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컴퓨터 교육의 현황 및 개선 방안 : 일반계 고등학교 중심 = Present Phase and Improvement Method of Computer Education : On the Basic go General High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955051

      • 저자
      • 발행사항

        화성: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 학위논문사항

        學位論文(碩士) -- 水原大學校 敎育大學院 , 컴퓨터敎育專攻 , 2002

      • 발행연도

        200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6.6004 판사항(4)

      • 발행국(도시)

        경기도

      • 형태사항

        vii, 65 p.; 26 cm.

      • 일반주기명

        부록 : 설문지
        참고문헌과 초록수록

      • 소장기관
        • 수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는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사회이다. 컴퓨터와 정보사회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이제 컴퓨터 교육의 실시는 필수적이며, 초· 중·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은 연계성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에 대한 정확한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 제7차 교육과정에서 컴퓨터 교과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은 목적을 두었다.
      첫째, 컴퓨터 교육 과정의 실태 분석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둘째, 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보소양인증제도의 실효성을 분석한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현행 컴퓨터 교과 6차와 7차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정보소양인증제도가 유명무실한 제도가 되지 않도록 학생들이 어느 정도 호응하고 있는 지를 실적 위주로 알아보았다. 또한 대학 입학 후 대학 수학 능력에 컴퓨터 교과가 어느 정도 필요한 지를 대학교의 교양 과정에서 컴퓨터를 필수로 이수하는 대학교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은 경기도내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3개 학교에서 남녀학생 191명을 임의로 추출하였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컴퓨터 교과의 인식 차이를 얻을 수 있었으며,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이 공존하고 있어 학년은 1, 2, 3학년을 고루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표들은 카이스퀘어 검정을 통과했으며, 유의(有意)수준은 5%로 잡았다. 표 안의 빈도수가 5 이하인 것은 의미가 약해지지만, 실제로 빈도수가 적은 것은 분석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무응답과 이상값은 결측치 처리를 하였으며 대체값으로 적용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컴퓨터 교육에 있어서 학년별, 남녀별로 관심 영역이 다르고, 특히 3학년 학생들은 컴퓨터 방면으로는 거의 관심을 가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현행의 제도로써는 1~2학년에 집중하여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남녀, 학년 구분없이 모두 그래픽에 흥미를 느끼고 있고 가장 배우고 싶어하는 영역으로 조사되었다. 그래픽에 대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요구를 학교 컴퓨터 교육이 만족시켜주지 못한다면, 앞으로도 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이 학원 교육으로 대체되는 결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런 교육들이 대학입시에 현실적으로 반영되도록 정보소양인증제도 활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내년부터 시행되는 「정보사회와 컴퓨터」교과목 지도시에는 남녀 학생의 수준을 차별화하여 영역 선택을 하고, 또한 홈페이지 등 바이러스 감염 예방 지도와 더불어 정보 윤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번역하기

      현대사회는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사회이다. 컴퓨터와 정보사회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이제 컴퓨터 교육의 실시는 필수적이며, 초· 중·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은 연계성이 있�...

      현대사회는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사회이다. 컴퓨터와 정보사회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이제 컴퓨터 교육의 실시는 필수적이며, 초· 중·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은 연계성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에 대한 정확한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 제7차 교육과정에서 컴퓨터 교과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은 목적을 두었다.
      첫째, 컴퓨터 교육 과정의 실태 분석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둘째, 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정보소양인증제도의 실효성을 분석한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현행 컴퓨터 교과 6차와 7차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정보소양인증제도가 유명무실한 제도가 되지 않도록 학생들이 어느 정도 호응하고 있는 지를 실적 위주로 알아보았다. 또한 대학 입학 후 대학 수학 능력에 컴퓨터 교과가 어느 정도 필요한 지를 대학교의 교양 과정에서 컴퓨터를 필수로 이수하는 대학교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은 경기도내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3개 학교에서 남녀학생 191명을 임의로 추출하였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컴퓨터 교과의 인식 차이를 얻을 수 있었으며, 6차 교육과정과 7차 교육과정이 공존하고 있어 학년은 1, 2, 3학년을 고루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표들은 카이스퀘어 검정을 통과했으며, 유의(有意)수준은 5%로 잡았다. 표 안의 빈도수가 5 이하인 것은 의미가 약해지지만, 실제로 빈도수가 적은 것은 분석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또한 무응답과 이상값은 결측치 처리를 하였으며 대체값으로 적용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컴퓨터 교육에 있어서 학년별, 남녀별로 관심 영역이 다르고, 특히 3학년 학생들은 컴퓨터 방면으로는 거의 관심을 가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현행의 제도로써는 1~2학년에 집중하여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남녀, 학년 구분없이 모두 그래픽에 흥미를 느끼고 있고 가장 배우고 싶어하는 영역으로 조사되었다. 그래픽에 대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요구를 학교 컴퓨터 교육이 만족시켜주지 못한다면, 앞으로도 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이 학원 교육으로 대체되는 결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런 교육들이 대학입시에 현실적으로 반영되도록 정보소양인증제도 활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내년부터 시행되는 「정보사회와 컴퓨터」교과목 지도시에는 남녀 학생의 수준을 차별화하여 영역 선택을 하고, 또한 홈페이지 등 바이러스 감염 예방 지도와 더불어 정보 윤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sent society is a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Now, performance of computer education is compulsory and computer education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have to get connection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guidance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Seventh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precise actual state of high school computer education and finding problem.
      First, analyze actual state of computer education and understand problem.
      Second, analyz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Attainment Approval System(정보소양인증제도).
      Third, suggest improvement method of general high school computer education.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d the sixth and seventh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in Korea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found the degree of students' agreement on the basis of performance to prevent it from being nominal system. It surveyed the necessity of computer class for university academic capacity after university admission on the basis of university requiring computer class as compulsory class in cultural subject.
      Targets of this study were 191 students randomly extracted from 3 general high schools located in Kyung Gi Province. It was possible to get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computer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and it surveyed first-year, second-year and third-year students evenly because Sixth Curriculum and Seventh Curriculum coexisted.
      Results of analysis passed Chi Square(카이스퀘어) inspection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5%. In table, when the number of frequency is less than 5, its meaning is weak but, actually, the thing that has a low frequency was excluded from target. In case of non-responses and extraordinary values, they were treated as missing value and were not applied as substitute values.
      Above results are summarized like follows.
      First, in high school computer education, the field of interest was different by grade and sex. Specially, it could be known that third-year students were not interested in computer. It means that the education focused on first-year and second-year students has to be performed in present system.
      Second, guide of graphic program was found as most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common (grade and sex in all). It was surveyed as most interest field regardless of sex and grade.
      Third, if school computer education can't meet those requirements, it seems to be transferred to private school. And that use of Information Attainment Approval System(정보소양인증제도) is necessary to actually reflect those educations to university admission test.
      Fourth, when guiding「Information Society and Computer」subject that will be performed from next year, it is necessary to select field through classifying student's level, guide homepage and precaution of virus infection and reinforce netiquette education.

      번역하기

      Present society is a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Now, performance of computer education is compulsory and computer education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have to get connection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Present society is a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Now, performance of computer education is compulsory and computer education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have to get connection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guidance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Seventh Curriculum through analyzing precise actual state of high school computer education and finding problem.
      First, analyze actual state of computer education and understand problem.
      Second, analyz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Attainment Approval System(정보소양인증제도).
      Third, suggest improvement method of general high school computer education.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d the sixth and seventh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in Korea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found the degree of students' agreement on the basis of performance to prevent it from being nominal system. It surveyed the necessity of computer class for university academic capacity after university admission on the basis of university requiring computer class as compulsory class in cultural subject.
      Targets of this study were 191 students randomly extracted from 3 general high schools located in Kyung Gi Province. It was possible to get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computer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and it surveyed first-year, second-year and third-year students evenly because Sixth Curriculum and Seventh Curriculum coexisted.
      Results of analysis passed Chi Square(카이스퀘어) inspection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5%. In table, when the number of frequency is less than 5, its meaning is weak but, actually, the thing that has a low frequency was excluded from target. In case of non-responses and extraordinary values, they were treated as missing value and were not applied as substitute values.
      Above results are summarized like follows.
      First, in high school computer education, the field of interest was different by grade and sex. Specially, it could be known that third-year students were not interested in computer. It means that the education focused on first-year and second-year students has to be performed in present system.
      Second, guide of graphic program was found as most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 for common (grade and sex in all). It was surveyed as most interest field regardless of sex and grade.
      Third, if school computer education can't meet those requirements, it seems to be transferred to private school. And that use of Information Attainment Approval System(정보소양인증제도) is necessary to actually reflect those educations to university admission test.
      Fourth, when guiding「Information Society and Computer」subject that will be performed from next year, it is necessary to select field through classifying student's level, guide homepage and precaution of virus infection and reinforce netiquette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표목차
      • 국문초록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목차
      • 표목차
      • 국문초록
      • I.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 2
      • II. 컴퓨터 교육과정 = 4
      • 1. 우리 나라의 컴퓨터 교육 과정 = 4
      • 2. 외국의 컴퓨터 교육 과정 = 12
      • III. 정보소양인증제도 = 19
      • 1. 정보소양인증제도 개요 = 19
      • 2. 정보소양인증 취득 방법 = 20
      • 3. 시행 시기 = 23
      • 4. 정보소양인증 실적 및 계획 = 23
      • 5. 중학교 정보소양인증제 도입 = 25
      • 6. 대학의 정보소양인증제 반영 = 25
      • 7. 대학교 컴퓨터 관련 교과 이수 = 28
      • IV. 연구의 결과 및 해석 = 32
      • 1. 설문의 구성 및 내용 = 32
      • 2. 조사 대상 = 33
      • 3. 기술(記述) 통계를 이용한 설문 분석 결과 = 33
      • 4. 심층 분석을 이용한 설문 분석 결과 = 48
      • V. 결론 및 제언 = 54
      • 1. 결론 = 54
      • 2. 제언 = 55
      • 참고문헌
      • 부록(설문지)
      • ABSTRACT
      • 감사의 글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