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在唐 백제 유민의 활동과 출세 배경 = Baekje Survivors’ Activities in Tang China and the Background of Their Suc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98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activities of Baekje People who went to Tang after the collapse of the Baekje Kingdom in 660 AD and the background they were able to leave their name behind in Tang.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case of Baekje people who actively cooperated with the Tang Dynasty during the fall of Baekje and its restoration movement. In recognition of their contribution, they lived in the capital cities of Tang such as Changan and Luoyang and received preferential treatment. The examples are the Ye clan that captured the King Uija and dedicated him to the Tang army, and the Jinbeopja clan that contributed to the collapse of Baekje by surrender to the Tang army. There were some people who have weakened them by conciliating the revival forces. Buyeo Yung, Heukchi Sangji, and Sata Sangyeo made the forces surrender by defeating them.
      Second, it is the case of the people of Baekje who served in the Ungjin Dodokbu, or Ungjin Commandery, which was a Tang Chinese government office for ruling the former Baekje area after the fall of Baekje, and cooperated with the Tang Dynasty. There are also Buyeo Yung who served as the commander of Ungjin Dodokbu, and Heukchi Sangji, Ye Shikjin, Nanhan and Nanmu who served as officials of the Dodokbu, and Beop Chong and Sataek Sondeung who engaged in diplomacy with Japan.
      Third, it is the case of the Baekje survivors who went to Tang and rendered outstanding military services by participating in the war against Turk, Tufan, and Khitan: Buyeo Munseon and Buyeo Jun who were descended from the royal family of Baekje ; Baekje nobles and their descendants such as Heukchi Sangji, and his son Heukchi Jun and descendants of Ye Shikjin, Ye Gun, and Nan Wongyeong, Sata Chungui, and Sata Li. They succeeded as a military general by demonstrating their military capabilities.
      Fourth, it is the case that Baekje people who maintained and preserved their status in the Tang Dynasty by building personal connections through marriage to the imperial family of Tang or the powerful noble family of Tang, or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political factions.
      People who got success in Tang due to the contributions they made for the collapse of Baekje and in the Ungjin Dodokbu were the first generation of Baekje survivors who grew up in Baekje. And those who succeeded as military generals by demonstrating military capabilities are not only the first generation of Baekje people but also the second to third-generation descendants. They tried to maintain their status in Tang, and the results of the efforts remain in the records of literature and epitaph tablets.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activities of Baekje People who went to Tang after the collapse of the Baekje Kingdom in 660 AD and the background they were able to leave their name behind in Tang.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case of Baekje p...

      This paper examines the activities of Baekje People who went to Tang after the collapse of the Baekje Kingdom in 660 AD and the background they were able to leave their name behind in Tang. I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case of Baekje people who actively cooperated with the Tang Dynasty during the fall of Baekje and its restoration movement. In recognition of their contribution, they lived in the capital cities of Tang such as Changan and Luoyang and received preferential treatment. The examples are the Ye clan that captured the King Uija and dedicated him to the Tang army, and the Jinbeopja clan that contributed to the collapse of Baekje by surrender to the Tang army. There were some people who have weakened them by conciliating the revival forces. Buyeo Yung, Heukchi Sangji, and Sata Sangyeo made the forces surrender by defeating them.
      Second, it is the case of the people of Baekje who served in the Ungjin Dodokbu, or Ungjin Commandery, which was a Tang Chinese government office for ruling the former Baekje area after the fall of Baekje, and cooperated with the Tang Dynasty. There are also Buyeo Yung who served as the commander of Ungjin Dodokbu, and Heukchi Sangji, Ye Shikjin, Nanhan and Nanmu who served as officials of the Dodokbu, and Beop Chong and Sataek Sondeung who engaged in diplomacy with Japan.
      Third, it is the case of the Baekje survivors who went to Tang and rendered outstanding military services by participating in the war against Turk, Tufan, and Khitan: Buyeo Munseon and Buyeo Jun who were descended from the royal family of Baekje ; Baekje nobles and their descendants such as Heukchi Sangji, and his son Heukchi Jun and descendants of Ye Shikjin, Ye Gun, and Nan Wongyeong, Sata Chungui, and Sata Li. They succeeded as a military general by demonstrating their military capabilities.
      Fourth, it is the case that Baekje people who maintained and preserved their status in the Tang Dynasty by building personal connections through marriage to the imperial family of Tang or the powerful noble family of Tang, or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political factions.
      People who got success in Tang due to the contributions they made for the collapse of Baekje and in the Ungjin Dodokbu were the first generation of Baekje survivors who grew up in Baekje. And those who succeeded as military generals by demonstrating military capabilities are not only the first generation of Baekje people but also the second to third-generation descendants. They tried to maintain their status in Tang, and the results of the efforts remain in the records of literature and epitaph table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백제 멸망 후 당에 들어간 백제 유민들이 이름을 남길 수 있었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제 멸망과 그 부흥운동 때 당나라에 적극 협력한 경우이다. 이들은 주로 장안, 낙양 등 수도에 살면서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특혜를 받았다. 의자왕을 사로잡아 당군에게 바친 예씨 가문과 당군에 투항하여 백제를 멸망시키는데 기여한 진법자 가문이 대표적이다. 또한 백제 유민들을 회유하여 부흥세력을 약화시키거나 직접 토벌에 참여하여 항복시킨 부여융과 흑치상지, 사타상여와 같은 부류도 있다. 둘째, 웅진도독부에서 활동하며 당의 이익을 실현하는데 기여한 경우이다. 웅진도독으로 활동했던 부여융과 웅진도독부의 관료로 활동했던 흑치상지, 예식진, 난한과 난무 등이 있고, 왜와의 외교에 종사했던 법총과 사택손등 등이 있다. 셋째, 당에 들어가서 돌궐, 토번, 거란 등과의 전쟁에 참여해 군사적 능력을 발휘한 경우이다. 부여문선, 부여준과 같은 왕족의 후예들을 비롯해 흑치상지와 흑치준 부자, 예식진과 예군 후손들, 난원경과 사타충의, 사타리 등 귀족의 후예들은 모두 군사적 능력을 발휘하여 무장으로 출세했다. 넷째, 당 황실이나 유력한 귀족 가문과의 혼인을 통해 인맥을 쌓거나 정치적 파당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지위를 유지하고 보전한 경우이다.
      백제 멸망 당시와 웅진도독부에서 세운 공으로 당에서 출세한 이들은 백제에서 성장한 유민 1세대였다. 당나라에서 군사적인 능력을 발휘해 무장으로 출세한 이들은 백제 유민 1세대뿐만 아니라, 2~3세대 후손들도 있었다. 백제 유민들이 당에 들어와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었고, 그런 노력의 결과가 문헌과 묘지명 등의 기록에 남아 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번역하기

      백제 멸망 후 당에 들어간 백제 유민들이 이름을 남길 수 있었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제 멸망과 그 부흥운동 때 당나라에 적극 협력한 경우이다. 이들은 주로 장안, 낙양 등 수도에 ...

      백제 멸망 후 당에 들어간 백제 유민들이 이름을 남길 수 있었던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제 멸망과 그 부흥운동 때 당나라에 적극 협력한 경우이다. 이들은 주로 장안, 낙양 등 수도에 살면서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특혜를 받았다. 의자왕을 사로잡아 당군에게 바친 예씨 가문과 당군에 투항하여 백제를 멸망시키는데 기여한 진법자 가문이 대표적이다. 또한 백제 유민들을 회유하여 부흥세력을 약화시키거나 직접 토벌에 참여하여 항복시킨 부여융과 흑치상지, 사타상여와 같은 부류도 있다. 둘째, 웅진도독부에서 활동하며 당의 이익을 실현하는데 기여한 경우이다. 웅진도독으로 활동했던 부여융과 웅진도독부의 관료로 활동했던 흑치상지, 예식진, 난한과 난무 등이 있고, 왜와의 외교에 종사했던 법총과 사택손등 등이 있다. 셋째, 당에 들어가서 돌궐, 토번, 거란 등과의 전쟁에 참여해 군사적 능력을 발휘한 경우이다. 부여문선, 부여준과 같은 왕족의 후예들을 비롯해 흑치상지와 흑치준 부자, 예식진과 예군 후손들, 난원경과 사타충의, 사타리 등 귀족의 후예들은 모두 군사적 능력을 발휘하여 무장으로 출세했다. 넷째, 당 황실이나 유력한 귀족 가문과의 혼인을 통해 인맥을 쌓거나 정치적 파당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지위를 유지하고 보전한 경우이다.
      백제 멸망 당시와 웅진도독부에서 세운 공으로 당에서 출세한 이들은 백제에서 성장한 유민 1세대였다. 당나라에서 군사적인 능력을 발휘해 무장으로 출세한 이들은 백제 유민 1세대뿐만 아니라, 2~3세대 후손들도 있었다. 백제 유민들이 당에 들어와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었고, 그런 노력의 결과가 문헌과 묘지명 등의 기록에 남아 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拜根興, "중국 학계의 백제 유민 禰氏 家門 墓誌銘 검토" 한국사연구회 (165) : 329-341, 2014

      2 정동준, "중국 출토 百濟人 墓誌 集成 원문·역주편"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6

      3 김영관, "백제 이후, 백제" 국립공주박물관 2015

      4 권덕영, "백제 유민 禰氏 一族 묘지명에 대한 斷想" 한국사학회 (105) : 1-36, 2012

      5 李道學, "백제 사비성 시대 연구" 一志社 2010

      6 최상기, "백제 멸망 이후 예씨 일족의 위상 - 묘지명(墓誌銘)과 관련 문헌의 종합적 검토를 통해 -" 한국역사연구회 (101) : 71-106, 2016

      7 구난희, "당으로 간 고구려·백제인 : 시안·뤄양 출토 묘지명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9

      8 "資治通鑑"

      9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Ⅰ"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10 "舊唐書"

      1 拜根興, "중국 학계의 백제 유민 禰氏 家門 墓誌銘 검토" 한국사연구회 (165) : 329-341, 2014

      2 정동준, "중국 출토 百濟人 墓誌 集成 원문·역주편"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6

      3 김영관, "백제 이후, 백제" 국립공주박물관 2015

      4 권덕영, "백제 유민 禰氏 一族 묘지명에 대한 斷想" 한국사학회 (105) : 1-36, 2012

      5 李道學, "백제 사비성 시대 연구" 一志社 2010

      6 최상기, "백제 멸망 이후 예씨 일족의 위상 - 묘지명(墓誌銘)과 관련 문헌의 종합적 검토를 통해 -" 한국역사연구회 (101) : 71-106, 2016

      7 구난희, "당으로 간 고구려·백제인 : 시안·뤄양 출토 묘지명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9

      8 "資治通鑑"

      9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Ⅰ"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10 "舊唐書"

      11 김영관, "義慈王의 押送 過程과 唐에서의 行蹟" 백산학회 (85) : 113-143, 2009

      12 방향숙, "百濟의 滅亡과 復興運動"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2007

      13 李文基, "百濟遺民 難元慶 墓誌의 紹介" 23 : 2000

      14 金榮官, "百濟遺民 禰寔進 墓誌 소개" 10 : 2007

      15 김영관, "百濟義慈王曾孫女太妃扶餘氏墓誌" 백제학회 (1) : 115-144, 2009

      16 金榮官, "百濟復興運動硏究" 서경문화사 2005

      17 黃淸連, "百濟史의 比較硏究"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1993

      18 李道學, "百濟 黑齒常之墓誌銘의 檢討" 6 : 1991

      19 李文基, "百濟 黑齒常之 父子 墓誌銘의 檢討" 64 : 1991

      20 정병준, "百濟 遺民들의 活動"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2007

      21 김영관, "百濟 遺民들의 唐 移住와 活動" 한국사연구회 (158) : 231-268, 2012

      22 김영관, "百濟 遺民 陳法子 墓誌銘 硏究" 백제문화연구소 1 (1): 103-134, 2014

      23 김영관, "百濟 義慈王 外孫 李濟 墓誌銘에 대한 연구" 백제문화연구소 1 (1): 163-180, 2013

      24 김영관, "百濟 滅亡後 扶餘隆의 行蹟과 活動에 대한 再考察" 백제학회 (7) : 79-110, 2012

      25 梁起錫, "百濟 扶餘隆 墓誌銘에 대한 檢討" 62 : 1997

      26 "日本書紀"

      27 "新唐書"

      28 방향숙, "扶餘隆의 정치적 입지와 劉仁軌"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5) : 107-149, 2017

      29 김영관, "就利山會盟과 唐의 百濟 故土 支配 政策" 한국고대학회 (31) : 61-85, 2009

      30 江淸波, "入唐三韓人硏究" 曁南大學出版社 2010

      31 김영관, "中國 發見 百濟 遺民 祢氏 家族 墓誌銘 檢討" 신라사학회 (24) : 89-158, 2012

      32 "三國史記"

      33 권인한, "『한국고대문자자료연구』 백제(하)" 주류성출판사 2015

      34 김영관, "「扶餘隆 墓誌銘」의 새로운 判讀과 飜譯"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5) : 7-38, 2017

      35 우에다 기헤이나리치카, "‘內臣之番’으로서의 百濟ㆍ高句麗遺民" 고구려발해학회 64 : 229-259,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7 2.484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