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국의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 실행의 문제와 과제 = Issues and Challenges on the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in Chinese Primary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684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IC) in Chinese primary schools in future. IC is included in the basic course system during the eighth course reform in China. The schools also retain the autonomy in developing their own curriculum which suits their needs. Thereby, China has formed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urriculums on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Under this system, teachers are allowed the freedom to selecting the content of courses, and carrying out their teaching activities.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teaching styles and their abilities to convey ideas, along with their abilities to cooperate with other teachers, problems such as the IC focuses more on quantity rather than quality, teaching method does not match the request of IC and so forth have surfaced. In addition, due to the shortage of teachers and inadequate infrastructure,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city and the less developed regions such as western and rural provinces on the development of IC. so the quality of IC in these areas is low and are resented as a mere formality. With regard to this, this study proposes that if we intend to improve the quality of IC, we need to focus on the training of teachers on IC, and also increase in investment of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in backward area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IC) in Chinese primary schools in future. IC is included in the basic course system during the eighth course reform in China. The schools also retain the autonomy in 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s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IC) in Chinese primary schools in future. IC is included in the basic course system during the eighth course reform in China. The schools also retain the autonomy in developing their own curriculum which suits their needs. Thereby, China has formed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curriculums on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Under this system, teachers are allowed the freedom to selecting the content of courses, and carrying out their teaching activities.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teaching styles and their abilities to convey ideas, along with their abilities to cooperate with other teachers, problems such as the IC focuses more on quantity rather than quality, teaching method does not match the request of IC and so forth have surfaced. In addition, due to the shortage of teachers and inadequate infrastructure, there is a significant gap between city and the less developed regions such as western and rural provinces on the development of IC. so the quality of IC in these areas is low and are resented as a mere formality. With regard to this, this study proposes that if we intend to improve the quality of IC, we need to focus on the training of teachers on IC, and also increase in investment of the educational infrastructure in backward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의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의 실행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밝혀내고 나아가 개선할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 달성을 위해 중국의 교육과정 체제 및 통합교육과정의 변천 경과를 살펴보고, 중국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와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통합 교육과정 실행에 따른 문제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통합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에 교사가 교과를 통합시킬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제반 노력이 부족하였으므로, 교육현장에서 통합 제대로 실천되는데 제한이 발생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는 통합 교육과정의 실행에서 질적 부분 보다는 양적인 면에 치중하는 문제, 교수 방법 문제, 교사 개인 능력의 제한으로 인한 문제 등이 드러나고 있다. 또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야 하지만 중국 서부 및 농촌과 같은 낙후 지역에 인적 자원 부족과 도서관, 미디어 등과 같은 교육환경의 시설 부족으로 통합교육과정의 질이 도시에 비해 낮다는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을 개선할 과제로 교사 훈련 및 낙후 지역에 인적 자원 및 재정 자원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국의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의 실행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밝혀내고 나아가 개선할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 달성을 위해 중국의 교육과정 체제 및 통합교...

      본 연구는 중국의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의 실행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을 밝혀내고 나아가 개선할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 달성을 위해 중국의 교육과정 체제 및 통합교육과정의 변천 경과를 살펴보고, 중국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와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통합 교육과정 실행에 따른 문제와 과제를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통합교육과정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에 교사가 교과를 통합시킬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제반 노력이 부족하였으므로, 교육현장에서 통합 제대로 실천되는데 제한이 발생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는 통합 교육과정의 실행에서 질적 부분 보다는 양적인 면에 치중하는 문제, 교수 방법 문제, 교사 개인 능력의 제한으로 인한 문제 등이 드러나고 있다. 또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다양한 자원을 활용해야 하지만 중국 서부 및 농촌과 같은 낙후 지역에 인적 자원 부족과 도서관, 미디어 등과 같은 교육환경의 시설 부족으로 통합교육과정의 질이 도시에 비해 낮다는 문제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육과정의 실행을 개선할 과제로 교사 훈련 및 낙후 지역에 인적 자원 및 재정 자원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談松華, "農村教育現狀困難與對策" 2003

      2 杜政榮, "課程統整的理念與實踐" 2012

      3 劉旭東, "課程的價值取向研究" 甘肅教育出版 2002

      4 李臣之, "綜合實踐活動課程開發" 人民教育出版社 2003

      5 王斌華, "校本課程論" 上海教育出版社 2001

      6 吳慧珠, "新中國小學德育課程的演變" 2006

      7 鐘媚, "小學科學課改革中的問題與分析" 人民教育出版社 2007

      8 馬雲鵬, "小學數學課程實施:個案研究" 2000

      9 熊梅, "基礎教育課程改革綱要(試行)解讀"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1

      10 Beane. J. A., "Curriculum integration: Designing the core of democratic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97

      1 談松華, "農村教育現狀困難與對策" 2003

      2 杜政榮, "課程統整的理念與實踐" 2012

      3 劉旭東, "課程的價值取向研究" 甘肅教育出版 2002

      4 李臣之, "綜合實踐活動課程開發" 人民教育出版社 2003

      5 王斌華, "校本課程論" 上海教育出版社 2001

      6 吳慧珠, "新中國小學德育課程的演變" 2006

      7 鐘媚, "小學科學課改革中的問題與分析" 人民教育出版社 2007

      8 馬雲鵬, "小學數學課程實施:個案研究" 2000

      9 熊梅, "基礎教育課程改革綱要(試行)解讀"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1

      10 Beane. J. A., "Curriculum integration: Designing the core of democratic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55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