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공공부문 노사간 발생하는 갈등과 분쟁이 조정되고 해결되는 과정에서 어떤 규칙들이 제공될 때 보다 동반자적이고 협력적인 행동이 나타나며 해결의 가능성을 높여주는가라는 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807129
2002년
Korean
360.000
한국연구재단(NRF)
201-23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공공부문 노사간 발생하는 갈등과 분쟁이 조정되고 해결되는 과정에서 어떤 규칙들이 제공될 때 보다 동반자적이고 협력적인 행동이 나타나며 해결의 가능성을 높여주는가라는 질...
이 글은 공공부문 노사간 발생하는 갈등과 분쟁이 조정되고 해결되는 과정에서 어떤 규칙들이 제공될 때 보다 동반자적이고 협력적인 행동이 나타나며 해결의 가능성을 높여주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이론적·경험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한 논문이다. 분석결과 공공부문, 특히 공기업의 노사간 협력관계 구축을 위해서는 단체교섭과정에서 실질적 참여규칙, 상호이해 교환규칙, 사실노정규칙, 적극적 중재자규칙, 신뢰형성규칙 등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규칙으로는 형식적 참여규칙, 상호 입장고수규칙, 기정사실화를 통한 정당화 규칙, 소극적 조정자 규칙, 약속 불이행에 의한 상호불신규칙 등으로 나타났다. 그치고 이러한 규칙들은 갈등의 시기와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