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 TBT가 한국의 부가가치 기준 수출에 미치는 영향 =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TBT by US on the Korean Expor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36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WTO 출범이후 무역기술장벽(Technical Barrier to Trade; TBT)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은 최다 TBT 통보국이다. TBT는 표준관련 규제로서, 한편으로는 무역에 대한 장벽의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무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본 논문은 미국의 TBT가 2002 ~2014년 동안 한국의 대미 제조업 수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총액 기준 무역 및 부가가치 기준 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미국의 TBT가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 긍정적이었다. 둘째, 하지만 그 효과는 산업별로 달랐는데 세계시장에서 한국과 미국의 수출경합도가 높은 산업에서는 낮은 산업에 비해 TBT가 수출감소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총수출액 무역의 비교 분석에서는 총수출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크고, 최종재와 중간재 수출의 비교 분석 부분에서는 최종재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WTO 출범이후 무역기술장벽(Technical Barrier to Trade; TBT)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은 최다 TBT 통보국이다. TBT는 표준관련 규제로서, 한편으로는 무역에 대한 장벽의 역할을 하기도 ...

      WTO 출범이후 무역기술장벽(Technical Barrier to Trade; TBT)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은 최다 TBT 통보국이다. TBT는 표준관련 규제로서, 한편으로는 무역에 대한 장벽의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다른 측면에서는 무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본 논문은 미국의 TBT가 2002 ~2014년 동안 한국의 대미 제조업 수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총액 기준 무역 및 부가가치 기준 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미국의 TBT가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적으로 긍정적이었다. 둘째, 하지만 그 효과는 산업별로 달랐는데 세계시장에서 한국과 미국의 수출경합도가 높은 산업에서는 낮은 산업에 비해 TBT가 수출감소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가가치 기준 무역과 총수출액 무역의 비교 분석에서는 총수출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크고, 최종재와 중간재 수출의 비교 분석 부분에서는 최종재에 대한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number of Technical Barriers to Trade (TBT) notifications applying technical regulations, standards, and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s increased exponentially. In particular, TBTs are notified a lot by major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US). Moreover, the share of Trade in Value Added (TiVA) in Korean trade has been also de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global value chai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BT on the exports, focusing on the concept of TiVA. To this end, we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by using the data of TBT notifications to WTO by US and using the data of Korean manufacturing export for the period from 2002 to 2014.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BT notifications by US, in general, has positive impact on Korean manufacturing exports to US. In other words, TBT of USA did not worked as a barrier to trade. Rather, it seems that those TBTs show the structur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Korea and US. Second, the effects of TBT is larger for the final goods than for the intermediate goods. Third, we could not see any big difference between ‘gross term export’ and ‘export in value added’ in the sense of TBT effects. Fourth, in the industries where the export structure of two countries to the world market is similar, i.e., if the Export Similarity Index is high, then the positive effects of TBT is smaller.
      번역하기

      Recently, the number of Technical Barriers to Trade (TBT) notifications applying technical regulations, standards, and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s increased exponentially. In particular, TBTs are notified a lot by major advanced countries such as...

      Recently, the number of Technical Barriers to Trade (TBT) notifications applying technical regulations, standards, and conformity assessment procedures increased exponentially. In particular, TBTs are notified a lot by major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US). Moreover, the share of Trade in Value Added (TiVA) in Korean trade has been also decreasing due to the expansion of global value chain.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BT on the exports, focusing on the concept of TiVA. To this end, we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by using the data of TBT notifications to WTO by US and using the data of Korean manufacturing export for the period from 2002 to 2014.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BT notifications by US, in general, has positive impact on Korean manufacturing exports to US. In other words, TBT of USA did not worked as a barrier to trade. Rather, it seems that those TBTs show the structur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Korea and US. Second, the effects of TBT is larger for the final goods than for the intermediate goods. Third, we could not see any big difference between ‘gross term export’ and ‘export in value added’ in the sense of TBT effects. Fourth, in the industries where the export structure of two countries to the world market is similar, i.e., if the Export Similarity Index is high, then the positive effects of TBT is small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선행연구 및 연구의 차별성 Ⅲ. 무역기술장벽 및 한국 제조업 수출 현황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선행연구 및 연구의 차별성 Ⅲ. 무역기술장벽 및 한국 제조업 수출 현황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보영, "한⋅중⋅일의 비관세장벽이 3국의 무역에 미치는 영향 - 규제적 조치를 중심으로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8 (28): 39-67, 2016

      2 최보영, "한⋅중⋅일의 비관세장벽 완화를 위한 3국 협력방안:규제적 조치를 중심으로" KIEP 2015

      3 장용준, "무역상 기술장벽(TBT)이 한국의 교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통상학회 19 (19): 1-33, 2014

      4 선아름, "무역기술장벽(TBT)이 교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對미국 전기전자 품목 수출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9 (19): 205-240, 2015

      5 Disdier, A. C., "The Impact of Regulations on Agricultural Trade : Evidence from the SPS and TBT Agreements" 90 (90): 336-350, 2008

      6 Swann, P., "Standards and Trade Performance : The UK Experience" 106 (106): 1297-1313, 1996

      7 Wang, Z., "Quantifying International Production Sharing at the Bilateral and Sector Levels" NBER 2013

      8 Moenius, J., "Information versus Product Adaptation: The Bole of Standars in Trade" Northwestern University, Kellogg School of Management, International Business and Markets Research Center 2004

      9 Bao, X., "How do Technical Barriers to Trade Influence Trade?" 20 (20): 691-706, 2012

      10 Blind, K., "Der Zusammenhang zwischen Normung und Aussenhandel"

      1 최보영, "한⋅중⋅일의 비관세장벽이 3국의 무역에 미치는 영향 - 규제적 조치를 중심으로 -"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8 (28): 39-67, 2016

      2 최보영, "한⋅중⋅일의 비관세장벽 완화를 위한 3국 협력방안:규제적 조치를 중심으로" KIEP 2015

      3 장용준, "무역상 기술장벽(TBT)이 한국의 교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국제통상학회 19 (19): 1-33, 2014

      4 선아름, "무역기술장벽(TBT)이 교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 對미국 전기전자 품목 수출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센터 19 (19): 205-240, 2015

      5 Disdier, A. C., "The Impact of Regulations on Agricultural Trade : Evidence from the SPS and TBT Agreements" 90 (90): 336-350, 2008

      6 Swann, P., "Standards and Trade Performance : The UK Experience" 106 (106): 1297-1313, 1996

      7 Wang, Z., "Quantifying International Production Sharing at the Bilateral and Sector Levels" NBER 2013

      8 Moenius, J., "Information versus Product Adaptation: The Bole of Standars in Trade" Northwestern University, Kellogg School of Management, International Business and Markets Research Center 2004

      9 Bao, X., "How do Technical Barriers to Trade Influence Trade?" 20 (20): 691-706, 2012

      10 Blind, K., "Der Zusammenhang zwischen Normung und Aussenhandel"

      11 Evenett, J. S., "A Snapshot of Contemporary Protectionism: How Important are the Murkier forms of Trade Discrimination?, Rising Non-Tariff Protectionism and Crisis Recovery"

      12 국가기술표준원, "2017 무역기술장벽(TBT)보고서" 2017

      13 국가기술표준원, "2016 무역기술장벽(TBT)보고서"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국민경제학회 -> 한국경제통상학회
      영문명 : The Korean National Economic Association -> The Korean Economic and Business Associ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46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24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