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國史記』에 의하면 월지는 문무왕 14년(674), 동궁은 문무왕 19년(679)에 만들어졌다. 그리고 이 창조 기록을 신뢰해도 문제가 없다는 점이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총 4차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99227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7-49(2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三國史記』에 의하면 월지는 문무왕 14년(674), 동궁은 문무왕 19년(679)에 만들어졌다. 그리고 이 창조 기록을 신뢰해도 문제가 없다는 점이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총 4차례...
『三國史記』에 의하면 월지는 문무왕 14년(674), 동궁은 문무왕 19년(679)에 만들어졌다. 그리고 이 창조 기록을 신뢰해도 문제가 없다는 점이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총 4차례의 발굴이 이루어졌고, 그때마다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그렇지만 발굴에서 드러난 서편건물지와 남편건물지의 선후 관계와 성격, 그리고 입수와 출수 체계에 대한 상세한 검토가 없었다. 따라서 본고는 발굴보고서를 재검토하여 상기한 두 가지 의문을 풀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추가적인 발굴과 연구를 위해 꼭 필요한 과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두 건물지의 선후관계는 남편건물지가 서편건물지보다 먼저 축조되었다고 보았으며, 남편건물지는 월지를 조영할 당시의 건물지이고, 서편건물지는 이후 어느 시점에 추가로 만들어졌다고 보았다.
입수는 월성의 연못형해자에 물을 공급하던 입수로를 재활용한 것이며, 물리탐사 결과를 검토하여 월지의 동남편에 별도의 저수시설을 두어 월지로 공급하는 물을 1차 정화한 것으로 보았다. 배수는 월지 축조이전 황룡사지 남편을 지나 월성북편을 가로질러 서향하는 발천에 연결되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조사 자료에 대한 심화된 연구를 위해 필요하다면 재발굴도 추진하여 동궁과 월지의 위상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Wolji Pond was made in the 14th year of King Munmu (674), and Donggung Palace in the 19th year of King Munmu (679). The excavation data also confirmed that the records were reliable. However, th...
According to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Wolji Pond was made in the 14th year of King Munmu (674), and Donggung Palace in the 19th year of King Munmu (679). The excavation data also confirmed that the records were reliable.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over the timing of the construction of the southern and western buildings and the use of the sites. There was no detailed review of the system of receiving and receiving.
Therefore, this paper wanted to review the excavation report and solve the two questions previously presented. Then we looked at what tasks were essential for further excavation and research.
As a result,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two building sites wa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in the south before the west. The building sites in the south were construc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Wolji, and the building sites in the west were later constructed.
The water intake was used again to supply water to the pond-shaped moat of Wolseong Fortress. After reviewing the results of the radar survey, a separate reservoir was built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Wolji Pond to purify the water supplied to it.
Drainage was connected to Balcheon, which existed before the creation of the Wolji Pond, and it is confirmed that part of the stream was buried when the Wolji Pond was made.
It should also consider pushing for the excavation again if necessary for further study of the survey data. Only then will we be able to redefine the status of Donggung Palace and Wolji Pon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서희, "통일신라의 궁원 원지의 입수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2014
2 김재홍, "신라 왕경의 개발 과정과 발전 단계" 고려사학회 (52) : 197-229, 2013
3 이상준, "신라 왕경과 월성의 공간과 기능"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9
4 박홍국, "신라 동궁지 石造水路의 기능에 대한 고찰" 신라사학회 (43) : 139-167, 2018
5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동궁과 월지 발굴조사보고서-A건물지-" 2018
6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물리탐사Ⅳ" 2018
7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월성 중심의 고지형 복원연구" 2018
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발굴조사보고서 Ⅰ" 2012
9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 발굴조사보고서 Ⅲ" 2019
10 趙由典, "雁鴨池 發掘調査와 復元"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 : 1981
1 안서희, "통일신라의 궁원 원지의 입수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2014
2 김재홍, "신라 왕경의 개발 과정과 발전 단계" 고려사학회 (52) : 197-229, 2013
3 이상준, "신라 왕경과 월성의 공간과 기능"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9
4 박홍국, "신라 동궁지 石造水路의 기능에 대한 고찰" 신라사학회 (43) : 139-167, 2018
5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동궁과 월지 발굴조사보고서-A건물지-" 2018
6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고물리탐사Ⅳ" 2018
7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월성 중심의 고지형 복원연구" 2018
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발굴조사보고서 Ⅰ" 2012
9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동궁과 월지 발굴조사보고서 Ⅲ" 2019
10 趙由典, "雁鴨池 發掘調査와 復元"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 : 1981
11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雁鴨池 發掘調査報告書" 1978
12 國立文化財硏究所 慶州古蹟發掘調査團, "月城垓字 發掘調査報告書Ⅰ" 1990
13 趙成允, "新羅東宮創建瓦塼硏究" 慶州大學校大學院 2013
14 양정석, "新羅 月池와 東宮의 變化過程 檢討 -月池 南便 建物址의 分析을 中心으로-" 한국사연구회 (154) : 1-36, 2011
15 靑瓦臺觀光開發計劃團, "慶州觀光綜合開發計劃" 1971
16 이상준, "慶州 月城의 變遷過程 硏究"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8
17 "三國史記"
세계유산으로서 동궁과 월지의 가치와 보존 - 동궁과 월지 복원사업과 법체계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