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학으로서 불교문학의 지형과 방법론 = The Topography and Methodologies of the Studies of Buddhist Literature as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08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methodologies us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ir trends. I then suggested future prospects. I wrote this paper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research into literature has evolved over time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Therefore I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ach period in which Buddhist literature developed. Through this I confirmed that Korean Buddhist literature did not influence the methodologies of general literature research, but that various methodological issues were reflected in individual research papers. Based on studies of methodologies conducted since 2000, I suggested textual criticism, comparative literature and the psychological approach as methodologies that may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research in this area. Today’s major trend in Buddhist studies is to inquire into the literary character of Buddhist scriptures.
      Another trend is that this research is only on texts translated and created since Buddhism arrived in Korea. Therefore I suggest that to integrate these two trends we should find texts suitable to both these research trends and execute joint interpretation, translation, and analysis.
      번역하기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methodologies us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ir trends. I then suggested future prospects. I wrote this paper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research into literature has evolved over time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perce...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methodologies us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ir trends. I then suggested future prospects. I wrote this paper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research into literature has evolved over time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Therefore I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ach period in which Buddhist literature developed. Through this I confirmed that Korean Buddhist literature did not influence the methodologies of general literature research, but that various methodological issues were reflected in individual research papers. Based on studies of methodologies conducted since 2000, I suggested textual criticism, comparative literature and the psychological approach as methodologies that may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research in this area. Today’s major trend in Buddhist studies is to inquire into the literary character of Buddhist scriptures.
      Another trend is that this research is only on texts translated and created since Buddhism arrived in Korea. Therefore I suggest that to integrate these two trends we should find texts suitable to both these research trends and execute joint interpretation, translation, and analys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 불교문학 연구의 기원을 안확의 『조선문학사』(1922)에서 찾고, 이후 약 1백년 간 진행된 불교문학의 연구사를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가 원용하고 있는 방법론과 그 경향을 분석하는 한편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고자하였다. 연구사는 시대와 장르를 중심으로 하여 1920년대~해방 이전, 해방 이후~1970년대, 1980년대~1990년대, 2000년대 이후로 구분지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문학연구가 연구자가 속해 있는 각 시기의 시대인식과 문학에 대한 기대 지평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각 시기 불교문학의 연구가 어떤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전개되어 왔는가를 검토하였다. 시대적 배경으로는 당시 한국문학에 대한 인식, 문학연구의 경향이 연구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의 불교문학연구가 방법론으로 일반 문학연구 방법론을 주도한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방법론적 고민이개별 논문에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2000년 이후 다양화된 방법론적고민을 검토하면서 장차 이 방면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방법론으로 원전비평적 연구, 비교문학적 연구, 심리학적 연구를 제언하였다. 현재 불교학 분야에서는 불교경전에 대한 문학성 탐구를 위주로 하고, 문학 연구 분야에서는불교가 한국에 유입되면서 산출된 번역물, 창작물에 대한 구체적 연구를 위주로 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고, 양자의 통합적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공동의 관심사를 보여줄 수 있는 텍스트를 발굴하여 공동 강독, 번역, 연구를 진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 불교문학 연구의 기원을 안확의 『조선문학사』(1922)에서 찾고, 이후 약 1백년 간 진행된 불교문학의 연구사를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가 원용하고 있는 방법론과 그 경향을 분석...

      본고는 한국 불교문학 연구의 기원을 안확의 『조선문학사』(1922)에서 찾고, 이후 약 1백년 간 진행된 불교문학의 연구사를 검토하였다. 기존 연구가 원용하고 있는 방법론과 그 경향을 분석하는 한편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고자하였다. 연구사는 시대와 장르를 중심으로 하여 1920년대~해방 이전, 해방 이후~1970년대, 1980년대~1990년대, 2000년대 이후로 구분지어 논의를 전개하였다. 문학연구가 연구자가 속해 있는 각 시기의 시대인식과 문학에 대한 기대 지평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각 시기 불교문학의 연구가 어떤 시대적 배경을 가지고 전개되어 왔는가를 검토하였다. 시대적 배경으로는 당시 한국문학에 대한 인식, 문학연구의 경향이 연구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의 불교문학연구가 방법론으로 일반 문학연구 방법론을 주도한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방법론적 고민이개별 논문에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2000년 이후 다양화된 방법론적고민을 검토하면서 장차 이 방면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방법론으로 원전비평적 연구, 비교문학적 연구, 심리학적 연구를 제언하였다. 현재 불교학 분야에서는 불교경전에 대한 문학성 탐구를 위주로 하고, 문학 연구 분야에서는불교가 한국에 유입되면서 산출된 번역물, 창작물에 대한 구체적 연구를 위주로 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고, 양자의 통합적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공동의 관심사를 보여줄 수 있는 텍스트를 발굴하여 공동 강독, 번역, 연구를 진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규복, "「구운몽」 연구" 고려대학교 1974

      2 姜錫瑾, "李奎報의 佛敎詩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7

      3 이도흠, "화쟁기호학, 이론과 실제"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9

      4 도업, "화엄경의 문학성 연구 : 입법계품에 나타난 선재동자의 구도여행을 중심으로" 운주사 2013

      5 이대형, "화악 지탁(華嶽知濯)의 간찰에 드러난 성속의 조화와 문장관" 국제어문학회 (51) : 109-136, 2011

      6 김종진, "호은 유기(好隱有璣)의 문학 세계" 불교문화연구원 (65) : 239-267, 2013

      7 김성배, "향두가⋅성조가" 정음사 1974

      8 김종우, "향가문학연구" 삼우사 1975

      9 김승호, "한국사찰연기설화의 연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5

      10 김종진, "한국불교시가의 동아시아적 맥락과 근대성" 소명출판 2015

      1 정규복, "「구운몽」 연구" 고려대학교 1974

      2 姜錫瑾, "李奎報의 佛敎詩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7

      3 이도흠, "화쟁기호학, 이론과 실제" 한양대학교 출판부 1999

      4 도업, "화엄경의 문학성 연구 : 입법계품에 나타난 선재동자의 구도여행을 중심으로" 운주사 2013

      5 이대형, "화악 지탁(華嶽知濯)의 간찰에 드러난 성속의 조화와 문장관" 국제어문학회 (51) : 109-136, 2011

      6 김종진, "호은 유기(好隱有璣)의 문학 세계" 불교문화연구원 (65) : 239-267, 2013

      7 김성배, "향두가⋅성조가" 정음사 1974

      8 김종우, "향가문학연구" 삼우사 1975

      9 김승호, "한국사찰연기설화의 연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5

      10 김종진, "한국불교시가의 동아시아적 맥락과 근대성" 소명출판 2015

      11 인권환, "한국불교문학연구"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9

      12 이상보, "한국불교가사전집" 집문당 1980

      13 이종찬, "한국불가시문학사론" 불광출판부 1993

      1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1~5권" 지식산업사 2005

      15 김광식, "한국근현대불교자료전집" 민족사 1996

      16 김성배, "한국 향두가의 연구" (5) : 1975

      17 전재강, "한국 불교가사의 유형적 존재 양상" 보고사 2013

      18 전재강, "한국 불교가사의 구조적 성격" 보고사 2012

      19 박영준, "최인훈의 『광장』에서 ‘광장’의 의미 층위에 대한 연구" 민족어문학회 46 : 9-314, 2002

      20 조태성, "초의선사의 시문학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21 하강진, "초엄선사 「三花傳」의 작중인물과 공간의 실체" 한국문학회 (59) : 5-41, 2011

      22 김승호, "중세 불교인들의 해외 전승" 보고사 2015

      23 심혜경, "조선후기 소설의 윤회구조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1

      24 유호선, "조선후기 경화사족의 불교인식과 불교문학" 태학사 2006

      25 권동순, "조선조 18세기 선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26 이병기, "조선어로 보는 불교" 불교사 (7) : 1925

      27 박상란, "조선시대 문헌 소재 불교설화의 양상과 의미" 불교문화연구원 (46) : 63-84, 2005

      28 김석태, "조선시대 佛家 山居詩의 유형적 양상" 한국시가문화학회 (28) : 29-56, 2011

      29 안자산, "조선문학사" 을유문화사 1984

      30 조윤제, "이조문학의 양면성: 특히 소설에 있어서" (103) : 1933

      31 임종욱, "의 특징 - 조선 후기 들의 을 중심으로" 한국수사학회 (5) : 162-184, 2006

      32 김기종, "월인천강지곡의 저경과 문학적 성격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33 황패강, "신라불교설화연구" 일지사 1975

      34 김운학, "신라불교문학연구" 현암사 1976

      35 서철원, "신라 향가의 서정주체상과 그 문화사적 전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36 李都欽, "신라 향가의 문화기호학적 연구 : 화엄사상을 바탕으로"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4

      37 김동욱, "신라 행자 염불 및 설화" 진단학회 23 : 1962

      38 조영미, "선문염송의 공안조직 양상과 언어활용 연구" 성균관대학교 2014

      39 김승호, "삼국유사 서사담론 연구" 월인 2013

      40 김기종, "불교와 한글: 글로컬리티의 문화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5

      41 이광수, "불교와 조선문학" 불교사 (7) : 1925

      42 사재동, "불교계 서사문학의 연구" 중앙문화사 1996

      43 김문기, "불교계 경기체가" 성곡학술문화재단 (22) : 1991

      44 고영섭, "불교경전의 수사학적 표현" 경서원 2003

      45 김종진, "불교가사의 유통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0

      46 임기중, "불교가사의 원전연구"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0

      47 김종진, "불교가사의 계보학, 그 문화사적 탐색" 소명출판 2009

      48 전재강, "불교 경기체가의 구조와 성격"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7) : 327-358, 2015

      49 서철원, "보현십원가의 수사방식과 사상적 기반" 한국시가학회 (9) : 2001

      50 김봉영, "미발표의 침굉가사에 대하여: 지금가지의 국문학사상에 들어나지 않은 사원가사" 국어국문학회 20 : 1959

      51 조동일, "동아시아문학사비교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3

      52 임기중, "동아세아 불교문학 연구의 의미" 한국문학연구소 (23) : 5-16, 2000

      53 임기중, "대당서역기와 왕오천축국전의 문학적 의미"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31) : 1994

      54 박상란, "근대전환기 불교잡지의 여성담론"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5) : 207-238, 2007

      55 김종진, "근대불교 시가의 전환기적 양상과 의미- 조선불교 월보(1912.2.1913.8.)-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22) : 81-106, 2007

      56 양재연, "균여대사 연구" 중앙대학교 (4) : 1959

      57 김종진, "균여가 가리키는 달 : 普賢十願歌의 비평적 해석" 한국정토학회 19 : 103-136, 2013

      58 김기종, "권상로의 불교시가 연구" 한국문학연구소 (40) : 119-154, 2011

      59 이강옥, "구운몽의 불교적 해석과 문학치료교육" 소명출판 2010

      60 인권환, "고전문학연구의 쟁점적 과제와 전망" 월인 2003

      61 주호찬, "고려말 오도송 연구" 도서출판 보고사 2006

      62 이종군, "고려말 선시의 미학" 불광출판사 2008

      63 김종진, "경기체가 <騎牛牧童歌>의 구조와 문학사적 위상" 한국시가학회 25 : 37-62, 2008

      64 李鐘燦, "高麗禪詩 硏究" 한양대학교 대학원 1985

      65 印權煥, "高麗時代 佛敎詩의 硏究 : 禪家의 詩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3

      66 印權煥, "高麗 시와 日本 五山詩의 比較 硏究" 한국한문학회 (31) : 339-390, 2003

      67 金承鎬, "高麗 僧傳의 敍述方式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1

      68 金聖培, "韓國佛敎歌謠의 연구 부논문 : 新國語敎育論" 동국대학교 대학원 1973

      69 김종진, "雜歌의 종교성과 세속성" 불교문화연구원 (57) : 295-318, 2011

      70 박규리, "鏡虛禪詩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71 박재금, "無衣子 慧諶의 詩 硏究"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72 崔貴默, "沖止詩에 나타난 민족의식에 대한 비교문학적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73 김종진, "枕肱懸辯의 글쓰기 방식과 문학치료" 한국문학연구소 (35) : 69-98, 2008

      74 李晉吾, "朝鮮後期 佛家漢文學의 儒佛敎交涉樣相硏究"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0

      75 조평환, "景幾體歌의 불교문화 수용양상 연구" 동양고전연구소 (21) : 7-34, 2011

      76 김미선, "大芚寺 禪僧의 詩世界" 한국한문교육학회 29 (29): 445-479, 2007

      77 金起東, "國文學上의 佛敎思想 硏究. 부논문 : ① 李朝國文小說의 展開" 동국대학교 대학원 1973

      78 柳炳環, "古典小說 『九雲夢』 연구 : 佛敎思想의 圓融象徵에 대하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0

      79 백옥수, "原典 텍스트의 새로운 활용을 위한 『淸虛堂集』판본 비교연구" 원불교사상연구원 (56) : 322-354, 2013

      80 史在東, "佛敎系 國文小說의 形成過程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1977

      81 배규범, "佛家 雜體詩 연구 : 장치와 해체의 시학" 지식을만드는지식 2010

      82 김승호, "佛家 自傳의 성격과 서술유형의 고찰 - 有一, 草广, 梵海의 自傳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연구소 (35) : 7-35, 2008

      83 黃仁德, "佛典系 韓國民談 硏究" 忠南大學校 大學院 1988

      84 인권환, "中·韓·日 漢詩에 나타난 故鄕意識-文人詩·僧侶詩의 對比를 兼하여-"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7 : 79-96, 2009

      85 高雲基, "一然의 세계인식과 시문학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4

      86 오대혁, "『금오신화』의 연구 : 선사상적 사유체계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6

      87 김상일, "「六老山居咏」과 石屋淸珙ㆍ茶山 丁若鏞의 山居詩 비교" 한국문학연구소 (35) : 287-319, 2008

      88 김기종, "<普賢十願歌>의 구조와 주제의식" 한국고전문학회 (44) : 3-30, 2013

      89 김종진, "1920년대 <불교>지에 나타난 불교유학생의 문학 활동 -백성욱, 김태흡, 이영재를 중심으로" 한국불교연구원 (42) : 285-316, 2015

      90 김석태, "18세기 불가 시문학의 연구 : 묵암과 연담의 시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91 이대형, "17세기 승려 奇巖 法堅의 산문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31) : 321-349, 2010

      92 안득용,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自傳的 敍事의 창작 경향과 그 의미" 한국한문학회 (51) : 197-238,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4 0.74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