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중국 소재 묘지명을 통해 당 왕조에서 살았던 한국계 유이민의 생애와 활동사 연구에 대한 총괄적인 서술을 하였다. 이 기획연구과제를 수행한 연구팀에서는 중국에 소재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019866
김창겸 (김천대학교)
2020
Korean
묘지명 ; 당 ; 이주민 ; 생활사 ; 고구려 ; 백제 ; 신라 ; 발해 ; 한국계 유이민 ; Epigraph-Writing ; Tang Dynasty ; Life History ; Migrant ; Goguryeo ; Baekje ; Silla ; Balhae ; Korean Displaced Peoples
KCI등재
학술저널
11-38(2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중국 소재 묘지명을 통해 당 왕조에서 살았던 한국계 유이민의 생애와 활동사 연구에 대한 총괄적인 서술을 하였다. 이 기획연구과제를 수행한 연구팀에서는 중국에 소재하는 ...
이 글에서는 중국 소재 묘지명을 통해 당 왕조에서 살았던 한국계 유이민의 생애와 활동사 연구에 대한 총괄적인 서술을 하였다. 이 기획연구과제를 수행한 연구팀에서는 중국에 소재하는 묘지명 분석을 통하여 당시 사람들의 삶에 대한 접근으로 생활사를 재구성하고 이해하였다. 즉, 여기서는 당으로 이주하여 唐人으로 탈바꿈한 고구려, 백제, 신라, 발해 출신인, 이른바 한국계 유이민들에 대한 활동을 조사해서 이들이 살아간 궤적과 모습을 복원해 보았다. 이 작업은 향후 발견될 묘지명에 대한 나름대로의 연구방향을 마련했다고 하겠다.
이 연구는 아주 큰 반향을 불러오고 이와 관련한 후속 연구를 초래할 것으로 기대한다. 먼저 국내 소재 문헌자료와 더불어 고대 한국인의 생활사를 복원하고 재구성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본다. 그리고 새로이 출토되고 있는 묘지명 자료에 대한 연구자의 관심과 활용의 필요성을 제고할 것이다.
결국 이 연구는 종전의 제한적이거나 부분적 연구방식에서 초월하여 보다 폭넓고 다양한 사실들을 수집 정리함으로써, 전문연구자는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제공하고 이해의 공감대를 형성함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 overall description of the study on the life history of Korean displaced peoples lived in the Tang dynasty. The research team that carried out this project reconstructed and understood the life history through the analysis of epigrap...
This article is a overall description of the study on the life history of Korean displaced peoples lived in the Tang dynasty.
The research team that carried out this project reconstructed and understood the life history through the analysis of epigraph-writings in China. Through the study of Koreans who moved to the party and transformed into people of the country, they restored their trajectory and vivid appearance. This work has prepared an important research guideline for the future to be discovered.
This study will bring about a great deal of repercussions in the future, and will lead to follow-up studies. First, cultural restoration projects, social training, and interesting perceptions will be derived from citizens. On the other hand, it will help restore and reconstruct life history using literature data in Korea. And it will raise the necessity of interest and utilization of the researcher's new materials of Epitaph which are being excavated in China.
In the end, this study is a collection of wider and diverse facts that transcend the previous limited or partial research methods, which will be provided to researchers and the general public, and will form a consensus on this field.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겸, "한국중세사논총-이수건교수정년기념-" 2000
2 정동준, "한국고대사 연구의 양적 증가와 새로운 동향" 역사학회 (243) : 21-48, 2019
3 권덕영, "한국고대사 관련 中國 金石文 조사 연구 -唐代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97) : 1-47, 2010
4 강종훈, "한국 고대 금석문 자료에 대한 사료 비판론" 한국고대사학회 (68) : 301-334, 2012
5 拜根興, "중국 학계 백제사 연구현황 및 과제-중국 출토 백제인 묘지명을 중심으로-" 19 : 2014
6 윤용구, "중국 출토 고구려ㆍ백제유민 묘지명 연구동향" 한국고대사학회 (75) : 61-104, 2014
7 拜根興, "중국 소재 한국고대사 관련 금석문 자료의 현황과 전망" 23 : 2002
8 곽승훈, "중국 소재 한국 고대 금석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9 김현숙, "중국 소재 고구려 유민의 동향" 23 : 2001
10 권덕영, "중국 금석문을 활용한 신라사의 몇 가지 보완" 부산경남사학회 (105) : 179-209, 2017
1 김창겸, "한국중세사논총-이수건교수정년기념-" 2000
2 정동준, "한국고대사 연구의 양적 증가와 새로운 동향" 역사학회 (243) : 21-48, 2019
3 권덕영, "한국고대사 관련 中國 金石文 조사 연구 -唐代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97) : 1-47, 2010
4 강종훈, "한국 고대 금석문 자료에 대한 사료 비판론" 한국고대사학회 (68) : 301-334, 2012
5 拜根興, "중국 학계 백제사 연구현황 및 과제-중국 출토 백제인 묘지명을 중심으로-" 19 : 2014
6 윤용구, "중국 출토 고구려ㆍ백제유민 묘지명 연구동향" 한국고대사학회 (75) : 61-104, 2014
7 拜根興, "중국 소재 한국고대사 관련 금석문 자료의 현황과 전망" 23 : 2002
8 곽승훈, "중국 소재 한국 고대 금석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9 김현숙, "중국 소재 고구려 유민의 동향" 23 : 2001
10 권덕영, "중국 금석문을 활용한 신라사의 몇 가지 보완" 부산경남사학회 (105) : 179-209, 2017
11 지배선, "제3의 고구려~이정기와 제나라 60년사~" 청년정신 2018
12 권덕영, "재당 신라인사회 연구" 일조각 2005
13 노중국, "신라시대 성씨의 분지화와 식읍제의 실시" 15 : 1999
14 권덕영, "신라사 補正을 위한 당 金石文 기초 연구" 신라사학회 (38) : 147-180, 2016
15 안정준, "새로 발견된 고구려 유민 「고연복 묘지명」"
16 黃淸連, "백제사의 비교연구"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3
17 이도학, "백제 흑치상지묘지명의 검토" 향토문화연구회 6 : 1991
18 이문기, "백제 흑치상지 부자 묘지명의 검토" 64 : 1991
19 정병준, "백제 유민들의 활동"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2007
20 권덕영, "백제 유민 禰氏 一族 묘지명에 대한 斷想" 한국사학회 (105) : 1-36, 2012
21 양기석, "백제 부여융 묘지명에 대한 검토" 62 : 1997
22 최상기, "백제 멸망 이후 예씨 일족의 위상 - 묘지명(墓誌銘)과 관련 문헌의 종합적 검토를 통해 -" 한국역사연구회 (101) : 71-106, 2016
23 김영관, "발해인 낙사계 묘지명에 대한 고찰" 7 : 2011
24 구난희, "당으로 간 고구려·백제인 : 시안·뤄양 출토 묘지명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9
25 박은미, "당대 중국 소재 한국 여성 묘지명의 내용과 특징"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6 김수진, "당경 고구려 유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27 김수진, "고구려 유민의 당조 출사 유형과 변화" 한국학연구소 49 : 33-67, 2018
28 지배선, "고구려 유민 고선지와 토번 서역사" 혜안 2011
29 지배선, "고구려 백제 유민 이야기" 혜안 2006
30 김영관, "高句麗 遺民 高提昔 墓誌銘에 대한 연구" 백산학회 (97) : 135-169, 2013
31 여호규, "高句麗 遺民 <李他仁墓誌銘>의 재판독 및 주요 쟁점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85) : 365-413, 2017
32 권덕영, "羅振玉의 금석학과 『唐代海東藩閥誌存』" 한국고대사학회 (91) : 273-300, 2018
33 김영관, "百濟 遺民들의 唐 移住와 活動" 한국사연구회 (158) : 231-268, 2012
34 김영관, "百濟 滅亡後 扶餘隆의 行蹟과 活動에 대한 再考察" 백제학회 (7) : 79-110, 2012
35 이영호, "在唐 신라인 金氏墓誌銘의 검토" 신라사학회 (17) : 325-354, 2009
36 김영관, "在唐 新羅人 金日用 墓誌銘에 대한 검토" 신라사학회 (27) : 159-195, 2013
37 王其禕, "國內城高氏:最早入唐的高句麗移民-新發現唐上元元年≪泉府君夫人高提昔墓志≫釋讀" 2013
38 安賢善, "唐朝における朝鮮半島系遺民" 関西学院大学 67 (67): 2018
39 안정준, "唐代 高句麗 遺民 一族인 劉元貞과 그의 부인 王氏 墓誌銘 -8세기 초반 高句麗 遺民 후손의 활동 사례-" 한국목간학회 (23) : 277-295, 2019
40 안정준, "唐代 墓誌銘을 통해 본 고구려·백제 遺民 一族의 동향 - 총론 -" 한국역사연구회 (101) : 23-34, 2016
41 김수진, "唐京高句麗遺民의 私第와 葬地" 한국사학회 (127) : 261-312, 2017
42 拜根兴, "入唐高句丽移民研究的现状及其问题" 吉林省社会科学院 2018
43 김영관, "中國 發見 百濟 遺民 祢氏 家族 墓誌銘 檢討" 신라사학회 (24) : 89-158, 2012
44 安賢善, "中国内地で活動した百濟・高句麗人" 関西学院大学 69 (69): 2019
45 김영관, "「扶餘隆 墓誌銘」의 새로운 判讀과 飜譯"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5) : 7-38, 2017
46 우에다 기헤이나리치카, "‘內臣之番’으로서의 百濟ㆍ高句麗遺民" 고구려발해학회 64 : 229-259, 2019
47 정순일, "<번역논문>≪祢軍墓誌≫에 대한 覺書-부록:唐代 백제인 관련 石刻의 釋文(葛繼勇)" 신라사학회 (25) : 437-498, 2012
48 권덕영, "<大唐故金氏夫人墓銘>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한국고대사학회 (54) : 395-422, 2009
8세기 중엽 신라의 對唐關係 -在唐 新羅人 金日晟 墓誌銘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6 | 0.97 | 2.484 | 0.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