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난독증 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타당화 예비 연구 = Preliminary Validation Study of a Dyslexia Diagnosis T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15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읽기능력은 초기 학령기 동안 성취해야 할 중요한 능력 중의 하나이지만, 난독증은 이러한읽기에 심각한 어려움을 가진다. 본 연구는 읽기에 특별한 어려움을 가진 난독증을 진단하기 위한 ...

      읽기능력은 초기 학령기 동안 성취해야 할 중요한 능력 중의 하나이지만, 난독증은 이러한읽기에 심각한 어려움을 가진다. 본 연구는 읽기에 특별한 어려움을 가진 난독증을 진단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도구의 적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ㆍ외의 읽기 및 난독증 관련 선행연구와 읽기 관련 검사도구 등을 분석하여 11개 소검사와 24개의 하위검사 및 이에 따른 와 검사문항으로 구성된 난독증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일반학생,읽기부진학생 및 읽기장애학생 총 263명을 대상으로 타당화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도구의 타당화를 검증한 결과 첫째, 신뢰도에서 문항내적합치도는 전체 .815로 높게나왔고, 측정의 표준오차는 .328∼2.025로 낮게 나왔다. 둘째, 타당도에서 내용타당도는 국내ㆍ외 선행문헌 및 검사분석을 통해 확인하였고, 구인타당도는 소검사간 상관, 확인적요인분석 및 집단 차이 비교를 실시한 결과 개발한 진단도구는 난독증을 포함한 읽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을 진단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난독증 진단도구 표준화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reading is one of the important skills to achieve during the early school age years, children with dyslexia have difficulty in reading. To develop and examine the suitability of a dyslexia-diagnosis test,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va...

      Although reading is one of the important skills to achieve during the early school age years, children with dyslexia have difficulty in reading. To develop and examine the suitability of a dyslexia-diagnosis test, 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validation study with 263 students including general students, reading underachievement students, reading disabilities students. The 11 testlet, 24 subtests and test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analyzing domestic and overseas preceding researches on reading including dyslexia, and dyslexia-related diagnosis tes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inter-item consistency was high at .815 and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was low form .328 to 2.025. In terms of validity, content validity was established by domestic and overseas preceding studies and test-analysis. As a result of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comparing differences among groups, the developed diagnosis test turned out to be appropriate to diagnose students who show difficulty in reading including dyslexia. Based on such results, som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offered for standardization of dyslexiadiagnosis tes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범모, "한국어 형태소 및 어휘사용 빈도의 분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2 배소영, "한국어 읽기검사(KOLRA)"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2015

      3 강현화,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 국립국어원 2012

      4 곽금주,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K-WISC-Ⅳ)" 학지사 2011

      5 송정식, "한·일 초등학교 2학년 국어교과서 어휘 고찰 -품사별 사용빈도 상위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어학회 (36) : 147-166, 2013

      6 김윤옥,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어휘획득전략" 교육과학사 2006

      7 양민화, "학습부진 학생의 철자검사 및 교수를 위한 단어선정의 언어학적 기준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1 (11): 149-166, 2012

      8 이찬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문장구성하기"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147-167, 2013

      9 신가영, "초등학생의 철자 발달과 오류 패턴 분석" 한국언어치료학회 24 (24): 61-72, 2015

      10 김애화, "초등학생의 읽기이해 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357-380, 2010

      1 강범모, "한국어 형태소 및 어휘사용 빈도의 분석"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2 배소영, "한국어 읽기검사(KOLRA)"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2015

      3 강현화, "한국어 교육 어휘 내용 개발(1단계)" 국립국어원 2012

      4 곽금주,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K-WISC-Ⅳ)" 학지사 2011

      5 송정식, "한·일 초등학교 2학년 국어교과서 어휘 고찰 -품사별 사용빈도 상위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일본어학회 (36) : 147-166, 2013

      6 김윤옥, "학습장애 학생을 위한 어휘획득전략" 교육과학사 2006

      7 양민화, "학습부진 학생의 철자검사 및 교수를 위한 단어선정의 언어학적 기준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1 (11): 149-166, 2012

      8 이찬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문장구성하기" 한국언어치료학회 22 (22): 147-167, 2013

      9 신가영, "초등학생의 철자 발달과 오류 패턴 분석" 한국언어치료학회 24 (24): 61-72, 2015

      10 김애화, "초등학생의 읽기이해 능력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357-380, 2010

      11 장현진, "초등학생 교육용 기초 어휘 선정 연구 - 저학년 중심으로 -" 한국언어치료학회 23 (23): 157-170, 2014

      12 정부자, "초등학교 저학년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3 (13): 313-327, 2009

      13 김애화, "초등학교 읽기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단어인지 특성 비교 연구: 단어인지 수행력 및 오류 패턴 비교"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632-647, 2010

      14 정미란, "초등학교 3~6학년 일반학생과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구문인식 비교: 문장 구성하기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337-347, 2010

      15 EBS방송국, "집중취재: “글자에 갇힌 아이들”"

      16 안성우, "작업기억의 발달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음운기억과 중앙집행기 발달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치료학회 20 (20): 69-85, 2011

      17 김윤옥, "읽기진단검사 실시요강"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18 김윤옥, "읽기진단검사"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19 우정한, "읽기장애학생의 읽기 특성 연구: 읽기장애의 유형, 읽기 오류 유형 및 글 이해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197-218, 2012

      20 우정한, "읽기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읽기능력 특성 비교 및 읽기 하위 변인간의 관계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291-312, 2012

      21 정난숙, "읽기장애아동의 독해력 설명변인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385-403, 2005

      22 김애화, "읽기성취 및 읽기인지처리능력검사(RA-RCP)" 학지사심리검사연구소 2014

      23 김애화, "읽기 성취 및 읽기 심리처리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연구: 경기도와 충청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6 (16): 276-294, 2011

      24 김미배, "유치원, 초등 2·4학년의 낱말재인 및 음운인식 능력" 한국언어치료학회 16 (16): 89-107, 2007

      25 최나야, "유아의 단어읽기 능력 예측변수:연령 집단별, 단어 유형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6 (26): 41-54, 2008

      26 김윤옥, "문장작성전략 교수와 학습장애 학생 : 연구 검증된 실제" 4 (4): 21-33, 2002

      27 장석경, "맥락적·분석적 그림책 읽기 유형이 유아의 읽기 능력 및 읽기 흥미에 미치는 효과 : 가정의 사회 경제적 지위별 분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28 김광해, "등급별 국어교육용 어휘" 박이정 2003

      29 김애화, "단어인지, 읽기유창성, 읽기이해에 대한 예측 연구: 5세와 6세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종단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427-453, 2010

      30 김용욱, "난독증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213-242, 2015

      31 김윤옥, "난독증 선별 체크리스트 표준화 및 한국 난독증 학생 통계추정 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12 (12): 21-45, 2015

      32 김윤옥, "난독증 선별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11 (11): 99-128, 2014

      33 신영화, "꿈을 찾아가는 아이를 위해"

      34 박경숙, "기초학습기능검사" 한국교육개발원 1989

      35 박경숙, "기초학력검사(KISE-BAAT)" 국립특수교육원 2008

      36 서상규, "교육용 기본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국립국어원 2009

      37 민혜정, "교과서 독해ᆞ내용정리전략이 초등학교 학습장애 학생의 사회과학업성취도와 메타인지에 미치는 효과" 4 (4): 163-183, 2002

      38 Vaughn, S., "The underlying message in LD intervention research : Finding from research syntheses" 67 (67): 99-114, 2000

      39 Hoover, W A., "The simple view of reading" 2 : 127-160, 1990

      40 Marshall, A., "The everything parent's guide to children with dyslexia: All you need to ensure your child's success" Adams Media 2004

      41 Rief, S. F., "The dyslexia checklist" Jossey-Bass 2010

      42 Foorman, B. R., "The Structure of oral language and reading and their relation to comprehension in kindergarten through grade 2" 28 (28): 655-681, 2015

      43 "The Phonological Awareness Test-2"

      44 Casalis, S., "Syntactic comprehension in reading and listening : A study with French children with dyslexia" 46 (46): 210-219, 2013

      45 Chall, J., "Stages of reading development" McGraw-Hill 1983

      46 National Reading Panel, "Report of the National Reading Panel. Teaching children to read: An evidence-based assessment of the scientific research literature on reading and its implications for reading instructions"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0

      47 Savage, R. S., "Relationships among rapid digit naming, phonological processing, motor automaticity, and speech perception in poor, average, and good readers and spellers" 38 (38): 12-28, 2005

      48 Denckla, M, "Rapid automatized naming(R. A. N) : dyslexia differentiated from other learning disabilities" 14 : 471-479, 1976

      49 Norton, E. S., "Rapid Automatized Naming (RAN) and Reading Fluency: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Reading Disabilities" 63 : 427-452, 2012

      50 Shaywitz, S., "Overcoming Dyslexia : A new and complete science-based program for reading problems at any level" Random House 2003

      51 Language and Learning Research Consortium, "Learning to read: Should we keep things simple?" 50 (50): 151-169, 2015

      52 McNanara, B. E., "Learning disabilities: Bridging the gap between research and classroom practice" Pearson Education 2007

      53 O'Connor, R. E., "Layers of reading intervention in kindergarten through third grade" 38 (38): 440-455, 2005

      54 Melanlioglu, D., "Impacts of authentic listening tasks upon listening anxiety and listening comprehension" 8 (8): 1177-1185, 2013

      55 Christo, C., "Identifying, assessing and treating dyslexia at school" Springer 2009

      56 Mather, N., "Essentials of dyslexia assessment and intervention" Wiley & Sons 2012

      57 Tholen, N., "Eliciting dyslexic symptoms in proficient readers by simulating deficits in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and visuo-magnocellular processing" 17 (17): 268-281, 2011

      58 Malatesha, J. R., "Dyslexia and hyperlexia in bilinguals" 16 (16): 99-118, 2010

      59 "Dynamic Indicators of Basic Early Literacy Skills"

      60 Catts, H. W., "Connections between language and reading disabilities" Erlbaum 2005

      61 "Comprehensive Test of Phonological Processing"

      62 김동일, "BASA(기초학습기능수행평가체제 : 읽기)" 학지사 2006

      63 International Dyslexia Association, "About Dyslexia"

      64 Speece, D. L., "A longitudin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oral reading fluency in young children at risk for reading failure" 38 (38): 387-399, 2005

      65 이지현, "4, 5세 유아의 말과 글의 관계 인식을 증진시키는 언어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343-375,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