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인의 자기 전 칫솔질 실천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상태의 비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의 자료를 활용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53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의 자기 전 칫솔질 실천 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상태를 비교하여, 자기 전 칫솔질 실천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구강건강 예방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독립변수는 자기 전 칫솔질 실천유무로, 종속변수는 지역사회치주지수를 이용한 구강건강상태(건전치주군, 치주질환군)로, 보정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가구소득), 구강건강행태(어제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여부, 구강용품사용여부, 최근 1년간 구강검진여부, 예방치료 경험여부)로 설정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IBM SPSS/WIN 26을 활용하였으며 복합표본을 설계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자기 전 칫솔질 실천을 하는 사람에 비해 하지 않는 사람은 치주질환군일 확률이 1.200배(95% CI=1.027-1.404) 높았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이 증가할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치주질환군일 확률이 높았으며, 무직에 비해 단순노무직과 농림어업직에서 치주질환군일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하지 않을수록,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지 않을수록, 최근 1년간 구강검진과 예방치료를 받지 않을수록 치주질환군일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그 외 변수(월 가구소득수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보았을 때, 우리나라 성인의 자기 전 칫솔질 실천 유무와 구강건강상태는 유의한 관련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성인의 자기 전 칫솔질 실천 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상태를 비교하여, 자기 전 칫솔질 실천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구강건강 예방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

      본 연구는 성인의 자기 전 칫솔질 실천 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상태를 비교하여, 자기 전 칫솔질 실천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구강건강 예방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독립변수는 자기 전 칫솔질 실천유무로, 종속변수는 지역사회치주지수를 이용한 구강건강상태(건전치주군, 치주질환군)로, 보정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가구소득), 구강건강행태(어제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여부, 구강용품사용여부, 최근 1년간 구강검진여부, 예방치료 경험여부)로 설정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IBM SPSS/WIN 26을 활용하였으며 복합표본을 설계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자기 전 칫솔질 실천을 하는 사람에 비해 하지 않는 사람은 치주질환군일 확률이 1.200배(95% CI=1.027-1.404) 높았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연령이 증가할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치주질환군일 확률이 높았으며, 무직에 비해 단순노무직과 농림어업직에서 치주질환군일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하지 않을수록,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지 않을수록, 최근 1년간 구강검진과 예방치료를 받지 않을수록 치주질환군일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그 외 변수(월 가구소득수준)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보았을 때, 우리나라 성인의 자기 전 칫솔질 실천 유무와 구강건강상태는 유의한 관련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ral health condition of adults according to their habit of brushing teeth before sleeping,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is practice, and to use the results to develop guidelines for oral health management.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7<SUP>th</SUP> KNHANES Ⅶ-2 survey.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t to brushing teeth before sleeping, dependent variables were oral health conditions, and correction variables we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income) and oral health behavior (brushing teeth after lunch, using oral care products, oral check-up in the past year, preventive treat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WIN 26 program, a complex sample was designed and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who did not brush their teeth before sleeping had a higher risk of periodontitis, compared to those who brushed [odd ratio:1.200 (95% CI=1.027-1.404)]. The probability of periodontitis was higher among men than in women, and in older people, those with lower education, daily laborer"s, agricultural workers and fishermen than among the unemployed. The higher probability of periodontitis stemmed from not practicing good oral health behavior. Income level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shows that brushing teeth before sleep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oral health condi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ral health condition of adults according to their habit of brushing teeth before sleeping,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is practice, and to use the results to develop guidelines for oral health man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ral health condition of adults according to their habit of brushing teeth before sleeping,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is practice, and to use the results to develop guidelines for oral health management.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7<SUP>th</SUP> KNHANES Ⅶ-2 survey.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t to brushing teeth before sleeping, dependent variables were oral health conditions, and correction variables we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income) and oral health behavior (brushing teeth after lunch, using oral care products, oral check-up in the past year, preventive treatment).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WIN 26 program, a complex sample was designed and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people who did not brush their teeth before sleeping had a higher risk of periodontitis, compared to those who brushed [odd ratio:1.200 (95% CI=1.027-1.404)]. The probability of periodontitis was higher among men than in women, and in older people, those with lower education, daily laborer"s, agricultural workers and fishermen than among the unemployed. The higher probability of periodontitis stemmed from not practicing good oral health behavior. Income level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shows that brushing teeth before sleep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oral health condi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방법
      • 3. 연구결과
      • 4. 논의 및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영순, "한국 성인의 치주질환 위험 요인"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8 (38): 176-183, 2014

      2 박희정, "한국 성인의 치주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구강건강의식 및 행태의 효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7 (27): 61-69, 2010

      3 최마이, "한국 성인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치주질환 유병과의 관련성: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5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치위생학회 17 (17): 1109-1119, 2017

      4 우동협,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18-44세 한국 성인의 치주질환 유병 관련 위험요인"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7 (37): 95-102, 2013

      5 김유린, "잠자기 전 칫솔질 유무에 따른 구강위생보조용품 사용과 최근 치과진료 및 구강상태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와 제6기의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치위생학회 19 (19): 931-939, 2019

      6 김예황, "성인 중년남성의 구강건강행태 및 흡연과 치주질환 관련성"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41 (41): 36-42, 2017

      7 홍민희, "성인 근로자의 치주질환 유병 관련 위험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3706-3713, 2014

      8 홍민희, "성별에 따른 중·장년층의 구강건강행태, 만성질환과 치주질환의 연관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03-410, 2018

      9 이병호,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과 직업특성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 9 (9): 145-152, 2018

      10 Christof Dörfer,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with general health and NCDs : a brief review" 67 (67): 14-18, 2017

      1 원영순, "한국 성인의 치주질환 위험 요인"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8 (38): 176-183, 2014

      2 박희정, "한국 성인의 치주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과 구강건강의식 및 행태의 효과"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7 (27): 61-69, 2010

      3 최마이, "한국 성인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치주질환 유병과의 관련성: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5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치위생학회 17 (17): 1109-1119, 2017

      4 우동협,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18-44세 한국 성인의 치주질환 유병 관련 위험요인"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37 (37): 95-102, 2013

      5 김유린, "잠자기 전 칫솔질 유무에 따른 구강위생보조용품 사용과 최근 치과진료 및 구강상태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와 제6기의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치위생학회 19 (19): 931-939, 2019

      6 김예황, "성인 중년남성의 구강건강행태 및 흡연과 치주질환 관련성"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41 (41): 36-42, 2017

      7 홍민희, "성인 근로자의 치주질환 유병 관련 위험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5 (15): 3706-3713, 2014

      8 홍민희, "성별에 따른 중·장년층의 구강건강행태, 만성질환과 치주질환의 연관성"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03-410, 2018

      9 이병호,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과 직업특성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 9 (9): 145-152, 2018

      10 Christof Dörfer, "The relationship of oral health with general health and NCDs : a brief review" 67 (67): 14-18, 2017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implement plan of oral policy"

      12 B. W. Kang, "Preventive dentistry" Koonja 5-, 2013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ral Health Living Tips for a Healthy Life"

      14 Michael W. J. Dodds, "Health benefits of saliva : a review" 33 (33): 223-233, 2005

      15 L. Jin, "Global burden of oral diseases : emerging concepts, management and interplay with systemic health" 22 (22): 609-619, 2016

      16 Gregory. S, "Delivering better oral health:an evidence-based toolkit for prevention"

      17 K. Han,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behavior and periodontal disease among Korean adults" 96 (96): e6176-, 2017

      18 Vallabhan, C. G, "Assessment of Salivary Flow Rate in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12 (12): 308-312, 2020

      19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and Health Insurance Review&Assessment Service, "2019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 Yearbook"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