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南炎浮洲志」에 그려진 理想世界 = 儒學者 朴生을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61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남염부주지」를 전기적 몽중형식과 김시습의 전기와 그 사상적 저작들을 근거로 하여 작품을 해석하였다. ?남염부주지?는 김시습이 傳奇小說의 夢中構造를 수용하여 내용적 의미를 새롭게 창조한 사상소설이다. 관습적인 전기양식을 새롭게 창작할 수 있었던 것은 15세기 자기 시대의 정치적 모순에 온몸으로 격돌하였던 김시습의 사상과 생체험이 긴밀히 밀착되었기 때문이다. 작품을 분석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작품의 주인공 박생은 김시습이 자신의 삶 속에서 조명한 인물로 작가의 사상을 대변하였다. 박생은 유학적 이상을 지향하며 폭압적 권력을 부정하는 성리론 자이다. 작가는 박생으로 하여금 창조적 공간 꿈 속으로 들어가 그 사상을 실천하려는 것이다. 꿈 속 세계는 창조적 현실공간으로 유학의 도덕적 정명을 설파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작가는 실제 현실에서 처벌할 길 없었던 悖逆姦兇한 인물을 계도하고 또, 자신의 사상적 교의를 말하였다. 우선은 주공과 공자를 들어 세조의 패역을 은밀히 비판하였고 명분이 바로 서야 됨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염마왕과의 담론에서 명분을 바로 잡는 유학적 이상 정치를 지향하였다. 유학적 정치이상이란 天命에 따른 聖君에 의한 德治이다. 덕치란 賢臣을 등용하여 백성을 근본으로 알고 다스리는 것이다. 그리고 이곳에서 현실이 비판되는 데, 현실은 참절한 왕, 간신의 득세, 인재등용의 문제 등 난마처럼 얽혀 있다. 그 해결책은 역설적이게도 염부주에서 염마왕이 박생에게 선양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작품은 몽중구조로 사건이 전개되었기에 박생은 현실로 복귀해야 한다. 박생은 한바탕의 꿈에서 깨어나지만 수개월 후 세상을 떠난다. 「남염부주지」의 그려진 꿈 속의 염부주는 주인공이 간절히 소망하는 이상세계이다. 修己治人한 군주의 전형 염마왕이 있으며 유학의 정도를 실현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또한 악에 물든 인간을 선으로 계도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런데 작품을 박생의 죽음으로 결구한 것은 부조리한 현실과 절대 타협할 수 없으며 이상실현을 포기하지 않은 작가의 정치적 의지의 발로이다. 「남염부주지」는 15세기 자기 사상에 투철했던 비판적 지식인의 자기 시대의 모순을 고발하고 정치적 이상을 드러낸 고독한 저항의 산물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남염부주지」를 전기적 몽중형식과 김시습의 전기와 그 사상적 저작들을 근거로 하여 작품을 해석하였다. ?남염부주지?는 김시습이 傳奇小說의 夢中構造를 수용하여 내용적 의미...

      본고는 「남염부주지」를 전기적 몽중형식과 김시습의 전기와 그 사상적 저작들을 근거로 하여 작품을 해석하였다. ?남염부주지?는 김시습이 傳奇小說의 夢中構造를 수용하여 내용적 의미를 새롭게 창조한 사상소설이다. 관습적인 전기양식을 새롭게 창작할 수 있었던 것은 15세기 자기 시대의 정치적 모순에 온몸으로 격돌하였던 김시습의 사상과 생체험이 긴밀히 밀착되었기 때문이다. 작품을 분석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작품의 주인공 박생은 김시습이 자신의 삶 속에서 조명한 인물로 작가의 사상을 대변하였다. 박생은 유학적 이상을 지향하며 폭압적 권력을 부정하는 성리론 자이다. 작가는 박생으로 하여금 창조적 공간 꿈 속으로 들어가 그 사상을 실천하려는 것이다. 꿈 속 세계는 창조적 현실공간으로 유학의 도덕적 정명을 설파하는 곳이다. 이곳에서 작가는 실제 현실에서 처벌할 길 없었던 悖逆姦兇한 인물을 계도하고 또, 자신의 사상적 교의를 말하였다. 우선은 주공과 공자를 들어 세조의 패역을 은밀히 비판하였고 명분이 바로 서야 됨을 역설하였다. 그리고 염마왕과의 담론에서 명분을 바로 잡는 유학적 이상 정치를 지향하였다. 유학적 정치이상이란 天命에 따른 聖君에 의한 德治이다. 덕치란 賢臣을 등용하여 백성을 근본으로 알고 다스리는 것이다. 그리고 이곳에서 현실이 비판되는 데, 현실은 참절한 왕, 간신의 득세, 인재등용의 문제 등 난마처럼 얽혀 있다. 그 해결책은 역설적이게도 염부주에서 염마왕이 박생에게 선양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작품은 몽중구조로 사건이 전개되었기에 박생은 현실로 복귀해야 한다. 박생은 한바탕의 꿈에서 깨어나지만 수개월 후 세상을 떠난다. 「남염부주지」의 그려진 꿈 속의 염부주는 주인공이 간절히 소망하는 이상세계이다. 修己治人한 군주의 전형 염마왕이 있으며 유학의 정도를 실현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또한 악에 물든 인간을 선으로 계도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런데 작품을 박생의 죽음으로 결구한 것은 부조리한 현실과 절대 타협할 수 없으며 이상실현을 포기하지 않은 작가의 정치적 의지의 발로이다. 「남염부주지」는 15세기 자기 사상에 투철했던 비판적 지식인의 자기 시대의 모순을 고발하고 정치적 이상을 드러낸 고독한 저항의 산물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m-Yem-Bu-Ju-Gee》 is the idea novel written by Kim Si Soup that revises the structure of dream in tale novel. This article interprets this idea novel based on the tale structure of dream and writer's biography and thought. This idea novel created the main character, Park Saeng that reflected the writer's Neo-Confucianism. The main character, Park Saeng criticized the immoral reality of that time in the allegory and tale structure of dream and so embodied an ideal of writer's age. It is the product of solitary resistance that a critical intellectual elucidated the time conflict and expressed his political ideal in the fifteenth century.
      번역하기

      《Nam-Yem-Bu-Ju-Gee》 is the idea novel written by Kim Si Soup that revises the structure of dream in tale novel. This article interprets this idea novel based on the tale structure of dream and writer's biography and thought. This idea novel create...

      《Nam-Yem-Bu-Ju-Gee》 is the idea novel written by Kim Si Soup that revises the structure of dream in tale novel. This article interprets this idea novel based on the tale structure of dream and writer's biography and thought. This idea novel created the main character, Park Saeng that reflected the writer's Neo-Confucianism. The main character, Park Saeng criticized the immoral reality of that time in the allegory and tale structure of dream and so embodied an ideal of writer's age. It is the product of solitary resistance that a critical intellectual elucidated the time conflict and expressed his political ideal in the fifteenth centu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15世紀 性理論者 朴生의 性格
      • 3. 꿈속 炎浮洲의 敍事空間의 特徵
      • 4. ?摩王과 朴生의 談論의 解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15世紀 性理論者 朴生의 性格
      • 3. 꿈속 炎浮洲의 敍事空間의 特徵
      • 4. ?摩王과 朴生의 談論의 解析
      • 5. 맺음말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형택, "현실주의적 세계관과 금오신화" 서울대학교 13 : 1971

      2 池斗煥, "조선시대 사상사의 재조명" 역사문화 115-116, 1998

      3 김누리, "알레고리와 역사" 민음사 2003

      4 존 맥퀸, "알레고리" 서울대 출판부 1980

      5 임수현, "남염부주지의 환상성 연구" 서강어문학회 15 : 81-105, 1999

      6 진경환, "남염부주지의 반어" 한국고전문학회 13 : 277-310, 1998

      7 문범두, "남염부주지에 나타난 작가적 문제의식" 한민족어문학회 34 : 355-385, 1999

      8 최삼룡, "남염부주지에 나타난 鬼神說" 국어문학회 23 : 35-55, 1983

      9 김명호, "김시습의 문학과 성리학사상" 35 : 37-55, 1984

      10 정병욱, "김시습 연구, In 한국고전의 재인식" 홍성사 1979

      1 임형택, "현실주의적 세계관과 금오신화" 서울대학교 13 : 1971

      2 池斗煥, "조선시대 사상사의 재조명" 역사문화 115-116, 1998

      3 김누리, "알레고리와 역사" 민음사 2003

      4 존 맥퀸, "알레고리" 서울대 출판부 1980

      5 임수현, "남염부주지의 환상성 연구" 서강어문학회 15 : 81-105, 1999

      6 진경환, "남염부주지의 반어" 한국고전문학회 13 : 277-310, 1998

      7 문범두, "남염부주지에 나타난 작가적 문제의식" 한민족어문학회 34 : 355-385, 1999

      8 최삼룡, "남염부주지에 나타난 鬼神說" 국어문학회 23 : 35-55, 1983

      9 김명호, "김시습의 문학과 성리학사상" 35 : 37-55, 1984

      10 정병욱, "김시습 연구, In 한국고전의 재인식" 홍성사 1979

      11 정환국, "金鰲新話와 剪燈神話의 志向과 구현화원리" 한국고전문학회 22 : 11-334, 2002

      12 "梅月堂集, 秋江集, 龍泉淡寂記, 世祖實錄, 大學, 中庸, 春秋左傳"

      13 崔承熙, "朝鮮初期 政治史硏究" 지식산업사 271-376, 2002

      14 權正顔, "春秋의 根本理念과 批判精神에 관한 硏究" 성균관대 1990

      15 엄기주, "南炎浮洲志의 愚意性" 반교어문학회 5 : 135-154, 1994

      16 "三國遺事, 剪燈神話, 莊子, 太平廣記"

      17 안창수, "<남염부주지>의 작품세계와 의미" 한민족어문학회 (53) : 271-300, 2008

      18 김용덕, "<남염부주지>의 구성 분석, In 고전소설연구의 방향" 한국고전문학회 1985

      19 박일용,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의 이념과 역설" 한국고소설학회 22 (22): 35-66,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
      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5-02-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 1.22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