혜 ; 홍승호, "스마트미디어 기반의 ‘닭의 한살이’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과학 탐구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166-180, 2016

      6 김상욱 ; 소금현,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과학 영재아의 과학학습 동기, 창의적 인성 및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 44 (44): 364-371, 2016

      7 황유리,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스마트기기 및 콘텐츠 효과성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8 정민수 ; 이동성, "스마트교육 선도 교사들의 교수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교육종합연구원 12 (12): 85-104, 2014

      9 배진호 ; 김진수 ; 김은아 ; 소금현,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역진행 자유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21세기 핵심 역량,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4 (34): 476-485, 2015

      10 오현석,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구성 수업 실행 연구: 중학교 기권 단원 수업 사례"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3 (13): 225-240, 2019

      11 장진아 ; 정용재, "스마트 기기 도입이 과학탐구 활동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교육대학원 초등과학 전공 교사의 인식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359-370, 2017

      12 홍명진 ; 김민경 ; 이준규, "생명과학 교과서에 수록된 DNA 종이 모형 분석과 개선된 DNA 종이 모형의 개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1 (11): 37-43, 2017

      13 노채환, "비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패들렛(Padlet)을 활용한 상호작용 연구 - 사이버대학의 <고급한국어>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153) : 99-123, 2021

      14 곽형석 ; 신영준, "모바일을 활용한 형성평가가 과학수업의 흥미성과 자기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285-294, 2014

      15 남혜인 ; 강훈식 ; 노태희,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토론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의 활용 방식과 수업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787-797, 2017

      16 윤정현 ; 강석진 ; 노태희, "과학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소집단 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519-526, 2016

      17 윤정현 ; 안인영 ; 노태희, "과학 수업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개념 적응적 개별화 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35 (35): 325-331, 2015

      18 Whalley, B., "Towards flexible personalized learning and the future educational system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wake of COVID-19" 6 (6): 79-99, 2021

      1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Propulsive Strategy of Smart Learning" 2011

      20 Johnson, L., "The NMC Horizon Report: 2013 Higher Education Edition" New Media Consortium 2013

      21 고동국 ; 홍승호, "TPACK 기반 테크놀로지 활용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순환 기관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9 (39): 84-99, 2020

      22 Williams, A. J., "Smart phones, a powerful tool in the chemistry classroom" 88 (88): 683-686, 2011

      23 한아름 ; 나지연, "STEAM 수업에서 스마트테크놀로지 적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적용 유형과 어려움 및 지원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777-790, 2019

      24 Lee, S., "Effects of the student-participatory science class using smart devi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22

      25 Jung, J., "A study on design education using 3D modeling tool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of Education 2012

      26 박주하 ; 정은영, "3D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생명과학Ⅰ 수업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신경계와 염색체의 구조를 중심으로 -" 한국생물교육학회 49 (49): 572-582, 2021

      27 Ministry of Education,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28 박은경 ; 정은영, "2009 개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 I 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 한국생물교육학회 47 (47): 35-49,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