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화엄수행론에 있어서 돈교와 점교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 것이다.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에 경전의 위상을 논하는 교상판석에서 화엄의 돈점 문제를 시작하였다. 교상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화엄수행론에 있어서 돈교와 점교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 것이다.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에 경전의 위상을 논하는 교상판석에서 화엄의 돈점 문제를 시작하였다. 교상판...
본 논문은 화엄수행론에 있어서 돈교와 점교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 것이다.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에 경전의 위상을 논하는 교상판석에서 화엄의 돈점 문제를 시작하였다. 교상판석이 논의된 이후 『화엄경』은 전통적으로돈교에 넣고 있음을 밝혔다. 다음은 『화엄경』에서 돈점에 관련된 경문을 살펴봄으로써 『화엄경』 자체에서의 돈점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화엄경』은 돈점이 교차하는 교의를 바탕으로 중도 원융을 나타내고 있음을 서술하였다. 이어서 중국 화엄 주석가들의 문헌에 나타난 돈점의 문제를 고찰하여지엄과 의상이 『화엄경』을 돈교와 원교에 대응시킨 점과 법장의 원교 대응, 그리고 징관의 선종 대응까지 고찰하였다.
또한 화엄수행론에 있어서는 돈점이 교차하는 원융론을 기반으로 하여 화엄의 돈점수행론은 중도수행이라고 결론짓고, 중도수행을 강조한 대표자로신라의 의상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화엄의 돈점수행론을 통하여 원융무애한화엄 성불론을 개략적으로 서술하고 논문을 마감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concepts of don-gyo [頓敎], sudden enlightenment, and jeom-gyo [漸敎], gradual enlightenment, as they apply to Avatamsaka practice. This study starts with investigating issues related to Avatamsaka’s concepts o...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concepts of don-gyo [頓敎], sudden enlightenment, and jeom-gyo [漸敎], gradual enlightenment, as they apply to Avatamsaka practice. This study starts with investigating issues related to Avatamsaka’s concepts of don and jeom [頓漸] in the context Gyosang Panseok [敎相判釋] which classified various Buddhist doctrines that appeared after Buddhism spread to China. I investigated these issues from different sectarian points of view even though the Avatamsaka Sutra was traditionally tied to the concept of don-gyo. by examining relevant sutras within the Avatamsaka Sutra. My findings reveal that the sutra explains woyung [圓融], the doctrine of all-encompassing harmony of the Middle Way [中道] by suggesting that the concepts of don and jeom overlap. I also analyzed issues that appeared in records and documents of those who applied exegesis to the Avatamsaka Sutra in China so that I could explore the fact that Zhiyan [智儼] and Uisang [義湘] associated the sutra with don-gyo and won-gyo [圓敎]. Fazang [法藏] did it with won-gyo, and Chengguan [澄觀] did it with Zen [禪] Buddhism. As for the theory of Avatamsaka practice, I concluded that the concepts of don and jeom in practicing Avatamsaka is the execution of the Middle Way. I also concluded it is based on the concept of wonyung and that Uisang was one of those who emphasized the practice of the Middle Way.
참고문헌 (Reference)
1 의상, "화엄일승법계도"
2 법장, "화엄오교장"
3 陳永裕, "화엄교학의 원리와 실천수행법" (1) : 2008
4 陳永裕, "화엄교학의 법계의의 고찰" (7) : 1998
5 징관, "화엄경소"
6 원효, "화엄경소"
7 표원, "화엄경문의요결문답, 數十錢喩義"
8 "화엄경"
9 법장, "탐현기"
10 제관, "천태사교의"
1 의상, "화엄일승법계도"
2 법장, "화엄오교장"
3 陳永裕, "화엄교학의 원리와 실천수행법" (1) : 2008
4 陳永裕, "화엄교학의 법계의의 고찰" (7) : 1998
5 징관, "화엄경소"
6 원효, "화엄경소"
7 표원, "화엄경문의요결문답, 數十錢喩義"
8 "화엄경"
9 법장, "탐현기"
10 제관, "천태사교의"
11 靑木 隆, "지론사상의 형성과 변용" 씨아이알 2010
12 "중론"
13 길장, "정명현론"
14 지의, "유마경현소"
15 지엄, "오십요문답"
16 "열반경"
17 김성철, "승랑 - 그 생애와 사상의 분석적 탐구" 지식산업사 2011
18 지엄, "수현기"
19 균여, "석화엄교분기원통초"
20 길장, "삼론현의"
21 지의, "묘법연화경현의"
22 길장, "대승현론"
23 혜원, "대승의장"
24 자은기, "대승법원의림장"
25 법장, "대승기신론의기 권상"
26 혜원, "관무량수경의소"
27 지엄, "공목장"
28 혜교, "고승전"
29 陳永裕, "華嚴經に見られる中道の論理" 59 (59): 2011
30 吉津宜英, "華嚴敎判論の展開" (39) : 1981
31 石井公成, "華嚴思想の硏究" 春秋社 1996
32 織田顯祐, "華嚴學論集" 大藏出版社 1997
33 佐藤哲英, "續 天台大師の硏究" 百華苑 1981
34 吉津宜英, "法藏の四宗判の形成と展開" 53 : 1979
35 陳永裕, "新羅華嚴敎學의 思想史的考察" (9) : 1993
36 林屋友次郞, "敎判論序說" 3 (3): 1939
37 木村淸孝, "初期中國華嚴思想の硏究" 春秋社 1977
38 도안, "佛敎大辭典" 世界聖典刊行協會 1933
『중론소기』에 인용된 『성실론』 주석서逸文의 사상적 고찰
초기화엄교학에 미친 유식사상의 영향‒ 心識說의 전개와 性起說의 형성을 중심으로 ‒
安然의 『悉曇藏』에 나타난 慧均의『大乘四論玄義記』 卷第11 「十四音義」 ‒ 「十四音義」의 복원을 위한 序說 ‒
동아시아 불교의 僧役 양상 고찰‒ 중국 北朝시대와 조선 成宗代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7 | 0.27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5 | 0.34 | 0.743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