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과 인간의 연결 포인트가 급증하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극복되는 초연결사회에서,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부캐’의 유행과 복수 정체성에 대한 현대인의 욕망은 필연적인 현상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97045
2021
Korean
초연결 ; 복수 정체성 ; 부캐 ; 분인(分人) ; 포스트휴먼 ; 윤이형 ; 분인-되기 ; Hyperconnectivity ; Multiple identity ; Bukkae ; Dividual(分人) ; Post-human ; Yoon Yihyung ; Dividual-becoming
KCI등재
학술저널
7-30(24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물과 인간의 연결 포인트가 급증하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극복되는 초연결사회에서,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부캐’의 유행과 복수 정체성에 대한 현대인의 욕망은 필연적인 현상이다. ...
사물과 인간의 연결 포인트가 급증하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극복되는 초연결사회에서,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부캐’의 유행과 복수 정체성에 대한 현대인의 욕망은 필연적인 현상이다. 그렇다면 가상과 현실,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세계를 넘나들며 시간과 일상을 다양하게 쪼개어 살아가는 초연결시대의 우리는 어떠한 삶의 방향성과 태도를 지녀야 할 것인가.
본고는 윤이형의 소설 「굿바이」, 「쿤의 여행」, 「결투」를 중심으로 초연결사회 복수 정체성에의 욕망과 이데올로기의 함정, 주체의 해체와 재구성 방식, 분인(分人)으로서 우리가 나아갈 방향성과 그 가능성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우리는 자본주의와 자아찾기의 함정을 깨닫고, 초연결이 만들어낸 기존의 자리들에 자신을 여러 개로 쪼개어 들어가는 방식이 아닌, 없는 자리들을 새로이 창조해나가는 생산적인 ‘분인-되기’를 지향해야 한다. 강한 연결들을 통해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만능인간으로 거듭나는 것이 아니라, 초연결시대의 분인-되기는 끊임없이 결여를 통해 주체적인 관계, 인간적인 의미들을 만들어 내는 것이어야 한다. 더불어 주변적이고 이질적인 존재로 거듭남으로써 다수-지배자의 시선에 안주하거나 그것들이 제공하는 감각적 쾌락에 매몰되지 않는 대신, 유동적이고 창의적인 실천을 통해 초연결시대, 복수 정체성으로서의 새로운 인간의 역할을 실천해 나가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a hyper-connected society where the connection points between objects and humans are rapidly increasing an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are overcome, the trend of ‘Bukkae’ that allows multitasking, and the desire of modern people for mult...
In a hyper-connected society where the connection points between objects and humans are rapidly increasing an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are overcome, the trend of ‘Bukkae’ that allows multitasking, and the desire of modern people for multiple identities are inevitable. In the era of hyperconnectivity, we live by dividing time and daily life into various worlds, crossing virtual and real, online and offline. Then, what kind of life direction and attitude should we have as a multiple identity?
This paper has examined the desire for multiple identity and the trap of ideology in a hyper-connected society, the method of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subject, and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that we will move forward as dividual focusing on Yoon Yi-hyung’s novels 「Goodbye」, 「Khun’s Travel」 and 「Dueling」.
As a result, we must realize the trap of capitalism and self-discovery. And we should aim for a productive ‘Dividual-becoming’ by creating new places that do not exist, rather than dividing oneself into several existing places created by hyper connection. In the hyper-connected era, ‘Dividual-becoming’ should not be reborn as an all-rounder capable of multitasking through strong connections, but it should be to create subjective relationships and human meanings through constant lack. And, rather than being settled in the gaze of the majority-dominator or being buried in the sensory pleasures they provide, we must be reborn as a marginal and alien being. Through fluid and creative practice, we must practice the role of a new human being as a hyper-connected era and multiple ident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마정미, "포스트휴먼과 탈근대적 주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 윤이형, "큰 늑대 파랑" 창비 2011
3 홍단비, "초연결시대, 연결의 딜레마와 주체의 (재)탄생― 윤이형의 소설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83 : 339-370, 2020
4 이정우, "주체란 무엇인가" 그린비 2009
5 이신주, "제3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 허블 2019
6 아즈마 히로키, "약한연결" 북노마드 2016
7 지그문트 바우만, "액체세대" 이유출판 2020
8 키스 안셀-피어슨, "바이로이드적 생명" 그린비 2019
9 마셜 맥클루언,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10 이유선, "리처드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1 마정미, "포스트휴먼과 탈근대적 주체"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 윤이형, "큰 늑대 파랑" 창비 2011
3 홍단비, "초연결시대, 연결의 딜레마와 주체의 (재)탄생― 윤이형의 소설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83 : 339-370, 2020
4 이정우, "주체란 무엇인가" 그린비 2009
5 이신주, "제3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 허블 2019
6 아즈마 히로키, "약한연결" 북노마드 2016
7 지그문트 바우만, "액체세대" 이유출판 2020
8 키스 안셀-피어슨, "바이로이드적 생명" 그린비 2019
9 마셜 맥클루언,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10 이유선, "리처드로티, 우연성·아이러니·연대성"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11 윤이형, "러브 레플리카" 문학동네 2016
12 윤이형, "러브 레플리카" 문학동네 2016
13 김상환, "라깡의 재탄생" 창비 2002
14 토미 마이어스, "누가 슬라보예 지젝을 미워하는가" 앨피 2005
15 신지영, "내재성이란 무엇인가" 그린비 2009
16 히라노 게이치로, "나란 무엇인가" 21세기북스 2015
17 지그문트 바우만, "고독을 잃어버린 시간" 동녘 2012
18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6120756"
『대동지지』 ‘평안도 청북’의 위치로 살펴본 19세기 조선의 서북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 | 0.80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