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CGIS를 활용한 강원도 산불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Fire in Gangwon Province Using CCG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19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forest sector is increasing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and a forest fire, one of forest disasters, makes a huge impact on a forest ecosystem and regional people’s life in general,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fires is extremely important. Gangwon province area was selected for the study. Eighty one percent of Gangwon province’s land is covered by forest, and 8 cases of big fire, over 300 ha occurred from 2000 to 2009.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has been carried out with a help of CCGIS program developed b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Climate Exposure Index, Sensitivity Index, Adaptation Capacity Index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vulnerability of Gangwon province’s forest fire. It turned out that East Sea area of Yeongdong was highly vulnerable to forest fire and various meteorological factors could be involved. The future vulnerability of forest fire in Gangwon province would increase even though the regional difference could exis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d to establish Gangwon province’s adaptation policy for the forest sector.
      번역하기

      Since forest sector is increasing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and a forest fire, one of forest disasters, makes a huge impact on a forest ecosystem and regional people’s life in general,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fires is extremely im...

      Since forest sector is increasingly affected by climate change and a forest fire, one of forest disasters, makes a huge impact on a forest ecosystem and regional people’s life in general,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forest fires is extremely important. Gangwon province area was selected for the study. Eighty one percent of Gangwon province’s land is covered by forest, and 8 cases of big fire, over 300 ha occurred from 2000 to 2009.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has been carried out with a help of CCGIS program developed b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Climate Exposure Index, Sensitivity Index, Adaptation Capacity Index were employed to evaluate the vulnerability of Gangwon province’s forest fire. It turned out that East Sea area of Yeongdong was highly vulnerable to forest fire and various meteorological factors could be involved. The future vulnerability of forest fire in Gangwon province would increase even though the regional difference could exist.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be used to establish Gangwon province’s adaptation policy for the forest sect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후변화가 산림부문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며 그에 대한 평가는 여러가지 측면에서의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산림재해 중 산불에 대한 영향 평가는 산림생태계 및 지역 주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개발한 CCG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강원도의 산불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강원도는 면적의 81%가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국 산림면적의 21%를 차지하고 있어 기후변화에 의해 산림이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으로, 최근 10년(2000~2009)간 한국에서 발생한 300ha이상의 대형 산불 10건 중 8건이 발생되었다. 기후노출지수, 민감도지수, 적응능력지수를 이용하여 산불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 하였다. 강원도에서 산불 취약성이 큰 지역은 영동 동해안이고 기상인자에 의해 크게 좌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래 기후시나리오(A1B)하의 산불 취약성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커 질것으로 평가되었다. 취약성 평가는 기후변화적응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강원도의 산림부문 적응 대책수립의 기초자료 활용될 것이다.
      번역하기

      기후변화가 산림부문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며 그에 대한 평가는 여러가지 측면에서의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산림재해 중 산불에 대한 영향 평가는 산림생태계 및 지역 주민...

      기후변화가 산림부문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며 그에 대한 평가는 여러가지 측면에서의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산림재해 중 산불에 대한 영향 평가는 산림생태계 및 지역 주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개발한 CCGI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강원도의 산불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강원도는 면적의 81%가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국 산림면적의 21%를 차지하고 있어 기후변화에 의해 산림이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으로, 최근 10년(2000~2009)간 한국에서 발생한 300ha이상의 대형 산불 10건 중 8건이 발생되었다. 기후노출지수, 민감도지수, 적응능력지수를 이용하여 산불에 대한 취약성을 평가 하였다. 강원도에서 산불 취약성이 큰 지역은 영동 동해안이고 기상인자에 의해 크게 좌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래 기후시나리오(A1B)하의 산불 취약성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커 질것으로 평가되었다. 취약성 평가는 기후변화적응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강원도의 산림부문 적응 대책수립의 기초자료 활용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가영, "지자체 기후변화취약성 현황에 기초한 적응대책 수립 가이드라인 개발"

      2 산림청, "임업통게연보" (40) : 2010

      3 곽한빈, "우리나라 산불 발생의 원인별 공간적 특성 분석" 한국임학회 99 (99): 259-266, 2010

      4 구창덕, "산림보호학" 향문사 2008

      5 이시영, "기후조건 변화에 다른 산불 확산 비교" 490-494, 2008

      6 유가영,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의 개발 및 도입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7 성미경, "기후 변화에 따른 한반도 산불 발생의 시공간적 변화 경향" 한국기상학회 20 (20): 27-35, 2010

      8 고재경, "경기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9 Preston, B.L, "gniting change in local government: lessons learned from a bushfire vulnerability assessment" 2008

      10 Justin Poduar, "Will climate change overwhelm fire management capacity" 221 : 1301-1309, 2010

      1 유가영, "지자체 기후변화취약성 현황에 기초한 적응대책 수립 가이드라인 개발"

      2 산림청, "임업통게연보" (40) : 2010

      3 곽한빈, "우리나라 산불 발생의 원인별 공간적 특성 분석" 한국임학회 99 (99): 259-266, 2010

      4 구창덕, "산림보호학" 향문사 2008

      5 이시영, "기후조건 변화에 다른 산불 확산 비교" 490-494, 2008

      6 유가영,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의 개발 및 도입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7 성미경, "기후 변화에 따른 한반도 산불 발생의 시공간적 변화 경향" 한국기상학회 20 (20): 27-35, 2010

      8 고재경, "경기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9 Preston, B.L, "gniting change in local government: lessons learned from a bushfire vulnerability assessment" 2008

      10 Justin Poduar, "Will climate change overwhelm fire management capacity" 221 : 1301-1309, 2010

      11 Moss, R.H,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a Quantitative Approach" Prepared for the US Department of energy 2001

      12 Marcus Lindner,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European Forest and Options for Adaptation" 2007

      13 Stocks, B.J, "Global warming and forest fire in canada" 69 : 290-293, 1993

      14 이시영, "GIS를 이용한 산불피해지역 특성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5 (5): 20-26, 2002

      15 박연희, "GIS를 이용한 산불발생의 공간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6 국림환경과학원, 환경부, "GIS기반 기후변화적응도구 CCGIS ver 2.2"

      17 Wotton, B.M, "Estimating current and future fire climates in the boreal forest of Canada using a Regional Climate model" 1207-1221, 1998

      18 IPCC, "Climate Change 2007.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a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9 IPCC, "Climate Change (2001) Impacts,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a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20 John R. Parkins, "Assession community vulnreability; A study of the mountain beetle outbreak in British Columbia" 17 : 460-471, 2007

      21 Aynslie E. Ogden, "Application of Structured Decision Making to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ies and Daptation Options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14 (14): 11-, 2009

      22 UNDP, "Adaptation Police Framework for Climate Change; Developing Strategies,Police and Meas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23 Mark Johnston, "A framework for assessing climate chamge vulnerability of the Canadian forest sector" 83 (83): 358-361,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60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