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효과적 정보 전달을 위한 건강검진 결과보고서 디자인 제안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나눔과행복병원> 중심으로- = A Study of Physical Examination Result Document Design for Delivering Effective Information-Focused on <Sharing and Happiness Hospital> in Haeundae-gu, Bus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37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and definite method to assure the health degree is physical examination. The modern people always take so much stress, have the irregular habit that eat inordinately and also lack of exercise. The physical examination becomes to a new trend and its importance is emphasized, because the diseases could be found without delay and spending of the treatment could also be reduced through taking the physical examination.
      This research improves the design of the physical examination reports targeted at people’s experience and accessibility, to make the subjects receiving the physical examinations understand and adapt to the healthy living habits in an easier and faster way.
      The physical examination reports are digested, and the relevant cases as well as the original physical examination reports of the hospital are analyzed in the sequence of discover-define-develop-deliver. The part of the parties related to the physical examinations are also analyz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process of the subjects’ physical examinations, the information design and the conception of the additional service contents are formed. Information visualization is to more effectively convey image factors such as color, image, and characters to users.
      As compared to being able to read physical examination result document in detail by subjects, simply and accurately acquiring the needed information is more important. The overriding comprehensive diagnosis should be listed in the first page, for instance: where is uncomfortable, how uncomfortable, and what should be done. In addition, the extent of various discomforts should be recorded in specific page. In the last page, it should be specified on how to recover such status via certain living habit. Thus, constructing effective design prototype of physical examination report via this research can make the service process blueprint of interaction among stakeholder such as subject, doctor department be more visualized.
      번역하기

      The objective and definite method to assure the health degree is physical examination. The modern people always take so much stress, have the irregular habit that eat inordinately and also lack of exercise. The physical examination becomes to a new tr...

      The objective and definite method to assure the health degree is physical examination. The modern people always take so much stress, have the irregular habit that eat inordinately and also lack of exercise. The physical examination becomes to a new trend and its importance is emphasized, because the diseases could be found without delay and spending of the treatment could also be reduced through taking the physical examination.
      This research improves the design of the physical examination reports targeted at people’s experience and accessibility, to make the subjects receiving the physical examinations understand and adapt to the healthy living habits in an easier and faster way.
      The physical examination reports are digested, and the relevant cases as well as the original physical examination reports of the hospital are analyzed in the sequence of discover-define-develop-deliver. The part of the parties related to the physical examinations are also analyzed.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process of the subjects’ physical examinations, the information design and the conception of the additional service contents are formed. Information visualization is to more effectively convey image factors such as color, image, and characters to users.
      As compared to being able to read physical examination result document in detail by subjects, simply and accurately acquiring the needed information is more important. The overriding comprehensive diagnosis should be listed in the first page, for instance: where is uncomfortable, how uncomfortable, and what should be done. In addition, the extent of various discomforts should be recorded in specific page. In the last page, it should be specified on how to recover such status via certain living habit. Thus, constructing effective design prototype of physical examination report via this research can make the service process blueprint of interaction among stakeholder such as subject, doctor department be more visualiz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건강검진은 질병을 조기 발견하고 부담이 될 수 있는 치료비의 지출을 막을 수 있는 지름길로서 최근 건강검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건강검진을 통해서 여러 종류의 검사를 받고 자신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은 건강검진 결과보고서의 정보이다.
      본 연구는 건강검진 결과보고서 디자인을 개선하여, 수검자들이 쉽고 빠르게 이해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에 적용될 수 있도록 사람들의 경험과 행동유도를 목적으로 한다.
      발견-정의-개발-전달의 프로세스로, 건강검진 결과보고서에 대한 이해와 관련 사례 및 대상병원의 기존 결과보고서를 분석하였다. 건강검진과 관련한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분석하고 수검자의 건강검진 경험과정 관찰을 통하여 정보디자인 및 부가서비스 요소의 아이디어를 생성하였다. 정보의 시각화는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고자 색채, 이미지, 문자 등의 그래픽 요소를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수검자들은 건강검진 결과서에서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며 정확하게 얻고자 한다. 따라서 어디가 안 좋은지, 얼마나 안 좋은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와 같이 단순한 요구는, 첫 페이지에서 무엇이 가장 문제 인지를 알 수 있는 종합판정이 요약되고, 세부항목 페이지에서 안 좋은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상세한 데이터가 기록되며, 마지막에 이러한 상태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생활습관을 가져야 하는지가 기록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진행으로 효과적 건강검진 결과보고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구축함에 있어서 수검자와 의사 등 건강검진관련 이해관계자 간의 상호작용 서비스 흐름을 청사진으로 가시화하고 검증하였다
      번역하기

      건강검진은 질병을 조기 발견하고 부담이 될 수 있는 치료비의 지출을 막을 수 있는 지름길로서 최근 건강검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건강검진을 통해서 여러 종류의 검사를 받고 자신...

      건강검진은 질병을 조기 발견하고 부담이 될 수 있는 치료비의 지출을 막을 수 있는 지름길로서 최근 건강검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건강검진을 통해서 여러 종류의 검사를 받고 자신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은 건강검진 결과보고서의 정보이다.
      본 연구는 건강검진 결과보고서 디자인을 개선하여, 수검자들이 쉽고 빠르게 이해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에 적용될 수 있도록 사람들의 경험과 행동유도를 목적으로 한다.
      발견-정의-개발-전달의 프로세스로, 건강검진 결과보고서에 대한 이해와 관련 사례 및 대상병원의 기존 결과보고서를 분석하였다. 건강검진과 관련한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분석하고 수검자의 건강검진 경험과정 관찰을 통하여 정보디자인 및 부가서비스 요소의 아이디어를 생성하였다. 정보의 시각화는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고자 색채, 이미지, 문자 등의 그래픽 요소를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수검자들은 건강검진 결과서에서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며 정확하게 얻고자 한다. 따라서 어디가 안 좋은지, 얼마나 안 좋은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와 같이 단순한 요구는, 첫 페이지에서 무엇이 가장 문제 인지를 알 수 있는 종합판정이 요약되고, 세부항목 페이지에서 안 좋은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상세한 데이터가 기록되며, 마지막에 이러한 상태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생활습관을 가져야 하는지가 기록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진행으로 효과적 건강검진 결과보고서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구축함에 있어서 수검자와 의사 등 건강검진관련 이해관계자 간의 상호작용 서비스 흐름을 청사진으로 가시화하고 검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서비스디자인협의회"

      2 오병근, "정보디자인 교과서" 2008

      3 하봉수, "정보디자인" 미진사 2012

      4 윤병문, "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지식경제부 디자인기술 개발사업 기술개발 보고서" 한국디자인진흥원 2013

      5 임광명, "어버이날 최고의 선물은 현금? No ~ 부모님 무병장수"

      6 김혜찬, "서비스디자인의 동향과 정책방향" 한국디자인진흥원 2010

      7 표현명, "서비스디자인시대" 안그라픽스 2008

      8 표현명, "서비스디자인 이노베이션" 안그라픽스 2012

      9 마르크 스틱도른, "서비스 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12

      10 김용숙, "색채의 이해" 일진사 2007

      1 "한국서비스디자인협의회"

      2 오병근, "정보디자인 교과서" 2008

      3 하봉수, "정보디자인" 미진사 2012

      4 윤병문, "의료서비스디자인 참고서, 지식경제부 디자인기술 개발사업 기술개발 보고서" 한국디자인진흥원 2013

      5 임광명, "어버이날 최고의 선물은 현금? No ~ 부모님 무병장수"

      6 김혜찬, "서비스디자인의 동향과 정책방향" 한국디자인진흥원 2010

      7 표현명, "서비스디자인시대" 안그라픽스 2008

      8 표현명, "서비스디자인 이노베이션" 안그라픽스 2012

      9 마르크 스틱도른, "서비스 디자인 교과서" 안그라픽스 2012

      10 김용숙, "색채의 이해" 일진사 2007

      11 "네이버"

      12 "나눔과행복병원(해운대) 홈페이지"

      13 이경미, "건강검진 결과서 서비스디자인을 만나다"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