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명명덕(明明德)을 통해서 본 인식과 실천의 합일 = 通過"明明德"考察認識與實踐工夫之合壹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809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 첫머리에 제기된 명명덕(明明德)은 위학(爲學)의 기본적 수양공부이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명명덕(明明德)은 수양공부의 범주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본체, 심성론상의 의미까지 관통하고 있어 주자 철학의 특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명명덕(明明德)을 본체, 심성, 수양공부의 세 가지 각도에서 해석함으로써 주자 철학의 특징을 도출하는데,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인식과 실천공부의 합일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필자는 명명덕(明明德)에 대한 주자의 해석에 근거하여 명명덕(明明德)을 본체, 심성, 수양공부의 세 가지 각도에서 서술하는데, 나아가, 격물치지, 정심성의를 위한 경(敬), 이 두 가지로 그 의미를 전개하여 결국 주자철학의 목표인 지행합일 추구를 본 밝히는데, 그 의의를 둔다. 본 논문의 대강은 다음과 같다. 우선은 대학에서 제기된 명명덕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그 함의를 살펴보는데, 명덕은 허령하여 어둡지 않은 천리가 그대로 발현되는 상태로 본체로서 하늘이 명하여 얻은바 그 자체이고, 이 본연을 그대로 내재화하여 인간의 본성을 확립하며, 이 명덕이 가려지지 않도록 지켜나가는 과정이 수양공부임을 관철시킨다. 명명덕의 인식과 실천과정에 대해 검토하면서 자연히 수양의 실재 공부처(工夫處)이자 주체인 “심”의 지각, 주재 작용을 강조하며, 명덕을 온전히 발현하여 사물의 이치를 지각하고 참 지식(眞知)을 얻는 심의 인식지각작용과 이를 기준으로 실천공부를 해나가는 심의 주재능력을 제시하여, 공부로 연결시켜간다. 다음으로는 명명덕의 공부방법에 대해 검토하는데, 심의 인식지각능력이 발휘되는 공부인 격물치지와 심의 주재능력이 발휘되는 정심성의로 설명하고, 나아가 실재 일용공부로서의 “경(敬)공부”로까지 확대하여 서술한다. 마지막으로는 명명덕을 통해 드러난 인식과 실천의 결합을 통해 “지행합일”이라는 목표를 완성하는 주자 철학의 특징을 재조명한다.
      번역하기

      대학 첫머리에 제기된 명명덕(明明德)은 위학(爲學)의 기본적 수양공부이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명명덕(明明德)은 수양공부의 범주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본체, 심성론상의 의미까지 관...

      대학 첫머리에 제기된 명명덕(明明德)은 위학(爲學)의 기본적 수양공부이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명명덕(明明德)은 수양공부의 범주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본체, 심성론상의 의미까지 관통하고 있어 주자 철학의 특징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명명덕(明明德)을 본체, 심성, 수양공부의 세 가지 각도에서 해석함으로써 주자 철학의 특징을 도출하는데,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인식과 실천공부의 합일을 이루었다는 것이다. 필자는 명명덕(明明德)에 대한 주자의 해석에 근거하여 명명덕(明明德)을 본체, 심성, 수양공부의 세 가지 각도에서 서술하는데, 나아가, 격물치지, 정심성의를 위한 경(敬), 이 두 가지로 그 의미를 전개하여 결국 주자철학의 목표인 지행합일 추구를 본 밝히는데, 그 의의를 둔다. 본 논문의 대강은 다음과 같다. 우선은 대학에서 제기된 명명덕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그 함의를 살펴보는데, 명덕은 허령하여 어둡지 않은 천리가 그대로 발현되는 상태로 본체로서 하늘이 명하여 얻은바 그 자체이고, 이 본연을 그대로 내재화하여 인간의 본성을 확립하며, 이 명덕이 가려지지 않도록 지켜나가는 과정이 수양공부임을 관철시킨다. 명명덕의 인식과 실천과정에 대해 검토하면서 자연히 수양의 실재 공부처(工夫處)이자 주체인 “심”의 지각, 주재 작용을 강조하며, 명덕을 온전히 발현하여 사물의 이치를 지각하고 참 지식(眞知)을 얻는 심의 인식지각작용과 이를 기준으로 실천공부를 해나가는 심의 주재능력을 제시하여, 공부로 연결시켜간다. 다음으로는 명명덕의 공부방법에 대해 검토하는데, 심의 인식지각능력이 발휘되는 공부인 격물치지와 심의 주재능력이 발휘되는 정심성의로 설명하고, 나아가 실재 일용공부로서의 “경(敬)공부”로까지 확대하여 서술한다. 마지막으로는 명명덕을 통해 드러난 인식과 실천의 결합을 통해 “지행합일”이라는 목표를 완성하는 주자 철학의 특징을 재조명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在≪大學章句≫提出的“明明德”是指基本的修養工夫。 在這註意的是, 明明德不局限修養工夫的範疇, 而貫通本體, 心性方面, 通透朱子哲學的特征。 因此, 對“明明德”通過本體、心性、修養工夫的角度的解釋來突出朱子哲學的特征, 在這註重的是在於認識與實踐工夫之合壹。筆者根據對於“明明德”朱子的解釋, 從本體、心性、修養工夫的角度來論述,進壹步展開格物致知、正心誠意之“敬”工夫, 終於歸結到“知行合壹”。 本論文的意義在於證明是朱子修養工夫的目標就認識與時間工夫的結合卽“知行合壹”。本論文的大致如下:首先, 討論在≪大學≫提出的“明明德”的含義, 從本體、心性、修養工夫的角度來探求內涵。 “明德”是指發現虛靈不昧的從天命來賦予的本然狀態, 直接內在化成爲人性, 堅持保存本然狀態, 爲充分發現“明德”本然, 存天理, 滅人欲就是修養工夫。其次, 討論“明明德”的認識和實踐過程, 以修養的落實到工夫處的同時, 主體“心”的知覺、主宰作用, 論述心與明明德之間的關系。再次, 討論“明明德”的功夫方法, 擴展到認識與實踐對待的工夫方法, 以認識工夫要求發揮認識心“格物致知”、以實踐工夫要求發揮主宰心“正心誠意”及“敬”工夫, 提示具體的日用實踐工夫。最後, 通過“明明德”表現出的認識和實踐的結合, 考察朱子哲學的特征“知行合壹”。
      번역하기

      在≪大學章句≫提出的“明明德”是指基本的修養工夫。 在這註意的是, 明明德不局限修養工夫的範疇, 而貫通本體, 心性方面, 通透朱子哲學的特征。 因此, 對“明明德”通過本體、心性、...

      在≪大學章句≫提出的“明明德”是指基本的修養工夫。 在這註意的是, 明明德不局限修養工夫的範疇, 而貫通本體, 心性方面, 通透朱子哲學的特征。 因此, 對“明明德”通過本體、心性、修養工夫的角度的解釋來突出朱子哲學的特征, 在這註重的是在於認識與實踐工夫之合壹。筆者根據對於“明明德”朱子的解釋, 從本體、心性、修養工夫的角度來論述,進壹步展開格物致知、正心誠意之“敬”工夫, 終於歸結到“知行合壹”。 本論文的意義在於證明是朱子修養工夫的目標就認識與時間工夫的結合卽“知行合壹”。本論文的大致如下:首先, 討論在≪大學≫提出的“明明德”的含義, 從本體、心性、修養工夫的角度來探求內涵。 “明德”是指發現虛靈不昧的從天命來賦予的本然狀態, 直接內在化成爲人性, 堅持保存本然狀態, 爲充分發現“明德”本然, 存天理, 滅人欲就是修養工夫。其次, 討論“明明德”的認識和實踐過程, 以修養的落實到工夫處的同時, 主體“心”的知覺、主宰作用, 論述心與明明德之間的關系。再次, 討論“明明德”的功夫方法, 擴展到認識與實踐對待的工夫方法, 以認識工夫要求發揮認識心“格物致知”、以實踐工夫要求發揮主宰心“正心誠意”及“敬”工夫, 提示具體的日用實踐工夫。最後, 通過“明明德”表現出的認識和實踐的結合, 考察朱子哲學的特征“知行合壹”。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