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누리과정의 유아기 음악교육 내용 범위와 계열 분석 = Analysis by Scope and Sequen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ntents according to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48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which is helpful to teachers by analyzing the scope and sequen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the Nuri curriculum. As a result, the range of music content was emphasized 'meter, beat, rhythm', while 'pitch, melody, and harmony' were not well revealed. The sequence of music content was not presented effectively. In addition, specific information on listening, singing, movement, and creative activities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education field, vague interest and play alone have limitations in providing a rich music education experience. Therefore, in keeping with the intention of the 2019 revised course, infants will be free to explore and express themselves freely. In this regard, we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of music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should be accompanied by intense research and consideration by teachers, and that a teache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this purpos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which is helpful to teachers by analyzing the scope and sequen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the Nuri curriculum. As a result, the range of music cont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which is helpful to teachers by analyzing the scope and sequen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the Nuri curriculum. As a result, the range of music content was emphasized 'meter, beat, rhythm', while 'pitch, melody, and harmony' were not well revealed. The sequence of music content was not presented effectively. In addition, specific information on listening, singing, movement, and creative activities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education field, vague interest and play alone have limitations in providing a rich music education experience. Therefore, in keeping with the intention of the 2019 revised course, infants will be free to explore and express themselves freely. In this regard, we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of music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should be accompanied by intense research and consideration by teachers, and that a teache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this purpo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유아기 음악교육 내용을 범위(scope)와 계열(sequence) 측면에서 분석하여 봄으로써,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는 유아기 음악교육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음악내용의 범위는 ‘박, 박자, 리듬’이 강조된 반면, ‘음높이, 멜로디, 화성’은 잘 드러나지 않 았다. 음악내용의 계열 역시 효과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듣기, 노래, 움직임, 창작 활동에 대한 구 체적 정보가 미흡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육 분야의 고유한 특성상 막연한 흥미와 놀이만으로 는 풍부한 음악교육적 경험을 제공하는 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으므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취지에 발맞 추어 유아가 중심이 되어 자유롭게 탐색하고 표현해보는 음악적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고자 노력하되, 유아들 의 음악적 발달 방향이 어떠해야하는지에 대해서는 교사의 치열한 연구와 고민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 이를 위해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유아기 음악교육 내용을 범위(scope)와 계열(sequence) 측면에서 분석하여 봄으로써,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는 유아기 음악교육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의 유아기 음악교육 내용을 범위(scope)와 계열(sequence) 측면에서 분석하여 봄으로써, 교사들에게 도움이 되는 유아기 음악교육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음악내용의 범위는 ‘박, 박자, 리듬’이 강조된 반면, ‘음높이, 멜로디, 화성’은 잘 드러나지 않 았다. 음악내용의 계열 역시 효과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듣기, 노래, 움직임, 창작 활동에 대한 구 체적 정보가 미흡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교육 분야의 고유한 특성상 막연한 흥미와 놀이만으로 는 풍부한 음악교육적 경험을 제공하는 데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으므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취지에 발맞 추어 유아가 중심이 되어 자유롭게 탐색하고 표현해보는 음악적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고자 노력하되, 유아들 의 음악적 발달 방향이 어떠해야하는지에 대해서는 교사의 치열한 연구와 고민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점, 이를 위해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현석,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학지사 2012

      2 김진영,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 유아와 함께 노래 부르기" 교문사 2010

      3 이옥주, "음악요소에 기초한 유아 음악교육" 도서출판 신정 2015

      4 Hoffer, C. R., "음악교사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3

      5 이정욱, "유치원 표현생활 영역과 초등 즐거운 생활과의 연계성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323-344, 2011

      6 방은영,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음악가 이미지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26 (26): 163-188, 2019

      7 김동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실태와 교사의 인식 분석" 유아교육연구소 20 (20): 67-92, 2019

      8 김희진, "유아기 음악교육 내용의 범위와 계열" 한국육아지원학회 13 (13): 175-196, 2018

      9 장은주, "유아교육과 음악교육의 통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양서원 2009

      10 임혜정,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불안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59-677, 2019

      1 강현석,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학지사 2012

      2 김진영, "통합적 유아음악교육 : 유아와 함께 노래 부르기" 교문사 2010

      3 이옥주, "음악요소에 기초한 유아 음악교육" 도서출판 신정 2015

      4 Hoffer, C. R., "음악교사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3

      5 이정욱, "유치원 표현생활 영역과 초등 즐거운 생활과의 연계성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323-344, 2011

      6 방은영,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음악가 이미지 탐색" 미래유아교육학회 26 (26): 163-188, 2019

      7 김동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실태와 교사의 인식 분석" 유아교육연구소 20 (20): 67-92, 2019

      8 김희진, "유아기 음악교육 내용의 범위와 계열" 한국육아지원학회 13 (13): 175-196, 2018

      9 장은주, "유아교육과 음악교육의 통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양서원 2009

      10 임혜정,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내용지식과 음악교수불안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59-677, 2019

      11 김진영, "유아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양서원 2007

      12 송주승, "예비유치원 교사의 음악적 능력의 중요성과 음악교과에 대한 의식의 실태조사에 관한 연구" 6 (6): 111-132, 2006

      13 이춘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 음악교육" 창지사 2013

      14 손연주, "누리과정에 드러난 놀이 이미지의 해체를 넘어서: 차이생성의 놀이로 나아가며" 한국육아지원학회 14 (14): 109-140, 2019

      15 김희진,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음악 관련 내용 개선방향 모색: 미국 음악교육 국가표준과 누리과정 예술경험영역의 음악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교육학회 14 (14): 35-52, 2016

      16 김석우, "교육연구방법론" 학지사 2015

      17 김병성, "교육연구방법" 학지사 1996

      18 강순미, "고든(Gordon)의 음악학습이론에 근거한 표준보육과정 내 음악활동의 내용분석과 재구성"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1-22, 2009

      19 김영연,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예술경험영역 음률(음악) 및 음악활동 내용분석"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8) : 17-34, 2016

      20 Laban, R., "The mastery of movement" London MacDonald and Evans 1971

      21 Moog, H., "The development of musical experience in children of preschool age" 4 (4): 38-45, 1976

      22 Rodrigues, H.,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music learning theory" GIA 471-477, 2005

      23 Amanda Niland, "The Power of Musical Play : The Value of Play-Based, Child-Centered Curriulum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23 (23): 17-21, 2009

      24 Valerio, W. H., "Music play" GIA 1998

      25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Education, "Core music standards (PK-8 Genaral Music)"

      26 Gordon, E. E.,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 GIA 1990

      27 손미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및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유아기 음악교육내용의 범위와 계열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28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 해설서"

      29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30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확정·발표: 유아가 중심이 되고 놀이가 살아나는 3~5세 공통 교육과정. 보도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1 1.115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